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벽독토

새벽독토 18기(2) 〈떨림과 울림〉 (‘19.9.7) (김상욱/동아시아)

by 책이랑 2019. 9. 4.

새벽독토 18기 〈떨림과 울림〉 

 (‘19.9.7)     
  (김상욱 / 동아시아)

 ■ 자유 논제

1. 물리라는 인식의 틀을 통해  바라본 존재와 세계에 대한 생각을  담은 이 책에 대한 소감은?

▶ 4.7이다. 도서전에서 저자의 강의를 전율을 느끼며 들었었다.
"내가 먹은  음식은 나의  몸이 되고 내가 읽은  책은 나의 정신이 된다."는 말이 기억난다.
- 과학은 유전자, 원자 등의 연구를 통해 모든 인간의 토대가 동일하다는 것을 밝혀
평등에 기여한다. 
- 이과생으로서 다시 한 번 탐구하는 시간이었다.

▶ 재미있게 읽었다.  고등학교때 물리들 생각하면 운동관련 공식만 생각난다.
만일 이렇게 근본적인 이치 + 확장설명 이런 식의 배움이었으면 잘 배웠을 것 같다.
- 부처님이 자신의 발견을 그 시대의 정신에  맞추어 설법했던 거라면
지금 과학자는 부처와 동일한 것을 말하되 거기서 
감정, 생각을 빼고 이치만을 얘기하는 것 같다.  과학자가 설명하지 않는 나머지는 불교가 설명~~~~

- 뒷부분으로 가면서 저자의 사고가 확산되어가는데  과학이라는 영역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 보는 시간이었다, 


▶ 연계해서 읽을 수 있는 책이 많은 책이다.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전 물리학과 교수인 김성구 교수의 <아인슈타인과 우주적 종교>와 같이 읽어서
이 책 만으로는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을 보충하며 읽었다.


부분과 전체 - 10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지음, 유영미 옮김, 김재영 감수/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10. 양자역학과 칸트철학(1930~1932)
11 .언어에 대한 대화(1933)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 - 10점
김성구 지음/불광출판사
3 마음과 삶
4 연기법 
5 양자역학과 중도의 원리
6 실재성의 문제와 관찰자의 의식





의미에 대한 이야기를 빼고 끝까지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자세를 견지하다가 
마지막 단락에서 인간에 대해 얘기하는데 이 부분이 인상깊다.

 지금까지 우리는 기본입자에서 분자, 인간을 거쳐 태양과 은하에 이르는 우주의 모든 존재와 사건을 훑어봤다. 결국 물리학이 우주에 대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 걸까? 물리는 한마디로 우주에 의미가 없다고 이야기해준다. 우주는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뜻하지 않은 복잡성이 운동에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거기에 어떤 의도나 목적은 없다. 생명체는 정교한 분자화학기계에 불과하다. 초기에 어떤 조건이 주어졌는지는 우연이다. 하루가 24시간이거나 1년이 365일인 것은 우연이다.

(...)

 그렇지만 인간은 의미 없는 우주에 의미를 부여하고 사는 존재다. 비록 그 의미라는 것이 상상의 산물에 불과할지라도 그렇게 사는 게 인간이다. 행복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행복하게 살려고 노력하는 게 인간이다. 인간은 자신이 만든 상상의 체계 속에서 자신이 만든 행복이라는 상상을 누리며 의미 없는 우주를 행복하게 산다. 그래서 우주보다 인간이 경이롭다. (p.250-251)


▶ 글을 잘 쓰는 과학자다. 
물리학책인데 시같은 느낌이 나게 썼다.
-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사랑, 인간 관계까지 확장 하는 느낌이 든다. 논리적이고 차분해서 차가운 느낌이지만 그 안에 인간과 진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담겨 있다.


무언가를 확신하는 순간 과학은 더이상 과학이 아니라는 구절이 인상깊다.

“필자가 과학자로 훈련을 받는 동안, 뼈에 사무치게 배운 것은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인정하는 태도였다. 모를 때 아는 체하는 것은 금기 중의 금기다. 또한 내가 안다고 할 때, 그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물질적 증거를 들어가며 설명할 수 있어야 했다. 우리는 이것을 과학적 태도라고 부른다. 이런 의미에서 과학은 지식의 집합체가 아니라 세상을 대하는 태도이자 사고방식이다.”


▶ 이과생으로서 공업수학, 정역학, 동역학, 유체역학등을 좋아한다. 그러나 여름방학을 끝내고 난 지금은 '관계'보다 '고립'이 더 끌린다. 


- 다양한 분야에 대한 내용을 한책에 넣은 저자의 능력이 탁월하다고 느꼈고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이 담겨 있다고 느꼈다.
- 다만 모든 부분들이 
'깨달음을 얻으라' 라는 것에 강하게 집중되는 느낌...이다.

