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중표 교수의 붓다의 연기법 괴로움을 일으키는 심적매커니즘을 단절하고 평안의 마음을 얻는 것 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에서 인간은 물질 이상, 이하도 아닌 초라한 존재임 우리는 현재 잘못된 사고방식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존재'라는 것이 있다는 생각이다. 4회- 욕계 색계 무색계 - '세상은 무엇, 존재로 되어 있다'고 하는 생각에 깔려 있는 것 시간과 공간은 절대적으로 있다는 전제가 바탕이다. - 그러나 세상은 연기, 존재가 없다. (시간과 공간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중생들의 마음으로 만들어 낸 것) - 분리되는 시간과 공간은 없음 불교의 삼계는 욕계 색계 무색계 각각 욕망/색계/ 생각는 지각을 통해서 만든 세상 마음을 떠나서는 성찰해서 알아야. 5회 - 존재와 조건 - 다르마는 조건이 갖추어질 때 나타나는 것이다. '존재.. 2021. 4. 13.
양자역학=불교= 상호연결 P. 73 독자적인 자기동일성이나 자성이 없는 연속성이 중관사상과 양자역학의 핵심 원리이다. P. 122~123 일단 그것이 우리 자신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하면, 우리는 그것이 다른 사람들 속에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너무나도 당연하게 독립적인 존재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괴로움을 겪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강한 자비의 감정이 생긴다. 이렇게 하여 우리의 개인적인 경험은 보편화되고, 공성(空性)은 자비를 일으킨다. 바꾸어 말하면, 실재에 대한 깊은 지식은 보편적 자비를 일으킨다. P. 125~126 나는 언제나 내 자아를 확인하려고 애쓰고 있으며, 나 자신과 타인들에게 내가 얼마나 중요하고, 재능있고, 훌륭한 존재인가를 증명하려 한다. 물론 이것은 나만 그런 것이 아니다. 우리는 모두 .. 2021. 4. 13.
불교책들 목차 [1] 불교와 생명과학(2011) 『불교가 좋다』, 동아시아 『반야심경』 제레드 다이아몬드, 『제 3의 침팬지』 샤론 모알렘, 『아파야 산다』 스티븐 제이 굴드, 『다윈 이후』, 사이언스 북스 [2] 불교와 현대물리학(2011) 데이비드 보더니스, E=mc^2(생각의 나무) 브라이언 그린, 엘리건트 유니버스(숭산) [3] 불교를 탐구한다 시즌1- 초기경전과 불교철학사, 그리고 붓다의 생애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초기불전연구원 , 현암사 민족사 동국역경원 북드라망 사티스찬드라 외, 김형준 옮김, , 예문서원 이효걸, , 예문서원 다카하시 신지, , 해누리 시즌2 - 초기불교 경전 천천히 읽기 『우다나-감흥어린 시구』,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테라가타-장로게경』,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 2020. 11. 22.
/ Abc 마치 자전거를 타거나 악기를 연주하게 되듯이 몸이 무아를 기억하게 되는 것입니다. 심신을 지배하는 실체로써의 주인이 사라지고 연기의 과정으로 현실을 살아가게 됩니다. 여기에서도 주체적 중심이 있지만 구심점으로써의 기능만 수행할 뿐이며 주인 노릇을 하지 않습니다. 돈오는 없던 일을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있는 일을 알게 되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는 의식의 변화입니다. [출처] 수행과 돈오점수|작성자 소공 2020. 11. 20.
유식학과 분석심리학 / 김경일 [43호] 2010년 06월 25일 (금) 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7 불교평론 [논단] 인도인 싯다르타와 그리스인 조르바의 조우 / 유응오 -서양문학에 나타난 불교사상 서양 불교문학의 두 전범(典範) 홍기삼 문학평론가는 《불교문학의 이해》 중 〈불교문학이란 무엇인 www.budreview.com 분석심리학에서는 인간정신의 궁극의 지향점을 자기실현이라고 한다. 자기를 실현한다는 것인데 자기란 무엇을 뜻하는가? 자기는 자아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으로서 지금 여기의 나를 주재하는 정신이라면 자기는 전체 정신의 중심을 말한다. 의식과 무의식을 통틀어 온전한 ‘나’를 지칭하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본래의 나(本性), 주인공, 법신(法身), 일심(一心), 진여(眞如), .. 2020. 11. 10.
