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내가 그들이 몰랐던 거대한 발전을 보여준다는 이유로 나를 종종 낙천주의자라고 말한다. 그럴 때마다 화가 난다. 나는 낙천주의자가 아니다. 순진한 소리나 떠벌리는 사람이 아니다. 나는 아주 진지한 '가능성 옹호론자'다. 이는 내가 지어낸 말인데, 이유 없이 희망을 갖거나 이유 없이 두려 워하지 않는 사람, 과도하게 극적인 세계관에 끊임없이 저항하는 사람을 뜻한다. 나는 가능성 옹호론자로서 이 모든 발전을 바라 보고, 앞으로도 더 발전하리라는 확신과 바람을 갖고 있다. 낙천 주의가 아니라 상황을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며, 세계를 건설적이고 유용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People often call me an optimist, because I show them the enormous progress they didn't know about. That makes me angry. I'm not an optimist. That makes me sound naive. I'm a very serious “possibilist”. That’s something I made up. It means someone who neither hopes without reason, nor fears without reason, someone who constantly resists the overdramatic worldview. As a possibilist, I see all this progress, and it fills me with conviction and hope that further progress is possible. This is not optimistic. It is having a clear and reasonable idea about how things are. It is having a worldview that is constructive and useful.”
▶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아이들에게 겸손과 호기심을 가르쳐야 한다. 여기서 겸손이란 본능으로 사실을 올바르게 파악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 것이고, 지식의 한계를 솔직히 인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모른다”고 말하는 걸 꺼리지 않는 것이자,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을 때 기존 의견을 기꺼이 바꾸는 것이다. 겸손하면 모든 것에 대해 내 견해가 있어야 한다는 압박감도 없고, 항상 내 견해를 옹호할 준비를 해야 할 필요도 없어 마음이 편하다. - P357
▶ 과도하게 극적인 세계관은 우리 뇌의 작동 방식에서 나오는 탓에 바꾸기가 너무 힘들다는 결론. - 27, 28
▶ 현상=사실,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이 전부= 전분야에 적용, 뉴스와 기사= 지식 등의 태도가 아닌 비판적인 사고(현실의 이면)를 통해 그 지식을 재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절대평가’ 와 ‘상대평가’
행동하는 사람 vs. 행동하지 않는 사람- 어차피 내가 안나서도 정해진되로 된다.라고 생각할 수있다.
▶ 세상의 부는 축적되어 있지만 굶어죽는 사람이 있다. 그것은 문제, 하지만 미리 절망감을 가지기 보다 팩트에 근거해 세계를 보면 자기가 할 일을 알 수 있다.
▶ 그날 그날 뉴스만을 대하다보면 큰 흐름을 놓치는 삶을 살게 되지만 긴 호흡에서 인간과 역사를 돌아보면 새롭게 발견되는 지점이 있슴- 성찰, 일관성 : 일기
소설 my most unutterable truths – into an invented story.
‘세상은 둘로 나뉜다’는 거대 오해
사실충실성- 간극 본능을 억제하려면 다수를 보라
- 양극화 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실은 중간층에 다수의 사람이 존재한다.- P70
2장 부정 본능
나아지지만 나쁘다
좋은 소식은 뉴스가 안된다.
뉴스에 많이 나온다고 해서 고통이 더 큰 것은 아니다.
처음으로 6년 넘게 교육을 받고, 무상으로 대학에 진학위도 무상으로 땄다. 물론 세상에 공짜는 없다. 모두낸 세금이다. 두 아이의 아버지가 된 서른 살에 암 진단.
세계 최고의 의료보험 제도 덕에 공짜로 치료를 받아목숨을 건지고 성공한 이면에는 늘 다른 사람들의 도움.
가족과 무상교육과 무상의료 덕에 하수구에서 빠져나와 대학에 진학했다.
세계경제포럼에 참석했다. 혼자 힘으로는 절대 불가능한 일
스웨덴이 4단계에 오른 오늘날에는 아동 사망률이 1,000명당 3명에 불과하고, 그중 익사는 고작 1%다. 울타리를 치고, 보육 시설을 마련하고, 구명조끼 입기 운동을 벌이고, 수영을 가르치고, 공공 수영장에 안전 요원을 배치하는 데는 모두 돈이 들어간다.아동 익사는 스웨덴이 점점 부유해지면서 거의 사라진 많은 끔찍한 사고 중 하나다. 내가 발전이라고 말하는 건 바로 이런 것이다. 이런 발전은 오늘날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대분의 나라가 스웨덴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3장 직선 본능
많은 추세가 직선보다는 S자 곡선이나 미끄럼틀 곡선 낙타곡선 2배 증가 곡선으로 진행
4장 공포 본능- 주목 필터 -공포 대 위험: 실제로 위험한 것을 두려워하기
전쟁과 갈등 오염 테러 사실충실성
세계는 실제보다 더 무서워 보인다. (언론, 필터에 걸러진 것을 보기 때문)
실제위험 vs. 두려움
5장 크기 본능
80/20 법칙/ 수를 나눠보라 / 비교하고 나눠라
총량과 비율
6장 일반화 본능
집단 내 차이점을 찾아보라 특히 집단이 클 때는 더 작은 집단으로 더정확한 범주로 나눌 방법을 찾아보라. 그리고…….
· 집단 간 유사점을 찾아보라 서로 다른 집단 사이에서 매우 비슷한 점을발견하면 내 범주가 적절한지 점검하라. 아울러…..
· 집단 간 차이점을 찾아보라 한 집단(예: 나를 비롯해 4단계에 사는 사람들 또는 의식을 잃은 군인)에 해당하는 것이 다른 집단(예: 4단계에 살지 않는사람들 또는 잠자는 아기)에도 해당한다고 단정하지 마라.
