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약
▶요약
* 질병이 역사, 문학, 사회적으로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서술
* 질병에 대한 혐오표현을 지우자?
① 질병에 관한 서술에서 전쟁의 은유를 사용하지 말라
② 질병을 보는 관점의 전환해야 한다.
③ 환자들에게 도덕적 책임감을 부여하지 말라
▶ 서구사회는 질병에 관한 은유를 사용함으로써
* 자신의 병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피해자들을 비난해 왔다.
* 하도 오랜동안 사회적 질병과 인간의 질병을 같이 기술해서(낙인찍기)
이제는 떼어놓고 기술하기가 어려울 정도
▶ 메타포는 현실을 주조한다.
- 메타포를 받아들이는 것은 그것이 가정한 상황을 현실이라고 믿게 되는 것임.
- 메타포는 그것이 발생한 곳의 문화를 토대로 만들어 진다.
■ 은유로서의 질병을 쓸 당시 미국의 상황과
손택의 생각의 근본을 알 수 있 참고 자료
< 사물의 원형 그대로>의 내용
![]() | 터프 이너프 - ![]() 데보라 넬슨 지음, 김선형 옮김/책세상 |
20세기의 매력적이고 논쟁적인 여섯 여성 지식인을 다룬 책.
저자 데보라 넬슨에 따르면 그들은 문체와 철학적 관점에서 서로 연관성이 있다. 바로 고통을 대하는 태도에서 유난히 ‘강인한’ 마음을 지녔다는 점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터프함’은 그간 여성의 미덕처럼 여겨져 온 감정 표현에 대한 혐오가 아니라, 작가의 윤리적 입장과 미학적 접근방식을 결정하는 ‘비감상주의적 태도’를 가리킨다.
▶ 손택은 언어와 관념이 질병의 실상을 덮어버리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
- 1) 비대해진 지성 2)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감각의 과잉으로 인해
사람들이 마취상태, 죽음에 근접한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함
(해석에 반대한다와 동일한 문제의식)
- 1960년대부터 저자는 감정의 양극성을 연구하고 있었다.
- 미학을 과도하거나 결핍된 감정의 해독제로 생각했다.
- 당시 미국은 베트남 전쟁(무감각)과 성적자유(과도한 감정)로 인한 감정의 문제가 있었다.
▶ 시대적 배경:
- 손택이 암진단을 받은 즈음 미국이 국가적 차원에서 암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후 10년 동안 암을 둘러싼 대중들의 생각은 크게 변화했다.
- 1971년 닉슨- 암과의 전쟁 선포(시중의 새각과는 다르게 이때는 "전쟁"이라는 단어 군사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 1971년 전미 암법안에 닉슨이 서명하고 1945년 생화학적 연구센터인 메릴랜드 포트 데트릭에 새로운 연구설비를 세운 후, 군사적 용어들이 암묵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함
(이곳은 향후 3년간 암연구센터로 기능함)
* 말하자면 암과의 전쟁은 비유적 '전쟁'이었슴
- 닉슨은 전쟁의 후유증을 암연구를 이용해 달래려 했던 것
- 그 이후 문화가 크게 바뀌어 1979년, 1983년 영화에 나올 정도로 암은 미국에서 희생자를 모욕할 능력을 상실했다.
▶ 손택이 <은유로서의 질병>에서 말한 빌헬름 라이히에 관한 서술은
터무니 없이 부풀려 진 것
- 라이히는 논문에서 다뤄지지 않알 만큼 별로 주목받는 작가가 아니었슴(이책의 저자의견)
- 손택의 주장과는 달리 라이히는 자신의 책에서 암에 관련있는 것으로 분노를 언급하지 않았다.
■ 어떤 때 은유가 사용되는지?
▶ 추상적인 것을 나타낼때,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것을 동원하여 서술함->은유가 됨
- 복잡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직접적이 아닌 ‘유기적 인과관계’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현상
▶ 은유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 마음에 와 닿고, 매력이 있으며, 마음을 편하게 하는 서사(narrative), 은유, 어구를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면, 그러한 표현의 이해에 관여하는 우리의 특정한 신경 경로가 계속 활성되어 결국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몸에 고착된 신경 경로는 강력한 프레임으로 작용해, 우리의 사고와 행동을 이끌고 제약한다.
ex) 범죄를 맹수에 비유하면 해결책을 잡아 넣는 것으로 지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범죄를 질병에 비유하면, 공동체를 치료하는 것을 해결책으로 지목하는 비율이 높아진다고 함.
