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수자의 정보빈곤과 도서관의 책무

by 책이랑 2025. 1. 5.
Ⅰ. 글을 시작하며
Ⅱ. 한국사회의 소수자와 정보빈곤
1.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의 의미
2. 한국사회에서 정보빈곤의 의미
Ⅲ. 한국 도서관계의 문제인식과 대응
1. 한국 도서관계가 주목한 소수자
2. 한국 도서관계가 주목한 정보빈곤
3. 한국 도서관계의 소수자서비스
Ⅳ. 소수자를 위한 한국 도서관계의 책무
1. 소수자 정책의 이론적 기반 강화
2. 소수자서비스의 개발

도서관이 정보와 교육 그리고 문화의 영역에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필수적인 ‘공익 장치’로거듭나기 위한 전략과 방안을 모색
소수자와 정보빈곤이 갖는 보편적 의미
소수자의 정보빈곤에 관한 한국 학계의 문제인식과 대응방법 그리고 그 성과와 한계

소수자의 정보빈곤에 대한 한국 도서관계의 문제인식과 대응실태
관련 학술연구와 도서관서비스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문제점
소수자 정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한국 도서관계의 책무
소수자 정책의 이론적 근거를강화하기 위해 도서관학자들이 담당하여야 하는 책무와 실효적인 소수자서비스의 개발을 위해 도서관 현장의 사람들이 준수하여야하는 원칙과 전략에 대한 제언

즉, 근대적 도서관은 인류의 공동 유산인 책의 자유롭고 평등한 유통을 촉진함으로써 가지지 못한 자들의 지적 신장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 책무로 삼 아 왔다

 

일상적 문제의 해결이나 의사결정을 위한 ‘자원’으로서의 정보

즉, 다문화가정이나 재외한인 등과 같이 삶의 터전을 옮기는 과정에서 주변화 된 소수자 집단에 더해서,
군인, 재소자, 환자, 임신부, 구직자 등과 같이 상황 의 변화에 의해 주변화 된 소수자 집단

저소득층, 농어민, 그리고 고령자 집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