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독서동아리 하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0. 25.
구산동도서관마을 학부모독서교육특강5 강(2018.5.3)-그림책 형식 및 구조 그림의 text와 글 text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5. 5.
구산동도서관마을 학부모독서교육특강 4강(2018.4.27)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4. 28.
구산동도서관마을 학부모독서교육특강 3강(2018.4.20) 김은하 선생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4. 21.
구산동도서관마을 학부모독서교육특강 2강(2018.4.13) 김은하 선생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4. 13.
청소년 독자 개발, 책 생태계가 함께 할 일 1. 한국의 청소년은 어떻게 읽는가? ▶ 습관적 독자, /간헐적 독자, / 비독자( 중학생의 54%, 고등학생의 78%가 비독자나 간헐적 독자) (독서운동가인 책과교육연구소 김은하 대표)3. 간헐적 독자와 비독자를 위한 책•난독증을 가진 아이들(전체의 5%, 33만명)을 위한 책•구어적 표현이 많은 단편집과 챕터북•이야기의 예측가능성이 높고 동일시할 수 있는 캐릭터를 가진 시리즈물•읽기 수준이 낮은 아이들을 위한 하이-로(High lnterest Low Readability) 책 연령대는 맞지만 난이도가 쉬운 책 연령이 같으면 관심사나 흥미, 사고 수준이 엇비슷할 확률이 높지만 읽기 수준은 일반적으로 천차만별 이런 개념을 한국 출판사들도 도입하거나 추천도서목록 작성해야 ■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책 •추리,.. 2016. 12. 27.
독서동아리 지원사업 『서대문 독서동아리』 란? ※ 『서대문 독서동아리』 란? 함께 책 읽고, 생각하며, 삶을 나눌 주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3명 이상의 회원이 월 1회 이상 정기모임을 갖는 독서동아리입니다. ❍ 동아리 혜택 1) 토론 책 제공 : 예산의 범위 내에서 월 3권 이내로 지원(공유서가 활용) 2) 활동 공간 연계 지원 3) 우수동아리 시상 및 사례발표 ❍ 활동 장소별 특성 1) 작은도서관 - 마을과 인접하여 접근성이 좋음 2) 구립도서관 및 교육청서대문 도서관 - 평일 야간 및 주말에도 활동 가능 2016년도 우수 학습동아리 지원사업 공고 1. 공모기간 : 2016. 2. 24. ∼ 3. 18.(4주간) 2. 지원자격 ○ 우리구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구성원의 다수가 우리구민으로 구성된 학습동아리 ○ 학습동아리 구.. 2016. 6. 5.
그림책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싶은 사람은 그림책 카페 '노란우산'으로 작성자 한기호 http://blog.naver.com/khhan21/220722605649 2016. 6. 2.
남자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책 초등 3/4학년 한 시간에 백 마일을 달리는 개 l 작은 책마을 37제레미 스트롱 (지은이) | 닉 샤렛 (그림) | 고정아 (옮긴이) | 웅진주니어 | 2003-12-30 | 원제 The Hundred-Mile-an-Hour-Dog (1996년) 초등 고학년/중학생에라곤 - 상 - 크리스토퍼 파올리니 지음, 정영목 옮김/청미래 에라곤 - 하 - 크리스토퍼 파올리니 지음, 정영목 옮김/청미래 2016. 6. 1.
영국의 독서교육- 독전경험, 개별화, 자율적 선택 영국의 독서 교육 - 김은하 지음/대교출판 http://www.morningreading.org/article/2009/09/30/200909301256101412.html .... 아이들은 책의 문자보다 오감으로 접하는 생활세계의 경험들에 더 큰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책을 읽고 나서 독후활동에 힘을 기울이지만 영국은 독후활동 못지않게 독전활동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아이들을 책의 세계로 인도하는 다양한 방식을 고안해내는 거지요. 그래서 경험이 먼저 오고 책은 나중에 옵니다. 작가가 살았던 장소로 수학여행을 가는 문학 투어도, 작가를 만나 소설을 쓴 단초를 묻는 저자와의 만남도 모두 아이들의 오감을 통해 책으로 안내하는 방법입니다. ...후자는 아이의 개별성이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전.. 2016. 6. 1.
책선택의 자율권을 줘야 메타인지능력이 향상됨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나갈 때 우리가 흔히 간과하고 마는 게 있다. 책 읽기는 언제 시작되는가? 책을 손에 들고 책장을 여는 순간부터인가? 아니다. 책을 고르는 순간부터이다. 책을 읽는 것과 읽을 책을 고르는 것을 분리시킴으로써 책 읽기에서 선택의 기회를 경험하지 못할 때, 우리는 왜 ‘책을 읽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심대한 의미있는 답 하나를 놓치고 만다. 김은하가 전하는 대로, 정보탐색능력에 대한 전문가의 연구에 따르면, 책의 선택권을 많이 가졌던 학생들은 그렇지 못했던 학생들에 비해 정보를 훨씬 빨리 찾을 뿐 아니라, 훨씬 더 효율적인 찾기 전략을 쓰고 정확도가 더 놓은 정보를 찾아낸다. 그리고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도 끈기를 가지고 기꺼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 2016. 5. 28.
남자아이들을 위한 독서 지도 해법 독서교육 전문가 김은하씨는 남자아이들을 위한 독서 지도 해법으로 △남자아이가 선호할 만한 책 고르기 △독서 후 설명할 때 명확하고 구체적이고 시각적일 것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남성 역할모델 제시해주기 등을 조언합니다. 남아들은 자기가 원하는 이미지와 역할모델을 찾을 수 있는 남성이 주인공인 책, 동일한 등장인물과 비슷한 이야기 전개 방식으로 익숙하고 독해하기 편한 시리즈물, 유머나 엉뚱함, 말썽이 들어가 있는 이야기책, 감정보다는 행위 묘사에 초점을 둔 책, 시각적 요소가 곁들여진 책 등을 선호한다 2016.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