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틀랜드

by 책이랑 2022. 5. 6.

P. 318
그 시대에 여성 해방이 찾아왔다고들 하지만, 현실에서 가난한 여성들은 독립을 쟁취할 힘이 없었어. 때로 남자에게 의존해서 사는 게 죽음의 위험을 안길 때가 있었는데도, 가정 폭력은사회경제적 계층 어디에서든 일어나는 일이지만 남자를 떠날 능력이 없는 여자들이 살해당할 가능성이 더 높은 거지.


P. 328
˝내가 싸우지 않아서 그렇게 된 건 아니야.˝
베티가 가난한 여자였기 때문이었지. 그래서 분윳값을 얻으려고, 식구들 먹일 돈을 벌려고, 아이를 지키기 위해서 여러 남자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어. 경제적 권력은 곧 사회적 권력이야. 가난한 여자는 아무리 열심히 일하고 끈질기게 매달려도 둘 다 얻을 수가 없어. 


P. 344
가난한 여자들은 살아가기만 해도 폭력을 당할 수밖에 없어.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임신하고, 서빙을 하면서 예사로 성희롱을 당하고, 반복적인 육체노동으로 몸은 통증에 시달리지...
그리고 남자들에 의한 폭력이 있어. 가난한 계급 남자가 중간이나 상위 계급 남자보다 더 폭력적인지 어쩐지는 모르겠지만, 경제적 수단이 없는 여자가 폭력에서 벗어나기가 더 힘든 것은 사실이야. 

P. 406
경제적 궁핍은 여러 종류의 가난 가운데 하나일 뿐이잖아.
어떤 배경에 속한 사람들이라도 빈한함을 느낄 수 있지. 돈으로살 수 없는 무언가가 부족하고 결핍될 수 있으니까. 그러나 사회에서 수치를 부과하는 궁핍은 경제적 빈곤뿐이야. 사회에서, 문화에서, 자본주의 경제에서, 공공 정책에서, 사람들의 일상적 대화에서 가난은 수치로 다루어지지. 부유한 나라에서 가난하게살고 있다면 경제적 실패는 곧 정신이 실패했다는 뜻이라는 말을 흔히 듣게 될 거야.  

P. 406
가난하다, 곧 poor라는 단어가 돈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나쁘다는 뜻으로도 쓰여, ‘건강이 나쁘다 poor health‘, ‘시험 점수가 나쁘다 poor test results 등과 같이. 개인이 능력만 있으면 부를 창출할 수 있다고 믿는 나라에서 가난한 사람은 스스로를 나쁜 사람이라고 여기기 쉽지. 나를 키워준 분들도 스스로를 나쁘다고 생각하는 일이 많았어. 그래서 나도 나쁜 아이인 것처럼 취급받았지.
내 삶 최대의 행운이라면 내가 그게 옳지 않음을 알았다는거야. 내가 어딘가에서 빠져나왔다면 그건 사실 결핍감, 사회경제적 범주와 무관한 그 감정이었어. 내가 그럴 수 있게 도와준 게너야. 네 존재는 네게 행복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강변했고 따라서 나에게도 그럴 자격이 있다는 걸 알았어.  접기 

P. 406
가난하다, 곧 poor라는 단어가 돈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나쁘다는 뜻으로도 쓰여, ‘건강이 나쁘다 poor health‘, ‘시험 점수가 나쁘다 poor test results 등과 같이. 개인이 능력만 있으면 부를 창출할 수 있다고 믿는 나라에서 가난한 사람은 스스로를 나쁜 사람이라고 여기기 쉽지. 나를 키워준 분들도 스스로를 나쁘다고 생각하는 일이 많았어. 그래서 나도 나쁜 아이인 것처럼 취급받았지.
내 삶 최대의 행운이라면 내가 그게 옳지 않음을 알았다는거야. 내가 어딘가에서 빠져나왔다면 그건 사실 결핍감, 사회경제적 범주와 무관한 그 감정이었어. 내가 그럴 수 있게 도와준 게너야. 네 존재는 네게 행복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강변했고 따라서 나에게도 그럴 자격이 있다는 걸 알았어.  
오거스트, 이 나라는 아이들을 키우는 데 실패했어. 민주주의와 인도주의를 수호한다는 말을 지키는 데에도 실패했어.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것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체결한 신성한 약속이라기보다는 우리의 생각을 어지럽히는 유령에 가까운것 같아.
어쩌면 어떤 사회를 지속시켜주는 것은 희생과 돈, 권력의교환, 다시 말해 노력하면 얻을 수 있다는 근거가 빈약한 주장이아니라 아낌없이 내어주는 선물의 끝없는 선순환이 아닐까 싶어.
우리는 언제든 가장 고귀한 이상을 추구할 수 있으니까, 얼마든지 정직한 경제 체계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해. 이런 꿈은꾸어볼 만하지 않을까. 이런 목표를 위해서라면 매진해볼 만하지 않을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