불교의 연기론으로 본 사랑:D. H. 로렌스의 『사랑하는 여인들』 blog.daum.net/windada11/8770533 불교의 연기론으로 본 사랑: D. H. 로렌스의 『사랑하는 여인들』 . 불교의 연기론으로 본 사랑: D. H. 로렌스의 『사랑하는 여인들』 강 용 기 (전남대학교) I. 로렌스(D. H. Lawrence)의 작품세계가 전체적으로 서구문명비판을 기본 배경으로 삼고 있는 점을 감안하 blog.daum.net 2020. 11. 10.
from 'I' to nonself ▶ 붓다 IQ 3,000 (인식의 내용이 아니라 인식의 방식과 한계를 꿰뚫어 알아차렸다는 의미??) ▶ 무아 ① 현상계의 바탕(실상계)을 설명하고, 연기는 ②인식의 대상인 현상계를 설명 ▶'나'는 사고의 기능에 불과함. - 그러나 '나'가 현상이라는 것이 깊게 관념화되어 있다. :종일 반복되는 영화관의 시스템과 무관하게 전개되는, 영화의 스토리와 같다. - 그 '나'는 음향기나 영사기가 고장나거나 스크린이 찢어지거나 관객이 없다면 존재하지 않는다. 하늘의 파란 바탕이 실상이다. ▶ 사고지능과 생존지능 - 인간은 사고 지능과 생존 지능이라는 두 가지 지능을 모두 갖고 살지만, 사고 지능이 전부라고 착각하며 관념적으로 살게 된다. - 생존 지능은 앎의 대상이거나 앎의 기능이 아니고 발휘되는 능력, 그러나 이.. 2020. 9. 20.
'나'는 누구인가? 기억과 자아의 동일성 -. 기억의 동일성은 자아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 김성구(현대물리학으로 풀어본 반야심경 - 21강) 2020. 9. 20.
철학분류 형이상학 - 형이상학 - 행동철학 - 정신철학 가치론 - 사회&정치철학 과학, 논리, 수학 - 생물철학 논리적 전통 - 대륙철학 논리와 논리철학 인지과학철학 2020. 9. 17.
충실한 그에게 이 과정은 '나'를 닦는 과정이라기보다는 관계를 닦는 과정 관계를 닦는 과정 깨달음을 이전에는 사성제, 이후에는 팔정도 사성제 팔정도... 하나의 변곡점(그저 한 줌의 정보 다발일 뿐 )- 삶은 바뀌지 않는다. 몸의 훈련을 통하여 무의식을 바꾸어야 삶이 바뀜 (염주를 돌리고, 염불을 하고, 호흡을 세고, 몸을 지켜보고, 생각 걷어차기 등) 이런 행동을 통해 무의식적인 조건화들의 실체를 이해하는 것- 자아상의 허구성이 깨지게 됨 충실한 그에게 이 과정은 '나'를 닦는 과정이라기보다는 관계를 닦는 과정입니다 이때의 노력은, 조작하려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노력해야 할 일이 수용되는 것입니다. 2020. 9. 11.
지금 이대로 이미 무아이며 진리 그 자체 생각의 프레임이 재촉하는 노력과 상관없이 지금 이대로 이미 무아이며 진리 그 자체라는 것을 이해하고, 그 이해에 기반하여 살게 되는 것이 깨달음 blog.naver.com/bestprpr/221005672857 '나'와 무아(無我)의 공존 모든 사람의 '나'는 무아(無我)와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깨달은 사람은 그 사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blog.naver.com 생각의 프레임이라는 것은 계속 목표를 만들어 사람이 그 안에 에너지를 쏟게끔 만드는 것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무의미한 행위들을 용인할 수가 없다. 추구한다는 진리조차 그런 생각의 프레임에 가두어버린다. 깨달은 사람들은 욕망, 고통, 불안이 없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부분이 공존함을 아는 것 '나'가 고도의.. 2020. 9. 11.
사성제와 팔정도 사성제: 깨어나기 위하여 노력하는 수행 팔정도: 무아와 연기에 기반한 가치체계를 지향하고 그러한 기억과 사고를 잘 활용한 언행을 하며, 일상에서 무아와 연기의 원리를 바르게 실천하려는 의념과 집중이 흩어지지 않는 것 고오타마가 깨달음을 얻고 나서 '스스로'에게 무익한 일을 하며 살았습니다. 그리고는 제자들에게도 그렇게 살아가라고 남긴 것이 팔정도의 가르침입니다. 그들의 삶은 무아와 연기에 입각하여 힘차게 펼쳐져서 사회에 유익한 것입니다. m.blog.naver.com/bestprpr/221875002129 팔정도(八正道) "선의 본질을 알았다면, 안목이 정확히 관통하였다면 그뿐이다. 이치를 알았다면 현상을 논하지 않는다." ... blog.naver.com 2020.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