![]() |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 ![]() 야마구치 슈 지음, 김지영 옮김/앳워크 |
(추상화, 태그만들기, 연결하기 등)
▶ 한테마를 받치는 여러장르(크로스오버되게 읽어야 시사와 통찰이 생긴다.
데츠카 오사무)
= 변화가 심한 세상에서 가치를 잃지 않는 단단한 기초가 되는 지식을 추구하기 위한 것
(인포메이션만을 얻는데 그치면 안됨)
메타포- 비유하는 것(베네치아= 아드리아해의 보석)
- 질문을 깊이 하면 어딘가 비즈니스와 연결이 된다
* 공리계 수준이 될 때까지 추상화 해야 한다.
(그 지식이 위치한 맥락과 떼어내도 성립 되는 수준으로)
▶ 진정한 지식은 좀더 유연한 것으로, 상황에 맞추어 적용하는 것이며 암기에 그쳐서는 안된다.
▶한가지 방법은 경험을 쌓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 과정을 반복하는 것.
- 얻은 지식이 무엇인가
- 그 지식의 무엇이 흥미로운가
- 그 지식을 다른 분야에 적용시킨다면, 어떤 시사와 통찰이 있는가
▶ 모델은 본질적인 것을 강조해서 뽑아내고 나머지는 다 내다버리는 것 124p
④ 축적: 효율적으로 지식을 끌어낼 수 있는 시스템
▶ 관련 분야를 확실히 공부한다.
▶정보의 양보다 밀도가 중요하다-
▶사람이 가장 효율적인 독학의 미디어
식견이 있는 사람을 대면하고 직접적으로 가르침을 구한다.113
▶ 직접적인 경험에서 인풋하고 추상화 활동을 한다.
영국의 환타지- 판타지와 리얼리티의 균형, 극단적인 것 에는 정반대의 극단적인 것,
중국에서 공자의 사상 vs. 한비자의 사상 p.118
▶ 메모가 버릇이 되면 느끼는 것도 버릇이 된다.( 노무라 가즈야)
남보다 더 많이 느끼면 우월해질 수 있다.
▶ 지식이 무기가 되려면 추상화 및 구조화가 필요하다
[4] 축적
제4장_축적
- 지식을 축적하면 상식을 상대화 할 수 있고 비로소 혁신이 가능해진다.
- 지식의 축적이 많아야 그중에 성공하는 것이 나온다. ex) 피카소,
▶ 밑줄 긋기,아홉 군데를 골라 옮겨 적기
1.나중에 참조하게 될 것 같은 흥미로운 사실
2.거기서 얻을 수 있는 '통찰'과 '시사'
3.통찰과 시사에서 얻을 수 있는 '행동'의 지침
▶ 발췌와 함께 남겨야 하는 것 세가지
+ 비즈니스 및 실생활에 대한 시사점
+ 태그
+ ‘언런’
▶ 제5장_왜 교양의 쓸모
① 혁신 ② 커리어 ③ 커뮤니케이션 ④ 영역을 융합 ⑤ 세계변화를 만들 수 있다.
▶각 분야 책의 효용
1. 역사: 인류의 나선형 발전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힘
2. 경제학: 시장의 원리
3. 철학: 지금의 룰에 의문을 품고 자기 머리로 생각하는 힘을 단련
4. 경영학: 사고 과정을 간접 체험하며 비즈니스의 공통 언어 - 용어, 프로토콜과 같은 것
5. 심리학: 인간이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불합리성’
6. 음악: 전체 구상의 잘잘못을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힘 - 장기간의 음악훈련이 가져오는 뇌의 변화
7. 뇌과학: 인간이 자주 일으키는 오류
- 사고의 에러가 나오는 형태에 대해 배움으로써 에러를 줄일 수 있다.
8. 문학: ‘성의 있는 거짓말’로 인간과 사회를 더 깊이 이해
9. 시: 레토릭의 서랍을 늘리고 자신의 비전과 철학을 효과적으로 전달
10. 종교: 특정 조직이나 개인의 사고와 행동 양식을 이해
11. 자연 과학: 새로운 발견과 가설이 비즈니스 문제 해결의 실마리
▶ 고전 요약서는 지적 전투력에 도움이 안된다.
-거기에 나오는 내용이 아니라 사고의 프로세스를 익혀야 하기 때문 p.2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