▶ 과학적인 부분을 인간사와 맞물려 이야기한다. 
내 생애에는 어떤  떨림과 울림이 있었는지를  생각해봤다.

▶ 강연을 듣고 
저자의 팬이 되었다.
그것을 계기로  
물리책 여러 권을 집중적으로 읽었었다.




3. "인간은 울림이고 떨림" 이라는 말에 대한 생각은 ?

<죽음 앞둔 최민수가 박상원에 남긴 마지막 말 
~ “나 떨고 있냐”. 1
995.02.16(목) 방송>

Image result for 나 떨고 있냐

태수 : "우석아..미안하다 여기까지 오게해서" 

우석 : "금방..끝날거야" 
태수 : "나..떨고 있냐" 
우석 : "아니." 
태수 : "그게 겁나..내가 겁낼까봐." 
우석 : "너..괜찮아." 
태수 : "그래." 


▶ 자연계에는 공명(공진)현상(resonance)이 있다.

강제진동의 진동수(Forced frequency)와 물체의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가 일치할 때 진폭이 점점 커지는 현상을 말하며 대표적으로는 미국 타코마 다리 붕괴현상이 있다.



- 1930년대 미국 워싱턴 주 타코마 시에서 현수교가 유행
- 당시 최고의 교량 설계자로 알려진 레온 모이쉐프(Leon Moisseiff)에 의해 설계되었고, 1938년 착공되어 1940년 7월에 개통

- 별 거 아닌 바람에도 큰 흔들림을 계속 보이더니 결국 개통 넉 달만인 11월 7일 오전 11시에 붕괴된 사건.

 타코마 다리를 무너뜨린 범인은 공진이 아닌 ‘플러터(flutter)’ 현상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졌을 때 주날개와 꼬리날개가 공기의 힘에 의해 격심한 진동을 일으키는 현상.  플러터 현상이 심해지면 날개의 공중분해가 일어나므로 비행기의 운용은 플러터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의 속도로 제한된다.
주날개와 꼬리날개의 구조를 튼튼히 하고, 날개의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를 높이면 고속일 때도 플러터는 발생하지 않지만, 필요 이상으로 튼튼하게 만들면 구조가 무거워져 비행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플러터는 공진과 전혀 무관한 현상은 아니지만  타코마 다리는 바람이 일으킨 진동이 다리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해 공진이 일어난 것은 아니라고....)

조직, 인간 사회에도 독자적인 주파수가 있다.
우리나라 대기업의 경우에도 창업자의 개개의 직원에게서 느껴진다.
- 중후장대(重厚長大) 한 기업이 있는가 하면 경박단소(輕薄短小) 한 기업도 있다.

▶ 가정내에서도 엄마의 호흡은  아이들에게 영향을 준다.
불교에서 실천적으로 명상과 이를 통한 호흡의 관리를 말한다.

▶떨림과 울림의 사전적의미를 찾아보며 의미를 찾아보려고 해보았다.
울림은 반응에 대한 고려가 더 큰 개념이다. 

▶ 말씀을 듣다보니 나의 울림이 또다른 울림이 된다는 생각이 든다.
- 나의 울림은 주변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 그 영향력을 생각해서 조절하는 것도 필요하며
나는 주변의 미세한 떨림을 감지하고 있는가, 반응하고 있는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4.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개념이 혼재하는 것이야말로 자연의 본질” 
 "공존할 수 없는 개념의 공존은 이 시대의 새로운 사고방식” 
 이중성duality’, 상보성(complementarity’)
에 대한 생각에 대해


▶ 이중성과 상보성이라는 개념은 인간 인식의 한계를 의미한다고 이해했다.
- 세상의 근원으로서 물질에 대한  탐구를 거듭하다가 원자의 안을 들여다보니 
물질= 실체가 있는 것이라는 개념이 성립할 수 없는 지점에 오게 되었다.
그런데 이걸 설명할 방법이 아직 없어서 지금단계에서는 '이중성'과 '상보성'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한다.  그러나 지금 설명할수는 없으나 현상은 분명히 관찰되고 있다.

▶ 으로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닌 경우가 많다.
 " 모든 것을 다 가진 것은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것과 같다"라는 말이 있다.
- 한 TV프로그램에서  천국같이 보이는 폴리네시아에 사는 한국사람을 부러워하자 여긴 아무것도 없다고 대답하는 것을 봤다.

▶인간은  무언가를 가르는 방식, 구별 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기 때문인 것 같다.
- 우리가 앤트맨처럼 작아진다면 몸이 컸을 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볼 것이다.
이렇게 영웅들을 끌어와 이야기를 전개한 책이 있는데 재미있게 읽었다.

