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동아리/보늬샘

학부모 보늬샘 양성심화연수 2016 [3강] 달과 6펜스

by 책이랑 2016. 8. 24.


[1] 토론 리더의  writing
[2] 달과 6펜스 토론


숭례문학당에서


달과 6펜스

「달과 6펜스」는 서머싯 몸을 일약 세계적 명성을 얻게 해준 작품이다. 


이 소설은 주식중개업을 하다가 화가가 된 고갱의 삶을 모티브로 창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작품의 주인공 스트릭랜드는 도덕이나 상식으로는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는 17년간 함께 지냈던 아내와 자식을 헌신짝처럼 버렸으며,자기의 천재성을 알아봐주었던 친구를 배신하고 그의 아내를 가로채는 파렴치한에 다름 아니지만 동시에 예술에 대한 식을 줄 모르는 정열을 지닌 인물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도대체 작가는 왜 이런 인물을 우리에게 제시하는 걸까. 


이는 작품 제목이 지닌 상징성을 떠올리면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다.


「달과 6펜스」에서 6펜스짜리 백동전은 밤하늘에 떠 있는 하얀 달과 그 모양이 비슷하다. 


그러나 크기와 모습은 비슷할지언정 그것이 상징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6펜스'가 실용적이고 세속적인 가치를 상징하는 반면,'달'은 신비한 세계,다시 말해 세속적인 가치를 넘어선,기존의 도덕과 윤리를 넘어선 새로운 가치를 상징하는 것이다. 


오스카 와일드의 표현대로라면 '6펜스'는 진흙구덩이를,'달'은 곧 '별'의 의미를 지닌다. 


문학작품에서 상징적 과장이 허용되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주인공 스트릭랜드의 행위는 현실을 미적으로 초극하려는 극단적인 표현에 다름 아닌 것이다. 


숭례문학당의 관련 페이지


 http://isangsang.hosting.bizfree.kr/xe/?document_srl=37399&mid=customer03&sort_index=regdate&order_type=desc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