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화 / 요양기관
Q1, 이 책에서 노화의 과정에 대해 알게 된 것중 가장 인상깊은 것은 무엇인지?
Q2. 요양기관의
1. Karen Brown Wilson과 Bill Thomas가 만든 기관들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2. 4장에는 케렌 윌슨이 어머니를 위해서 세운 파크펠리스가 나오는데요. 자체 온도조절기, 자기 자신의 생활, 가구, 문잠금그기가 가능한 곳입니다.심각한 병이있는 사람을 환자가 아닌 사람으로 치료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지?
3. Shelley는 아버지를 집에서 돌보다가 가족들과 마찰을 겪고 자기자신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전세계에서 이 같은 일을 겪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요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런지.
4. 빌 토마스가 Eden Alternative를 봤을때 boredom, lonelines, helplessness가 가장 문제라고 봤는데요, 기존 노인요양시설의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지.
■ 환자의 사례 / 마지막 순간의 선택기준
Q0.저자가 톨스토이의 소설 이반일리치의 죽음을 인용한 이유는 무엇인지?
Q1. 어떤 환자 사례가 가장 기억에 남는지
- 성공적인 사례
- 비극적인 사례
Q2. 펠릭스와 벨라부부를 보고 느낀 것은 무엇인지.
Q.3.6장 Sara Monopoli’s 의 마지막 순간이 서술되어 있는데요, 여러분은 그 순간에 그녀와 담당의사가 무엇을 했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Q4. 저자가 말하는 죽음의 의료화란 “medicalized mortality” 무슨 뜻인지?
Q5. 저자는 의료비 지출의 25 %가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5 %의 환자에게 돌아가는 통계를 인용합니다. 의사 및 가족이 치료를 거부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우선 순위는 어떻게 설정해야할까요?
Q6.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중환자실과 호스피스를 선택해야 한다면 그 기준이 무엇일까요?수잔 블록의 아버지의 기준은 쵸코렛아이스크림을 먹을 수 있고 티비로 풋볼을 보는 것이었는데 당신자신이 마지막 순간에 결정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Q7. 누군가 돌아가시는 것을 본 적이 있는지. 그것이 당신 자신의 마지막 순간과 죽음에 영향을 주었는지?
Q. 8 당신 자신이 심각한 질병에 직면했다면 의사에게 무엇을 원하겠는지?
Q. 9 저자의 아버지의 투병과 호스피스 임종을 어떻게 보았는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