설명이 안되는 모순을 발견 하면  양립할 수  없는 것을 '예외'로 한쪽에 놓는다.
그것을 예외로 놓지 않고 같이 있는 것을 인정할 때 비로소 현상을 잘 파악알 수 있다.

▶나를 둘러싸고 있으나, (나에게) 보이지 않는 세상을 해석하는 방법 이라고 생각이 든다.

▶ 영화 
컨택트에서 햅타포드는 과거-현재-미래의 구분이 없이 전체를 통으로 인식한다.
 '현재'라는 말은  단순히 이야기 하기 위해 사용할 뿐이다.
그렇게 사고방식이 다르다면 이것과 저것에 대한 생각도 다를 것이다.
상보성도 이해를 위한 것이다.

▶ 이 남자와 이혼할 걸 알면서도 결혼하고 딸이 죽을 것을 알면서도 낳고 키운다는 설정이 생각난다. 영화 어바웃 타임에서 아버지는 하루를 살아보고 난후, 그 하루를 다시 살아보라고 말한다.  이건 삶의 질'에 관한 얘기라고 생각이 들었다. 같은 삶이지만 더 충만한....

..........힘든 날이었다....그다음은 아빠의 계획 2단계다'거의 똑같이 하루를 다시 살라'고 말씀하셨다두번째는 처음엔 긴장과 걱정 때문에 볼 수 없었던세상의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말이다.




▶ 이 개념은 소수자에 대한 말이기도 하다. 우리는 공존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그들을 소수자로 구분하고 그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 상보성이란 같이 있는 것 만으로 새로움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말이다.
 공존에 관한 말이다.






5. 과학의 사회적 결과에 대해 '과학적 의심'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해

▶ 피해는 동일하지 않다. 계급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다르다.

드러나지 않은 화학제품의 피해가 많다. 세대를 지나면 예상하지 못한 일을 겪을 수 있다.


▶ 5G 기술의 경우 
한국은 5G 서비스를 개시했지만 ,  벨기에 정부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5G의 시험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른 나라에서는 중단한 기술이 어떤 나라에서는 아무런 비판을 받지 않고 있고, 더 강화하려 하고 있다.

 "저는 시민을 보호해야 하는 전자파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5G이든 아니든 그러한 기술을 환영할 수 없다. 브뤼셀의 사람들은 우리가 수익을 위해 팔 수 있는 실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떤 의문도 남겨서는 안된다" - 벨기에 환경장관


"세계 여러 곳에서 5G 안테나가 도처에 세워지고 있고 주변인들이 이미 아픈가 하면, 곤충의 수가 영향을 받고 있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있다"

vs. 
 "우리는 현재 점점 더 많은 타워를 세워야 하고 사업자들은 그걸 통해 지구의 어느 곳에서나 5G가 이용 가능하도록 하기를 원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부분이다. 과거에는 논문이 더 많았고, 우려도 더 컸다. 차이점이라고는 사람들이 전화기에 중독된 것 뿐"

▶국제적 화학거대기업의 경우 자국내에서는 제한을 받게 되면 생산지를 다른 나라로 옮긴다. 그리고 유해를 알고 있어도 현지 기준상 저촉되지 않으면 O.K.다

▶과학자들의 책임론을 말하지만 개인이 하기가 힘든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 아닌가?

▶개인이 욕망과 욕구의 경계선에서 선택을 해야한다고 본다.
- 물티슈는 싼값에 살 수 있게 되었는데  몸에 묻어나는 미세플레스틱 문제가 있다.

▶과학을 얘기할 때 잠재적 위험보다는 혜택만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회적 영향 등을 생각해야 한다. 과학에 대한 비판적 사고인 과학철학을 전공하는 교수들이 있어서 반가웠다. 

▼ 과학철학은 현대 과학에 대한 성찰을 제공한다
전문가 집단 내에서는 그 전문 분야에 대해서 객관적이거나 비판적인 시각을 갖기 힘들다. .... 과학의 권위와 힘이 커질수록 역설적으로 과학철학의 역할은 더욱 요청된다. 

과연 과학자와 과학철학자의 생각은 어떻게 같고 다른지,
초월하려는 ‘과학’을 향해  vs.  반성하는 ‘철학’이 어떻게 문제 제기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해보자. 



