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동아리/보늬샘독서동아리

독서모임 질문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by 책이랑 2024. 6. 25.

 

목차

     

    ■ 토론질문  Discussion Questions

    1. 미술관 경비원 vs. 뉴요커 직원 - 직업에 대해

    왜 저자는 박물관 경비원이라는 그의 "낮은 기술" 직업이 뉴요커 잡지에서의 그의 명망 있는 직책보다 더 자극적이라고 생각했을까요? 여러분 자신의 삶에서 그런 역설을 경험해 본 적이 있나요? 여러분은 놀라울 정도로 흥미롭거나 풍요로움을 주는 다른 직업들을 생각해 볼 수 있나요? Why did Bringley find his “low skill” job as a museum guard more stimulating than his prestigious position at The New Yorker magazine? Have you ever encountered such a paradox in your own life? Can you think of other jobs that might be surprisingly interesting or nourishing? 

     

    2. 일상을 멈춰서 생각하게 하는 예술의 기능에 대해

    저자는 Lamentation  그림에 대해 말할 때 ,  "내가 발견한 가장 위대한 예술의 많은 부분은 명백한 것들을 우리에게 상기시키려고 합니다. 이것은 진짜이고, 그것이 말하는 모든 것입니다. 멈춰 서서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더 완전히 상상해 보세요." 작가는 이것에 대해 무엇을 의미하나요? 여러분은 예술 작품을 이런 방식으로 사용해 본 적이 있나요? 그 책에서 여러분이 "멈추고 더 완전히 상상해 보세요"라는 어떤 것이 명백한 것을 만들도록 했나요?

    Bringley is discussing a Lamentation painting when he writes: “Much of the greatest art, I find, seeks to remind us of the obvious. This is real, is all it says. Take the time to stop and imagine more fully the things you already know.” What does the author mean by this? Have you ever used a work of art in this way? Did anything in the book make you “stop and imagine more fully” something obvious? 

     

    3. 위대한 삶, 위대한 예술

    저자는 피터 브뤼겔의 "곡물수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면서. "가끔 나는 어느 쪽이 더 눈부시고 놀라운 것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을 한다. 위대한 그림을 닮은 삶일까, 아니면 삶을 닮은 위대한 그림일까..p.165-166" 라고 합니다. 이 귀절을 어떻게 해석하나요? 당신은 당신에게 예술을 생각나게 했던 당신의 삶의 측면들 혹은 당신의 삶의 한 부분을 절묘하게 묘사했던 예술을 생각할 수 있나요? Bringley is iscussing Peter Bruegel’s painting The Harvesters when he writes: “I am sometimes not sure which is the more remarkable: that life lives up to great paintings, or that great paintings live up to life.” How do you interpret this line?  Can you think of aspects of your life that have reminded you of art, or art that has exquisitely described a part of your life? 

     

    4.  위로의 공간들에 대해 -박물관, 교회, 사원, 자연

    특히 비통한 시기에 위로가 되는 조용한 공간(박물관, 교회, 사원, 자연)에 관한 이야기는 무엇일까요? 만약 여러분이 비통하다면, '그리스도 수난'의 그림들이 위로가 되거나 속상한 것들을 발견하시겠습니까? What is it about quiet spaces (museums, churches, temples, nature) that feels comforting, particularly in a time of grief? If you were grieving, would you find painful images like those of Christ’s Passion consoling or upsetting?

     

    5. 미술관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저자는 : "p. 206  메트에서 시간을 보낼수록 나는 이곳의 주된 역할이 미술사 박물관이 아니라는 걸 더욱 확신하게 된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관심 영역은 하늘 높이 솟았다가 지렁이가 기어다니는 지하 무덤까지 내려가고, 그 둘 사이의 세상에서 사는 것이란 어떤 느낌이고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거의 모든 측면과 맞닿아 있다. " 라고 합니다.
     여러분은 미술관을 방문함으로써 어떤 종류의 것들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다음에 박물관을 방문할 때 그 책의 교훈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요?
     Bringley writes: “The more time I spend in the Met, the more convinced I am it isn’t a museum of art history, not principally. Its interests reach up to the heavens and down into worm-ridden tombs and touch on virtually every aspect of how it feels and what it means to live in the space between.” What sorts of things do you think you can learn by visiting an art museum? How would you apply the lessons of the book when you next visit a museum? 

