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한 중요한 페미니즘 작품
⊙ 결혼은 그 자체로 성 차별적 제도
여자는 남편의 이름을 쓰고 남편의 존재에 기반한 새로운 삶을 구조해야하 기에
⊙ 화자와 레베카 두여자 모두 결혼제도를 이용함
- 그녀의 정체성을 얻기 위해
- 레베카는 그녀의 신원을 보호하고 은폐하기 위해
⊙남성역시 가부장제가 그 주제에 가하는 억압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정의하는 또 다른 만족스러운 방법을 찾지 못하기도 한다.
■ 레베카에 나타난 금지된 지식/실재의 귀환과 가부장제의 비밀
▶ 작품 발표 당시 대다수의 대중들과 초기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대중적 취향에 맞는 전형적인 로맨스로 봄
- “원형적인 로맨스 소설”(archetypal romantic novel, Guardian, 20 April 1989) (가디언)
- 데일리 텔리그라프(Daily Telegraph)는 모리에를 “마지막 위대한 로맨스 작가”
(last of the great romantic writers, Daily Telegraph, 20 April 1989)라고 예찬
▶ 그러나 작가는 이 작품을 심리를 그린 소설이라고 말함
- 작가는 여성 주체가 어떻게, 그리고 어떤 대가를 치르고,
무지한 상태에서 지식을 가진 상태로 변하는지보여주는 데 궁극적 관심이 있었다.
- 만들레이- 화자의 꿈의 실현되는 곳이지만 꿈에 나타나며 사라졌고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곳으로서
근본적으로 허구에 지나지 않으며, 내부적이던 외부적 요인에 의해서든 간에 언제든지 붕괴될 수 위험에 처해 있는 곳 임
▶ 맥심(Maxim): “행동 규범의 동의어”라는 뜻
(synonym for a rule of conduct, Daphne Companion 56)
- 남편 맥심의 말이 지켜야 할 “행동 규범”이며, 아버지의 말과 같다는 의미
남편 맥심의 말을 아버지 말처럼 복종하고 따라야 하는 것
- 라캉의 관점에서 보자면 맥심은 “아버지의 법”과 질서가 지배하는 라캉적 상징계의 대변자이며, 만들레이는 귀족의 전통적 가치나 가부장적 시스템의 상징을 넘어, 아버지의 법이 실행되는 라캉적 상징계
▶만들레이의 금지된 서쪽 익면은 호전적인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사회의 적극적인 억압을 명시
▶여성성이란 결국 가장무도회와 같은 것
그림- 가부장적 체제 하에서 조작된 여성성의 본질
▶육신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적이며 도전적인 여성상을 상징하는 레베카는 끝까지 가부장적 억압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며 주체
▶기득권층 남성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지키기 위해 맥심을 조력
■대프니 듀 모리에의 『레베카』에 나타난 젠더 이데올로기와 가부장제
Gender ideology and patriarchy in Daphne du Maurier’s Rebecca 이다현
▶ ‘나’, 맥심, 레베카의 관계와 갈등을 통해 가부장제와 젠더 이데올로기의 결점과 허상이 드러나며,
- 작가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이상적으로 간주되었던 전통적 여성상의 종말을 그려냄으로써 레베카와 같은 현대적 여성상의 승리를 보여주고 있다.
▶ 『레베카』집필 당시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적 시대 흐름과 이에 대항하는 여성상을 중점으로 분석
- 기존 로맨스 장르를 따르지 않고 오히려 전통 로맨스 소설을 해체(Gina Wisker)
- 고딕 요소를 가미
- 그러나 “참된 사랑, 가정관, 사회 계급, 그리고 여러 가지 사회 정치적 및 개인의 연속성에 대한 믿음을 흔든다
- “로맨스 소설의 기초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기존 서사의 궤도를 어지럽히고, 로맨스 소설의 억압과 파괴적인 신화를 폭로한다. . . . 장르의 관습은 어지럽혀진다”
( The conventions of the genre are troubled, Wisker 84).
▶ 레베카의 대항의식은 “어떤 남성도 그녀에 대한 통제력을 장악하는 것이 불가능"
▶ 남성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의 천사 및 괴물의 이미지의 이분화
길버트(Sandra Gilbert)와 구바(Susan Gubar)
『다락방의 미친 여자』19)에서 말하는 “여성을 극단적인 고정관념(천사, 괴물)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여성이 자신의 자아, 즉 주체성, 자립성, 창조성과 극심히 갈등하게 만든다” 48). 이러한 고정관념은 여성에게 위협적인데, 그 이유는 그들이 사회에서 “천사처럼 행동하지 않으면 괴물로 취급받는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
▶작가가 생전에 겪었던 남녀 차별적인 이데올로기와 시대상이 드러나며, 가부장제와 전통적 여성상에 대한 듀 모리에의 비판적 시각
▶가부장적 사회와 맨덜리 저택, 그리고 그 중심에 있는 가부장 맥심 드 윈터를 분석할 것이다.
맥심이 남성으로서 자신의 영향력과 권한이 여성인 레베카에 의해 축소되자 위협을 느껴 레베카를 살해
▶섹슈얼리티는 가임의 문제와도 연결
▶ 전통적 여성상과 현대적 여성상을 각각 드러내는 두 인물들이 대조적인 듯 보이지만
가부장제에 대항하는 여성으로서 서로의 알터 이고(alter eg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