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차 협치 스터디- 온라인거점 기획단 학습회(1강)
1.개요
일시:2017.7.3(월) 14:00~16:00
장소 서대문구 협치지원센터 회의실
내용:온라인 시민협력플랫폼을 바라보는 "몇 가지 질문들"
- 인터넷 공간의 이해와 제안강사: 박정경수 님
- 녹색당
- 비폭력트레이너
- 전쟁없는 세상 운영위원 http://www.withoutwar.org/
- 평화반전운동과 함께 조직 내 민주주의에 대한 조언도 하고 있다.
-청소년 시절부터 시민운동을 해 왔다.
강의 요약
▶ 기술이 아닌 "우리가 해결하고자 바"가 논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 플랫폼은 개개인이 약진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사람이 함께 힘쓰는 것이다.
▶ 플랫폼을 누가 사용할 것인가?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함.
▶ 유명 플랫폼의 예로는 -유튜브(동영상),킥스타터(기금모금),오마이뉴스(뉴스) 등등이 있다
(▶오늘 '온라인 거점공간'에 대해 말하면서
'1.커뮤니티'와
'2.의사결정 도구' 라는 두개 개념을 구별없이 쓰겠다.)
▶ 최근에 각국에서 일어난 대규모 시위에서 많은 사람이 모였다.
그런데 광장에서 많은 사람이 의사결정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결정을 돕는 도구들이 제작되었다.
▶ 의사결정의 방식에는 다수결/일인 다수표 행사 /의견변화율 측정 등 여러 방식이 있다.
▶ 대화의 방식은 도구의 기능과 형식에 따라 바뀐다.
ex)게시판의 유형(순차,주제,순간 중심)
▶ 도구에 이외에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
1.정보공유를 위한 선구적 개인의 활동,
2.정치인과 정부의 (행정)의지,
3.기존의 불편함의 파악과 이에 대한 개선 등
▶ 도구의 역기능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의사소통 방해, 중간층이 사라지는 경향 등
▶ 다른 나라가 쓰고 있는 시민정책발의 플랫폼 -ex)스페인 포데모스, 아이슬란드 해적당 등
▶ 최신기술을 추구하기 보다는
'적정 기술'인지가 중요하다.
- 기술의 최신성 보다는 유용성여부가 중요하다.
▶ 강사님의 제안
1. 기존의 도구(위키피디(협어), 오메카(기록관리)를 먼저 활용해 보기를 추천한다.
2. '지역기반'일 때 유효성이 높아지는 추천활동
- 1. 책공유/2. 재활용품 공유/3. 자원활동/지역 뉴스 나누기 등
(최신기술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강의시작
-서대문협치지원센터의 제안을 받고 고심했다.
-온라인 공간은 넓은 범위를 아우른다는 것이 장점인데
서대문이라는 범위로 국한되어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에 관해 생각해 봄
※ 본격적인 강의 시작 전에 모두
https://pollev.com/kgreens 페이지를 방문하여
온라인의사결정툴인 pollEverywhere 를 경험해 봄
■ 인터넷의 속성 - 상호의존적, 공유, 접근성, 동시성... etc
▶ 인터넷은 (태생적으로) "상호 의존적"공간
- 인터넷은 공유정신이 출발점
- 팀버너스리의 월드와이드= 인터넷(컴퓨터 집단의 연결)+하이퍼텍스트(문서사이의 연결)
정보가 서로 이어지는 정보의 흐름이 만들어지게 됨
특허를 내어 막대한 이익을 취할 수도 있으나 "공유"함
- 리차드 스톨먼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등
https://namu.wiki/w/%EC%98%A4%ED%94%88%20%EC%86%8C%EC%8A%A4#toc
▶ 인터넷의 속성: 접근성/동시성/ 협력성/투명성/인원/속도/익명성
▶ -무한배포/복사 할 수 있슴
(이의 역기능으로 최근가짜뉴스 등이 생산 되기도 한다.)
■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어 왔다,
▶ 강연에 가서 외국의 협엽의 유명사례를 들어보지만 결론적으로는 특별한 것은 없다.
▶ 다만 인터넷상의 다양한 앱들은 특정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예를들어 워크샵 도구, 전자투표 등 다양한 도구가 있다.
