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9년11월호, 월간불교문화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15|무아(無我) (3)__홍창성

by 책이랑 2020. 3. 24.

쓸모 있는 개념적 허구(useful conceptual fiction)로서의 나https://www.kbpf.org/166380/%ed%98%84%eb%8c%80%ec%a0%81%ec%9c%bc%eb%a1%9c-%ec%9d%b4%ed%95%b4%ed%95%98%eb%8a%94-%eb%b6%93%eb%8b%a4%ec%9d%98-%ea%b0%80%eb%a5%b4%ec%b9%a8-15%ef%bd%9c%eb%ac%b4%ec%95%84%e7%84%a1%e6%88%91-3__/


마음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 또는 본질을 가진 의식 상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연기에 의해 끊임없이 생멸하는 현상으로 존재한다.

마음의 존재 여부는 철학의 난제 가운데 하나인데, 현대 서양 심리철학이

풀지 못한 이 문제를 불교의 연기와 공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https://www.kbpf.org/166913/166913/


내 마음의 내용은 내가 아니라

나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그래서 내 마음은 내 것이 아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