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유식학과 분석심리학 / 김경일 [43호] 2010년 06월 25일 (금)

by 책이랑 2020. 11. 10.

www.budreview.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7

 

불교평론

[논단] 인도인 싯다르타와 그리스인 조르바의 조우 / 유응오 -서양문학에 나타난 불교사상 서양 불교문학의 두 전범(典範) 홍기삼 문학평론가는 《불교문학의 이해》 중 〈불교문학이란 무엇인

www.budreview.com

분석심리학에서는 인간정신의 궁극의 지향점을 자기실현이라고 한다. 자기를 실현한다는 것인데 자기란 무엇을 뜻하는가? 자기는 자아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으로서 지금 여기의 나를 주재하는 정신이라면 자기는 전체 정신의 중심을 말한다. 의식과 무의식을 통틀어 온전한 ‘나’를 지칭하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본래의 나(本性), 주인공, 법신(法身), 일심(一心), 진여(眞如), 불성(佛性) 등의 의미에 비길 수 있다.

자기를 실현한다는 것은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으로서 전체 정신을 통합하는 전일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무의식의 단계별 의식화 과정이 자기실현의 과정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