- 전자투표의 경우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 그러나 아까 해 본 PollEverywhere처럼
조직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도구들의 효과가 달라진다.
ex)동시에 한공간에 있는 7~8명이
간단한 사항을 결정할 때는
아까 같은 '전자'투표시스템 사용은 비효율적이다.
■ 기술이 아닌 "우리가 해결하고자 바"가 논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필요한 기술은 이미 충분(한지도 모른다.)
- 기술이 아닌 문제해결에 중심을 맞춰야 한다는 근거로
강사인 나의 경험을 말씀드리겠다.
1. 90년대의 PC 통신을 하고
2. 1999년에는 CyberYouth.org 라는 게시판에서 활동했었다.
PC통신활동= 온라인의 자료실, 게시판, 채팅+ offline 모임
CyberYouth.org =게시판+ offline 모임
이라는 구조로 활동했으며
2.의 경우 당시 9개 기관이 모여
청소년웹진을 발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어쩌면,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기술에 마음이 뺏겨 해결하고자 하는 바를 간과하면
"온라인거점공간"은 튼튼한 내부구조를 결여한 모래성이 될 수도 있다.
-Business Platform 이 유행이지만
이전에 있던 것과 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 Platform의 개념, 실사례
▶ platform: 승강장이라는 뜻으로
'사용자들이 특정활동을 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유명 플랫폼 등
▶ 플랫폼은 문제를 각자가 아닌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해야할 필요가 생겨 의사결정 툴들이 만들어 졌다.
- 월스트리트 점령운동(Occupying Wallstreet )운동당시
대규모군중이 모였으나 불특정, 대규모의 군중의 의사결정이 어려워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도구가 필요해졌다.
■ 의사결정의 방식에는 다수결 뿐 아니라
일인 다수표 행사 /의견변화율 측정 등 여러 방식이 있다.
ex 1)뉴질랜드 웰링턴
-투표권을 8개 주어 복수투표한다.
ex 2) Munkdebate - 2번/1년 열린다.
https://www.munkdebates.com/
-철강으로 돈을 번 오리아재단이 추최한다.
-당시 민감한 주제에 대해 최고전문가 2인이 토론
-3000여명의 방청객이 30~90달러의 티켓을 구입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방송전후에 각각 투표하는데 의견의 변화율을 측정한다.
출처: https://www.munkdebates.com/debates/Future-of-Geopolitics
■ 도구의 기능과 형식에 따라 대화의 방식이 바뀐다.
- 시간순게시판 -제목/시간 한눈에 파악
- 포럼형- 주제가 눈에 띔
- 타임라인- 순서대로 나왔다 사라짐
■ 도구의 역작용
- '도구는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 도구가 오히려 의사소통을 막고, 중간층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다른 나라의 정책결정플랫폼의 예
▶ 스페인 podemos.com
-찬/반/차단 의사표시 가능
-2~3%가 좋아요를 누르면 안건에 등록됨
-+각 지역소식을 올릴 수 있는 뉴스피드 기능
(- ‘Agora Voting’이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했다)
▶마드리드 decide.madrid.es
- 2015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해 스페인 마드리드 시를 운영하고 있는
풀뿌리 시민정당 '아호라 마드리드'의 온라인 시민발의 웹사이트.
- 시민들은 댓글로 다양한 찬반 의견 표시.
- 마드리드 인구의 2%* (약 5300명)이 의사표시하면 시의 연구주제로 등록됨
참고자료: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727634.html#csidx01436f3d06144a789d62c0e2b495048
▶바르셀로나 https://barcelonaencomu.cat/
-바르셀로나 시장의 상세한 일과 게재
http://ajuntament.barcelona.cat/alcaldessa/ca
-특정한 기능은 아니나 정보 '공유'가 모든 논의의 출발점이므로 의미가 있다.
▶아이슬란드 해적당의 liquidfeedback.org
- 아이슬란드 제2당 해적당이 운영함
"LiquidFeedback is an open-source software,
powering internet platforms for
proposition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 관심자 100명만 모여도 안건이 되며
- 안건에 대해 계속 토론하며 수정해 나감(liquid)
※ 해적당
-2008년 아이슬란드 금융 위기 이후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함
- 시민들은 대표자 선출을 넘어 직접 정치에 참여코자 2012년 해적당 창당함
-파일공유 웹사이트에서 ‘저작권법 개정, 사생활 보장’ 주장하는 정당이 됨.
