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멸진정과 아뢰야식
8식을 나무라고 한다면 그 뿌리에 해당하는 마음이 아뢰야식이다. 아뢰야식은 이렇게 근원적인 마음이다. 아뢰야식과 말나식은 대부분의 경우 단 1초도 중단됨이 없이 우리에게 자각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게 작용한다. 그래서 이 두 마음을 흔히 잠재적인 마음 혹은 무의식의 마음이라고 한다.
그 문맥을 잘 살펴보면 아뢰야, 즉 알라야에는 ‘곳간’, ‘집착’, ‘육체에 내재하는 것’ 등의 의미가 있고, 이 의미들 때문에 아뢰야식이라 불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의미들은 아뢰야식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할 것이다.
아뢰야식이 하는 주요한 기능으로는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행위가 남기는 영향력인 종자를 저장하여 보존한다. 둘째, 육체의 생명을 유지한다. 셋째, 윤회의 주체이다.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054
[불교를 만나다] - 유식唯識(10) - 불광미디어
아뢰야식 유식唯識(10) | 심상속心相續, 마음이 있다는 것의 의미 마음은 하나가 아니라 여덟이다. 안식에서 아뢰야식까지의 여덟 개의 마음이 각각 별도로 있으며, 따라서 여덟 마음이 동시에
www.bulkwang.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