• '다수'에 주의하라 다수는 절반이 넘는다는 뜻일 뿐이다. 언급한가 51%인지, 99% 인지, 그 중간쯤인지 질문하라.
생생한 이미지는 머릿속에 쉽게 떠오르지만,
- · 생생한 사례에 주의하라 생생하지만 일반 사례가 아닌 예외일 수 있다.
- 사람들은 바보가 아니라고 생각하라 어떤 방법이 이상해 보이면 그것이 어떻게 현명한 해결책이 되는지 호기심을 갖고 겸손한 자세로 생각하라.
· 지식을 업데이트하라 어떤 지식은 유통기한이 짧다. 기술, 국가, 사회, 문화, 종교는 끊임없이 변한다.- P262
7장 운명 본능
운명 본능을 억제하려면 더딘 변화도 변화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 점진적 개선을 추적하라 매년 일어나는 작은 변화가 수십 년 쌓이면 거대한 변화가 될 수 있다.
· ‘다수’에 주의하라 다수는 절반이 넘는다는 뜻일 뿐이다. 언급한 다수가 51%인지, 99%인지, 그 중간쯤인지 질문하라.- P232
8장 단일 관점 본능 전문직: 전문가와 활동가
“아이한테 망치를 주면 모든 것이 못으로 보인다”는 말이 있다.
가치 있는 전문성을 지닌 사람은 그 전문성을 활용할 곳을 찾고 싶어 한다. 그래서 전문가는 더러 어렵게 얻은 지식과 기술을 본래의 활용 영역을 넘어선 곳에도 적용할 방법을 고민한다.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수에 집착하고, 기후 활동가는 틈만 나면 태양에너지를 강조한다. 의사는 예방이 더 나을 법한 경우에도 치료를 장려한다.
훌륭한 지식을 해결책은 찾는 전문가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여러 해법이 모두 그 나름대로 특정 문제를 훌륭히 해결할 수 있겠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해법은 없다. 따라서 세계를 다양한 시각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273
단일 관점이 상상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걸 알아보는 것이고 문제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봐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단일 관점 본능을 억제하려면 망치가 아닌 연장 통을 준비하라.
· 생각을 점검하라 내가 좋아하는 생각이 얼마나 우수한지를 보여주는사례만 수집하지 마라.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점검하게 하고, 내 생각의 단점을 찾게 하라.
전문성 내 분야를 넘어서까지 전문성을 주장하지 마라. 내가모르는 것에는 겸손하라. 타인의 전문성에도 그 한계에 주의하라. 287
288 팩트풀니스. 마치와 못 도구를 잘 다룬다면 그 도구를 지나치게 자주 사요싶을 수 있다. 문제를 깊이 분석하다 보면, 그 문제나 내 해결책의중요성을 과장할 수 있다. 모든 것에 사용하는 하나의 도구는 없다.
는 점을 명심하라. 내가 좋아하는 생각이 망치라면, 드라이버나 스패너 또는 출자를 가진 동료를 찾아보라. 다른 분야의 생각도 마다.
하지 마라.
· 수치를 보되, 수치만 봐서는 안 된다. 세계를 수치 없이 이해할 수 없지만,
수치만으로 이해할 수도 없다. 진짜 삶을 말해주는 수치를 사랑하라.
· 단순한 생각과 단순한 해결책을 조심하라 역사는 단순한 유토피아적 시각으로 끔찍한 행동을 정당화한 사람으로 가득하다. 복잡함을 끌어안아라. 여러 생각을 섞고 절충하라. 문제는 하나씩 사안별로 해결하라.
· 수치를 보되, 수치만 봐서는 안 된다 세계를 수치 없이 이해할 수 없지만, 수치만으로 이해할 수도 없다. 진짜 삶을 말해주는 수치를 사랑하라.
· 단순한 생각과 단순한 해결책을 조심하라 역사는 단순한 유토피아적 시각으로 끔찍한 행동을 정당화한 사람으로 가득하다. 복잡함을 끌어 안아라. 여러 생각을 섞고 절충하라. 문제는 하나씩 사안별로 해결하라.- P288
9장 비난 본능
매질하거나 재발을 방지하는 능력도 줄어든다. 누군가를 손가락질하는 지극히 단순한 해법에 갇히면 좀 더 복잡한 진실을 보려 하지 않고, 우리 힘을 적절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추락했을 때 잠깐 졸았던 기장만 탓하면재발 방지에 도움이 안 된다. 기장이 왜 졸았는지, 앞으로 졸지않으려면 어떤 규제가 필요한지 물어야 한다. 기장이 졸았는지알아내느라 다른 생각을 못 하면 발전은 없다. 세계의 중요한 문제를 이해하려면 개인에게 죄를 추궁하기보다 시스템에 주목해야 할 때가 많다.
비난 본능은 일이 잘 풀릴 때도 발동되어 칭찬 역시 비난만큼이나 쉽게 나온다. 일이 잘 풀릴 때 우리는 아주 쉽게 그 공을 개인이나 단순한 원인으로 돌리는데, 이때도 대개는 문제가 훨씬복잡하다.
세계를 바꾸고 싶다면 세계를 이해해야지 비난본능에 좌우되서는 안된다
10장 다급함 본능- 도로 차단막과 정신 차단막
다급함 본능을 억제하는 법을 배우세요. 오늘 하루 특가!
우리가 ‘정말로’ 걱정해야 할 세계적 위험 다섯 가지
11장 사실충실성 실천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