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법륜스님-행복+

by 책이랑 2016. 11. 25.
“제가 많은 분들의 질문에 해답을 드리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다른 관점에서 한번 살펴보라고 말하는 것뿐이에요. 앞면만 보는 사람에게 ‘뒷면은 어때요?’라고 묻고, 이쪽만 보는 사람에게 ‘저쪽 면은 어때요?’라고 묻고, 윗면만 보는 사람에게 ‘아랫면은 어때요?’ 하고 묻는 것뿐입니다. 어느 한쪽만을 바라보며 움켜쥐고 있던 것을 놓음으로써 자기가 문제 삼던 것이 문제가 안 된다는 것을 알게 되는 거예요. 사물의 전모를 볼 줄 아는 지혜가 생기면 그동안 갖고 있던 많은 고뇌들이 저절로 없어집니다. 마치 어두운 방에 등불을 켜면 어둠이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가 괴로움에서 벗어나 온전히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사물의 전모를 보는 통찰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즉 ‘나’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근본적으로 괴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저자는 지금까지 우리가 행복으로 가는 고속도로라고 고집스럽게 붙잡고 있던 고정관념과 전제를 내려놓는 것에서부터 시작해보자고 제안한다.

법륜 스님의 행복법륜 스님의 행복 - 10점
법륜 지음, 최승미 그림/나무의마음
삶의 주인의식, 내행복은 내가 만든다.(p.7)

1장 왜 내 삶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까

선택과 자기모순
      목동을 고용하게 된 수행자의 예는 그 순간의 편안함과 안락함에 빠져 본래의 목표와 의미를 잃어버린 것
도리에 맞게 살아야, 인생의 본래 목적을 상기하고 목적에 어긋날 때마다 제자리로 돌아와야(p.17)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고 싶지 않은 것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다면
    하는 일을 열심히 하다보면 적성을 발견하게 됨(p.21)
    인연이 되는 대로 무엇이든 하면서 적성과 장기를 살리기(p.24)
    현실과 이상은 모순관계가 아님. 발은 현실에 두고 눈은 이상에 두면서 한발한발
    좋은 미래는 막연히 기다린다고 오는 게 아니라 연구하고 도전하는 과정에서 미래를 현실로 만들어 가는 것(
                   (법륜스님의 포교당 ㅁ)

■ 허위의식의 감옥에서 걸어나와라
인생은 본래 대단한 것이 아님. 존재는 본래 특별한 의미가 없슴. 자아상에 대한 집착 
존재는 부족한 것도 아니고 넘치는 것도 아님. 존재는 존재일 뿐
우리는 풀같고 나무 같은 존재

■ 행복의 비결
일은 주변 조건이 맞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 세상의 이치
주변환경은 변하는데 이와 맞지 않는다고 자기 기대와 고집하면 괴로움이 발생
왼손에 있는 불. 집착을 내려 놓을 때 괴로움이 사라짐

■ 욕심은 내려놓고 원은 세운다
갈애와 혐오를 내려 놓는 것- 마음을 비운다 말의 의미.(:의지를 발휘해 마음을 바꾸는 것)
욕심이란 모순된 태도
원을 세운 사람은 바라는 바를 이루려고 노려은 하되 실패해도 낙담하고 괴로와 하지 않아요.
안 되면 다른 방법을 찾아 다시 도전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 인연과보에도 시차가 있다
마음속에 원을 세운 날은 동지와 같고, 자신의 카르마를 아는 때는 입춘과 같고, 3년정도 지나면 춘삼월
어떤일을 시작할 때는 공덕을 쌓겠다라고 생각하기 보다 빚을 갚는다는 마음으로 


업식은 씨앗과 같아서 잠재해 있다가 주변의 자극을 받으면 느낌으로 살아나는 것(p.59)

2장 감정은 만들어진 습관
Pain is inevitable, Suffering is optional.
■ 좋고 싫음의 감정에서 자유롭기

■ 화, 상대와는 무관한 내 안의 도화선
    어떤 행동 뒤에는 이어져온 습관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내 업식에서 일어나는 마음을 알아차리고 분별하는데  힘을 쏟자.(p.71)
■ 참지도 성내지도 않는 제3의 길
    브라만의 욕설을 참으신 부처님 -이해하고 인정해서 감정의 동요가 없는 것
    호흡과
■ 상대의 말에 되받아치지 못해 억울하다면
■ 과거의 상처를 인생의 자산으로 만드는 법
지금의 슬픔은 과거의 기억에서 비롯된 것
■ 후회는 지나간 실수에 매달리는 것

■ 불안은 미래에 대한 집착에서 온다
우리는 늘 행복을 놓치며 산다.-지금 이시간에 집중해서 최선을 다할 때, 그 하루하루가 쌓여 행복한 미래가 된다.

■ 열등감과 우월감은 뿌리가 같다
열등감과 우월감 모두 삶의 기준을 타인에게 둘 때 생긴다.
자기가 가진 조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때 당당해진다.
■ 마음은 생주이멸生住異滅
마음이 본래 변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 만들어진 습관은 고칠 수 있다
의식으로 꾸준하게 변화를 추구하면 습관으로 자리잡아 무의식이  된다.(p.122)

3장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법
■ 모든 갈등은 관계 맺기에서 시작된다
우리는 서로 다르다    
그사람 입장에서는 그럴 수 있다.
■ 좋은 사람 vs 나쁜 사람
■ 세상에 다 갖춘 사람은 없다

■ 행복한 결혼의 조건
결혼을 할 사람과 마음을 맞춰 살 준비가 되어 있는가
■ 남 보기 좋은 인생 말고
■ 중도의 길을 알려주는 직장 상사
중도란 주어진 조건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것

■ 대부분의 관계는 이기심에서 시작된다
■ '기브 앤 테이크'는 거래지, 관계가 아니다

■ 책임감으로 살면 인생이 공허해진다
■ 의지하는 마음은 원망하는 마음의 씨앗
■ 남의 인생에 간섭하지 마라
■ 나무는 서로 어울려 숲을 이룬다

4장 남의 불행 위에 내 행복을 쌓지 마라
■ 진정한 성공이란
■ 남의 불행 위에 내 행복을 쌓지 마라
■ 욕망은 장작불과 같다
■ 욕구의 3단계: 욕구와 욕망 그리고 탐욕
■ 개인은 씨앗, 사회는 밭
■ 사냥꾼 두 사람이 토끼 세 마리를 잡았다면
■ 남을 비난하기 전에 나부터
■ 나도 행복하고 남도 이롭게 하는 길

5장 어제보다 오늘 더 행복해지는 연습
■ 시비분별의 마음을 내려놓고
■ 통찰력, 고통에서 벗어나 사물의 전모를 보는 지혜
■ 갈등을 키울 것인가, 아니면 이익을 얻을 것인가
■ 타인을 위로할 때 얻는 공덕
■ 사랑에도 차원이 있다
■ 행복은 재미와 보람 속에 있다
■ 인생의 시간을 행복하게 나누어 쓰는 법
■ 어떤 순간이라도 우리는 행복을 선택할 수 있다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11-25T06:26:320.310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