미래는 오지 않는다 - 10점
전치형.홍성욱 지음/문학과지성사


P. 88~89  기술이 발전해도 사회적 불평등이 증가하는 것처럼 사회의 어두운 면이 더 심화될 수도 있습니다..... 미래를 기술 중심적으로만 생각하면 이런 복잡한 관계들에 주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강 「기술과 유토피아」)  

P. 105~106 자동차는 말똥으로 인한 도시 오염 문제를 해결할 ‘청정기술’로 각광을 받았지만 새로운 환경 문제를 낳았음... 기술에는 이렇게 여러 가지 얼굴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때는 그중 하나만 보는 경우가 태반. (3강 「기술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가」)  

P. 297~298 미래 예측은 미래에 대한 담론으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약속을 제공하는 것들이 많음 - 이를 설파하는 사람들의 역사관, 세계관, 정치적 의도 등을 담고 있고, 이를 공유한 사람들 사이에 일종의 연대와 결속감을 제공- 우리 사회의 현재 문제를 회피하는 대신에 이를 직시하고, 사회의 불평등과 위계를 강화하는 대신에 이것들의 해소를 꾀하는 담론이 어떤 것인가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8강 「미래 예측과 미래 담론」)  


▶그러나 우리 교육은 순응하는 능력, 불의를 보고 참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의심하는 태도는 길러주지 않는다.


▶ 벨기에 는 5G기술이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회사가 증명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압력이 사회에 존재해야 한다.



■ 선택 논제


1.누군가의 죽음으로 너무 슬플 때는 우리 존재가 원자로 구성되어  있고 모였다가 흩어지는 것이며 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떠올려 보라는  말에 대해
- 공감한다.
- 공감하기 어렵다.

▶ 공감하기 어렵다. 인간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인데
이 내용만으로는 수용하기 어렵다. 뭔가가 더 필요하다.

▶ 공감하기 어렵다. 저자가 생각하는 원자에 대한 개념과 의미가 나와는 다른 것 같다.
저자는=  원자가 되는 것이 우주의 시작으로 돌아가고  
 세계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멋지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지만

나에게는 이 말은  '재료'가 된다는 것으로 다가오며, 따라서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 사피엔스를 읽을 때 남겨 놓았던 메모가 떠올랐다.

“우리가 아는 한, 순수한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삶은 절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인류는 목적이나 의도 같은 것 없이 진행되는 눈먼 진화과정의 산물이다. 우리의 행동은 뭔가 신성한 우주적 계획의 일부가 아니다. 내일 아침 지구라는 행성이 터져버린다고 해도 우주는 아마도 보통 때와 다름없이 운행될 것이다. 그 시점에서 우리가 아는 바로는 인간의 주관성을 그리워하는 존재는 없을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부여하는 가치는 그것이 무엇이든 망상에 지나지 않는다.” -552~553


▶ 그러나 그것뿐이라면 너무 하는 것 같다.
나쁜 사람들이 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그들을 벌주는 원귀가 되고 싶다.


■ 토론소감, 기억에 남는 한 마디



▶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았다. 재미있는 토론이었다.

사유하는 과학자로서 저자의 확장된 생각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관심 있었으나 연결하고 있지 못한 것들에 대해 다리역할을 해주었다. 이 책이 보태져서 증폭될 것이다.  사실 내 평점은 5.0이었다. ㅎㅎ

▶ 다시 읽어보고 싶다.

▶<떨림과 울림>이라는 제목이 더 다가온다. 
내것을 크게 보는 시각이었다면 마음은 따뜻하게 주변에 반응하며 미세한 떨림에 더 예민해지고 싶다.

▶ 지난주 조정래 작가 북토크에서 저자의 단호한 결기와 울림을 느꼈다.
나 역시 울림을 전달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고자한다.

생각의 스파크를 경험한 책이었다.
저자가 추천한 책들을 이어 읽으려 한다.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Knocking on Heaven's Door: How Physics and Scientific Thinking Illuminate the Universe and the Modern World (2012년)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 10점
리사 랜들 지음, 이강영 옮김/사이언스북스

사이언스 클래식 25권. 이론 물리학자 리사 랜들은 하버드 대학교와 MIT 물리학과에서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종신 교수직을 획득한 것으로 유명하다. 입자 물리학과 우주론이 중첩되는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물리학자들이 꿈꾸는 미래의 물리학이 어떤 것인지, 바로 그 분에서 맹활약을 펼치고 있는 세계 최정상급 여성 물리학자의 육성을 통해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
입자 물리학에서 우주론까지의 현란한 도약과 융합이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물음에 답하면서 저자는 당시 세계를 지배하던 종교와 갈등을 빚어 가면서까지 연구를 계속했던 갈릴레오를 불러 내며 물리학과 과학의 가치, 역사, 기초를 탐구하고 있다.



제물포의 뜻을 아시는지?
(쟤) 때문에 기했어의 줄임말 물리를 신비롭고 심오한 학문으로 만들어 그 수준에 범접하지 못하는 일개 중생들을 물리로부터 퇴치하는 마력(...)을 가지고 있는 학교 물리 선생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러나 오늘은 물리책을 통해 흥미로운 토론을 해 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