     

    6. 양말 수당

    경비원에게 주는 양말수당이 필요한가요? Should all jobs come with an $80 hose allowance???

     

    7. 시간에 대한 감각, 킬링타임, 훌쩍 지나간 시간, 너무 느리게 흘러갔던 경험?

    저자는 "나는 이 시간을 소비할 수 없다. 그것을 채울 수도, 죽일 수도, 더 작은 조각들로 쪼갤 수도 없다. 이상하게 한두 시간 동안이라면 고통스러울 일도 아주 다량으로 겪다보면 견디기가 수월해진다."라고 말합니다. 당신은 시간에 대한  관계는 어떤가요? 평소보다 느려지고 더 많은 것을 인지할 수 있었던 때가 있었나요? 언제였는지요? When discussing his role as a guard, Bringley writes: “I can’t spend the time. I can’t fill it, or kill it, or fritter it into smaller bits. What might be excruciating if suffered for an hour or two is oddly easy to bear in large doses.” What is your own relationship to time like? Does it ever slow down for you and allow you to perceive more than you usually do? When? 

     

    8.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그림의 아름다움에 대해

    저자는 브뤼헐 의 <곡물수확>을 보고 느낀 것을 말로 표현할수 없다고 합니다. 무엇이 아름답다고 느낄때, 무엇이 그 요점일깨요? 그리고 그런 경험으로 인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 지금 생각해보면 나는 근본적으로 예술만이 가진 특별한 힘에 반응하듯 그 위대한 그림에 반응했다. 다시 말해서 그림의 위대한 아름다움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랐음에도 이미 그것을 충분히 경험한 것이다. 그때는 내가 느낀 감상을 말로는 분출할 수가 없었다. 사실 할 수 있는 말이 별로 없었다. 그 그림의 아름다움은 언어적인 것이 아니라 물감과도 같이 과묵하고 직접적이며 물체적이어서 생각으로 번역하는 것조차 거부하는 듯했다. 그래서 그림에 대한 나의 반응은 새 한 마리가 가슴속에서 퍼덕이듯 내 안에 갇혀 있었다 pp.29-30.  ” About Peter Bruegel’s The Harvesters, Bringley writes: “I experienced the great beauty of the picture even as I had no idea what to do with that beauty. I couldn’t discharge the feeling by talking about it—there was nothing much to say. What was beautiful in the painting was not like words, it was like paint—silent, direct, and concrete, resisting translation even into thought. As such, my response to the picture was trapped inside me, a bird fluttering in my chest. And I didn’t know what to make of that. It is always hard to know what to make of that.” This raises the question, what is the point of looking at something beautiful? What, if anything, is accomplished by it? 

     

    9. 책에 나온 작품중에서 특별히 흥미롭거나 아름답게 느껴진  작품이 있는지

    Was there an artwork in the book that you looked up and found particularly interesting or beautiful? 

     

    1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운영 방식에 대해 놀란 점이 있다면?

    What surprised you about the way that the Met operates, either in the galleries or behind the scenes? 

     

    11.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이 섞여 있는 것의 잇점, 다양한 사람들이 컬렉션을 해석함으로써 특히 얻을 수 있는 것?

    여러분도 이런 상황을 겪은 적이 있는지? 

    "소위 비숙련직의 큰 장점은 엄청나게 다양한 기술과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같은 일을 한다는 점이다." 화이트 칼라 직종은 비슷한 교육을 받고 관심도 비슷한 사람들을 끌어들으기 때문에 대무분의 동료들이 어느 정도 비슷한 재능과 정신세계를 가지고 있다. 경비원의 세계에는 이런 문제가 없다." “The glory of so-called unskilled jobs is that people with a fantastic range of skills and backgrounds work them. White-collar jobs cluster people of similar educations and interests so that most of your coworkers will have somewhat similar talents and minds. A security job doesn’t have this problem.” Have you ever encountered a phenomenon like this? What is gained by mixing with all sorts of people? What in particular might be gained at the Met by having a wide variety of people interpreting the collections? 