※ 참고자료: 해적당 넌 누구냐? 2016.7.6 허핑턴포스트
http://www.huffingtonpost.kr/wagl/story_b_10808594.html
▶DemocracyOS
http://democracyos.org/
- “인터넷 시대에 민주주의는 무엇인가?”
현재의 문제는 현재의 도구로 해결한다: 데모크라시OS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기반의 신흥 정당인 Partido de la Red(Net Party)의 온라인 플랫폼
- 온라인투표 시스템을 통해 시민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모으고,
법안이 또한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으면 의회에 공식적으로 제출한다..
※ 참고자료: http://slownews.kr/51329
▶Loomio.org
https://www.loomio.org/
- 2011년도 뉴질랜드의 오큐파이 운동에 참여한 젊은 개발자들 의사 결정 지원 플랫폼
- 집단적 논의 과정에서 벌어지는 발언권 쏠림, 비효율성, 상명하달식 결정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회의 도구를 개발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편리한 사용법, 웹 기반의 높은 접근성이 특징
- 데스크탑, 모바일 투표 모두 지원
- 찬성, 반대, 보류, 차단의 네 가지 선택으로 단순하게 구성됨
- 다양한 내용의 의사결정, 소규모의 의사결정 가능
- 투표할 때마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작성하는 코멘트 난과
재투표 기능을 갖추고 있어
상호 토론과 조율을 통해 현명한 결론에 이르도록 설계되어 있슴
※ 합리적 의사결정 돕는 SW 루미오 공동설립자 리처드 바틀렛
한국일보 2016.12.12
http://www.hankookilbo.com/v/d22f0d0320c94cbf80bf81229591ccf0
■ 어렵지 않은 기술을 쓰지 않아도 하고자 하는 바를 할 수 있다.
국내/국외의 예를 소개한다.
▶ (다음)까페
▶ 아고라
1.토론- 좋아요/싫어요
2.청원
▶ 정치스타트업 와글
- 국회톡톡(http://toktok.io), 입법 플랫폼
- 국회톡톡이 청원하고자 하는 법률을 정해 플랫폼에 올리면
- 일정한 숫자(천 명)의 시민들이 동의(2주일 내)하면 국회의원들에게 동의 여부를 ‘호출’
- 과거의 시민단체들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면서 입법을 ‘시위’하는 것보다는 호출방식이 구체적
- 국회톡톡은 입법청원의 취지에 맞는 상임위에 소속된 의원들에게 동의 여부를 직접 묻는다.
▶ 인터넷 청원운동
-강사님이 청소년 때 했던 두발자유화 서명운동->18만명 참여
- 이후 독도 이슈로 100만명이 참여
-어려운 기술이 동원된 것이 아니나 대규모로 참여함
▶ indymedia.org
- ISM 국제문제연대활동가
- 자신이 미디어 활동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참여
- 자신이 있는 지역의 현재소식을 올리고 자기 지역으로 와 줄것을 요청함
- 십수년전과 같은 "게시판", 정보공유 기능만으로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 Anaclan.net ??
-2000년대에 있던 곳으로
- 각종집회,데모소식을 올리던 곳이다.
■ 도구에 선행되는 것이 있다.
- 선구적 개인의 활동, 정치인과 정부의 (행정)의지, 기존의 불편함의 파악과 개선 등
▶ 선구적 활동가 애런 스워츠 Aaron Swartz (1986.11.8. ~ 2013.1.11)
- 능력 있는 프로그래머이자 정부공유활동가
- 정보는 공개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짐- RSS 1.0을 만드는 데 참여함
- 컨텐츠 배포 포맷인 RSS(Rich Site Summary) 만듦
- 콘텐츠 소비자: rss리더 프로그램에 관심사이트 등록. 방문 없이 새컨텐츠를 읽음
- 콘텐츠 생산자: 자신의 게세물을 등록포털사이트를 통해 널리 배포
- 레딧 Reddit인수 - Reddit 인터넷의 다양한 소식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서비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 Creative Commons)에 참여
저작권 한도 내에서 창작물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법적 도구를 제공하는 국제적인 비영리 단체
- “디맨드 프로그래스”(Demand Progress)-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진보적인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조직
- 성공한 사업가였으나 MIT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유료 학술저널인 제이스토어(JSTOR; Journal STORage)의 시스템에 들어가
480만개의 논문과 문서를 다운받음.