▶ 언어가 사고방식을 만든다.
▶ "두 번째 언어를 갖는다는 것은 두 개의 영혼을 갖는 것이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카롤루스 대제)
=언어가 현실을 자아낸다
쓰는 언어에 따른 행동의 상이성
▶ 방향: 호주의 원주민 사회-바로 쿠크 쎄이요르 부족, 오른쪽 왼쪽을 쓰지 않고,
동서남북 등을 사용
시간의 배열도 풍경에 고정되어, 바라보는 방향을 바꾸면 시간 배열도 달리함
▶같은 사건이 일어났을 때 주목하는 대상이 다름(대상에 부여하는 가중치)
- ex) 우발적으로 꽃병이 깨졌을 때 스페인어 사용자는 누가 그랬는지 잘 기억 못함
(고의성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잘 기억함)
▶ 언어는 기초적인 인지적 결정이기에, 사물에 대한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 여러분이 어떤 언어를 말하는지가 여러분의 사고방식을 형성합니다. 이 점을 통해 이런 질문을 해볼 수 있습니다. "왜 나는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걸까?" "다르게 생각해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떤 생각을 나는 만들고 싶은 걸까?"
Q 이야기 해볼만한 내용
▶ 손택에 따르면, 암과 결핵의 이미지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 매도의 대상이 결핵에서->암으로타겟이 이동했는데
* 한때
①결핵은- 낭만과 연관지어
정열에 의해 소모되면 나타난다고 말해짐- 자아를 이미지로 퍼뜨린 첫번째 사례
② 암: 결핵의 낭만적 이미지와 다름
- 재미없고, 불충실하며, 부르조아적이다
- 암을 유발하는 성질머리가 있다는 식
▶ 왜 그 두 질병을 다루는 메타포의 그 차이가 중요한지?
▶ 저자에 의하면 정신이상자와 결핵이 어떻게 같다고 서술되고 있는지?
정신이상이나 심리적 과잉이 미화되거나 낭만화된 최근의 예는?
Auden—"Childless women get it, / And men when they retire"—as an example of this
▶ S에 의하면, 그러한 아이디어를 질병과 연관시키는 것이 무엇이 잘못인가?
According to S, what is wrong about attaching such ideas to a disease?
유대인은 사회의 암적 존재 말살, 폭력적 수단이 합리적인 대처 방법을 고려하기 시작함이런 생각을 강화시퀴고 유포시키는 문화적 마인드에 대해 말함
→ 이해를 돕기 위한 것보다는 이해를 망가뜨리는 정도에 이름
▶ 일반적으로 은유에 대한 S의 태도는 무엇인가? 그녀는 한결같은지?
손택은 은유가 뭐라고 여기는지?
What is S’s attitude to metaphor in general? Is she consistent? What does she mean
by metaphor
▶ S는 왜 분노하는가?
▶S는 왜 신체의 질병이 어느부위를 공격하는지가 중요하다고 하는지?
Why does S think it significant which part of the body an illness attacks?
▶질병은 어떻게 사람들을 개별화시키거나 뭉치게 하는가?
▶우리가 질병을 도덕화한다고 S가 언급한 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을 생각해 낼 수 있는가?
Can you think of ways other than those mentioned by S that we moralize disease?
▶당신은 S가 이 책을 이후로 심장마비 환자에 대한 태도나 암에 대한 태도가 바뀌었다고 생각하는지?
▶오늘날 질병이라고 라벨이 붙여지고 있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What other conditions do we deal today with by labeling them as illness?
▶병을 은유로 표현하는 것을 피할 방법이 있을까?
▶암에 관한 은유는 권위적이고 억압적일 수밖에 없을까? 몸과 사회의 은유에 대해서는?
Are cancer metaphors necessarily authoritarian and repressive? What aboutmetaphors of the body and societ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