    12.당황하는 감상자와  유식한 감상자 에 대한 저자의 말에 대해

    “ 나는 사람들이 당황하여 나에게 질문하는 것을 특히 즐긴다. 사람들의 당황한 모습을 좋아하는 것이다. 그들처럼 계획이 뒤죽박죽된 채로 메트를 비틀거리며 돌아다니는 것이 말이 되지 보는 것마다 성큼성큼 받아들이는 유식한 사람들이 오히려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p.149”

    Bringley writes: “I like baffled people. I think they are right to stagger around the Met discombobulated, and more educated people are wrong when they take what they see in stride.” Why does he think this? Out in the wider world are we sometimes too blasé for our own good? 

     

    13. 저자가 애도가 끝남을 애석해 하는 것에 대해

    그는 왜 애도가 끝나는 것이 슬프다고 했을까요? 이런 일을 겪으신 적이 있는지?

    . p.256 이상하게도 나는 내 격렬한 애도의 끝을 애도하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내 삶의 중심에 구멍을 냈던 상실감보다 그 구멍을 메운 잡다한 걱정거리들을 더 많이 생각한다. 아마도 그게 옳고 자연스러운 것이겠지만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다.  Several years into his time at the Met, Bringley writes: “Strangely, I think I am grieving for the end of my acute grief. The loss that made a hole at the center of my life is less on my mind than sundry concerns that have filled the hole in. And I suppose that is right and natural, but it’s hard to accept.” How could he possibly be grieving for the end of grief? Have you ever encountered something like this? 

     

    14. 거장 미켈란젤로의 작품과 앨라배마 주 시골에서 만들어진  퀼트들의 공통점?

    혼자 생각에 잠긴다. 여기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이 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처럼 세계적으로 장대한 곳에서 얻는 깨달음치고는 좀 우습긴 하지만, 바로 의미라는 것은 늘 지역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가장 위대한 예술 작품은 자신의 상황에 갇힌 사람들이 아름답고, 유용하고, 진실된 무언가를 창조하기 위해 조각조각 노력을 이어 붙여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교훈까지 말이다. 미켈란젤로 시대의 피렌체, 심지어 미켈란젤로 시대의 로마마저 이런 면에서는 로레타 페트웨이가 살던 시절의 지스벤드와 다르지 않다. 이제 더 이상 전성기 르네상스와 같은 개념을 빌어 생각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새로 만든 회반죽을 바르고, 거기에 그림을 그리고, 회반죽을 조금 더 바르고, 거기에 그림을 조금 더 그리는 한 사람을 생각할 것이다.  p.302

    In his chapter on Michelangelo and the quilters of Gee’s Bend, Bringley writes: “Meaning is always created locally. The greatest art is produced by people hemmed in by circumstances, making patchwork efforts to create something beautiful, useful, true.” What parallels exist between the Renaissance master and these quilters in rural Alabama? 

     

    15.저자가 미술관 경비원을 그만두게 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여러분은 삶에서 어떤 의미에서 단순함과 고요함, 다른 한편으로는 고군분투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는지 

    때때로 삶은 단순함과 정적만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도 있다. 빛을 발하는 예술품들 사이에서 방심하지 않고 모든 것을 살피는 경비원의 삶처럼 말이다. 그러나 삶은 군말 없이살아가면서 고군분투하고, 성장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것이기도 하다.p.325 On the last page of the book, Bringley writes: “Sometimes, life can be about simplicity and stillness, in the vein of a watchful guard amid shimmering works of art. But it is also about the head-down work of living and struggling and growing and creating.” Why do you think Bringley ultimately left his job at the Met? Do you have each of these aspects in your own life in some sense: on the one hand, simplicity and stillness; on the other hand, struggling and growin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