- 피해 당사자라고 할 만한 제이스토어가 소송을 그만두기로 했으나
정부가 최대 35년형과 천만 달러의 벌금형을 내리려고 기소 유지
(-그는 12차례 법정에 출석,심문후 자살을 선택.)
▶ 오마마 대통령의 정보공유와 소통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의 정책을 모두 github.com에 올려놓았다.
https://github.com/WhiteHouse/budgetdata
-git은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의 소스 버전 관리를 할수 있는 프로그램
github은 이런 프로그램의 저장소이다.
-GitHub은 Software뿐만 아니라 일반 데이터의 변화 이력도 저장됨.
- 국민들은 예산안 데이터의 변경 내역 추적하고 데이터를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 서울시의 행정정보 공개
▶ anarclan.net
- 국회사이트를 크롤링해서 정리해 놓은 사이트
▶ 박근핵닷컴 - 박근혜 대통령 탄핵 청원 서비스
https://parkgeunhack.com/
- 박근핵닷컴은 지역구 유권자들이 국회의원에게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찬성하도록 청원하기 위한 사이트
-의사결정의 위임이 아닌 개인이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정보제공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 강사님의 제안 및 아이디어
- 기존의 도구를 충분히 써본 후, 지역협치플랫폼을 만들자.
▶ 꼭 써보라고 추천하는 도구
1.위키피디(협업)
- 매뉴얼,활용가이드,선언문 등 공동으로 만들어야 하는 문서를 생성할때 편리
- 회의 할때 써도 된다.
2. omeka(기록관리)
-개인의 PC에 트리방식의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본인도 검색불가능
-같은 단체에서 같이 관리해야 한다.
- 기능: 본인이 체킹한 키워드로 검색
-교육기관도 있다.
ex) http://www.seoulnpocenter.kr/bbs/board.php?bo_table=bbs_npo&wr_id=1902&page=3
▶"지역"이라는 범주에서 유용할 것같은 아이디어들
(물건의 이동은 일정 지역내에서 일어나면 효과적이므로)
1. 책공유 -개인의 책을 도서관에 맡겨서 공유
2. 재활용품 공유- ex) 부천지역의 자전거 공유 사례
3. 자원활동/지역 뉴스 나누기
▶새로 만들지 말고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자.
-기존의 도구의 번역은 어렵지 않음
(단순한 절차에 대한 서술, 직관적 내용이기 때문)
-최신기술보다는 '적정'기술이 중요하다.
(최신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이 생기기도 한다.)
질문과 대답
[1] 강의에서 "도구"에 매몰되지 말것을 말했고
도구 이전에 정책적 결정이 선행될 것을 말했다.
그렇다면 또 다른 요소중에 어떠한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가.
▶ 의사소통은 저절로 되지 않는다.
온라인에서도 촉진 /조정기능이 있어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진다.
-단순해보이는 게시판만 하더라도 그 안에 촉진자와 조정자가 있어야 활동이 원활하다.
▶참여자가 권한의 효용감을 느껴야 한다.
-다음 아고라에 많은 사람이 청원해도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일이 반복된다면 참여도는 줄어들 것이다.
[2] 외국의 성공적으로 보이는 사례들은
기술 때문에 성공한 것 이 아니라, 어떠한 문화가 있어서 가능했던 것 아닌가?
▶맞는 말이다. 스페인의 경우
정치운동을 한 사람들이 직접 정치에 진출했다.
우리 촛불의 경우 시민들이 직접 나서지 못하고
국회의원에게 행동을 촉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기술도 중요하다.
광장에서의 의사결정 문제의 경우처럼
기술은 현실의 장애요인을 해결하여 성공의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 7.10(월) 오후 2시~4시- 와글 발표
와글: ''와글와글한 군중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는 실험'을 하는 정치 스타트업( 2015. 8 설립)
▶ 7.17(월) 오후 2시~4시- 위즐 소사이어티 발표(예정)
-위즐 소사이어티: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플랫폼
- 지역 커뮤니티 콘텐츠+ 비즈니스 콘텐츠
- 지역 단위의 공동체경제 실현이 목표
이후 8월에는 cc코리아 발표 예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