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글쓰기특강 서평 글쓰기 특강 - 김민영.황선애 지음/북바이북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05-08T11:21:020.31010서문 : 서평, 책을 가장 잘 기억하는 방법 CHAPTER 1 독서 습관을 바꾸는 서평 쓰기01 서평, 독서의 종착역 - 서평쓰기란 능동적인 활동으로서 어떤 책을, 어떻게 읽었고, 왜추천하는지를 쓰면 된다. 서평을 쓰다보면 자기가 느낀 감상의 경로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02 책을 읽어도 남는 게 없다? -서평을 염두에 두면 독서시에 메모, 줄긋기, 의문점 써넣기 등 적극적인 읽기를 하게 된다.03 책을 읽어도 표현할 수 없다? 서평이라는 출력을 염두에 두면 입력시에(책을 읽을 때) 키워드와 핵심을 염두에 두며 읽게 된다. 청자와 화자 사이에는 강이 .. 2016. 5. 8. 독서에 대한 경계의 말 . “벤저민 프랭클린은 책에 쓰인 말보다 진솔한 마음이 더 크게 사람을 움직인다고 했고, 니체는 공부하고 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현명해질 수 없다고 했습니다.” 제대로 생각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려면 책만 읽어서는 안 되고 사람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무슨 일이든지 열정을 가지고 해봐야 한다는 뜻이란다. 2014. 3. 16. 독서-언어를 배우는 가장 빠르고 즐거운 길 크라센의 읽기 혁명 - 스티븐 크라센 지음, 조경숙 옮김/르네상스 여는 글 언어를 배우는 가장 빠르고 즐거운 길 수준 높은 학문이나 전문영역에 필요한 고도의 언어능력은 수년 동안 많은 책을 탐독해야만 습득할 수 있다. 그래야만 복잡한 이슈나 복합적으로 구성된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과, 필체에 대한 민감성 및 텍스트에서어떤 부분이 중요하고 어느 부분을 대충 훒어보고 넘어갈 겅인지를 즉간 판단할 수 있는 전문적인 식견을 갖출 수 있다.- 메리 레온 하르트 14p 자율독서 FVR free voluntary reading - 독후감, 독서퀴즈, 단어 찾기 등을 하지 않는 독서 이해력 향상, 문체향성, 글쓰기 향상, 어휘력 향상, 철자 쓰기 문법실력 향상 책을 즐겁게 읽는 습관을 갖지 못한 사람은 현대사회가 요구.. 2014. 3. 1. 책고르기 힘들땐 책고르기 달인들의 서재를 살펴보자 아, 어떤 책이 좋은책이냐고요~, 헷갈릴 때 쓸 수 있는 한가지 방법 알라딘이 국내 최초의 인터넷 서점이었던가요? 그래서 그런지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구요 '나의 서재'라고 하는 서평을 중심으로 하는 블로그도 국내에서 알라딘이 처음으로 만든 것 같아요. 알라딘에는 서평을 열심히 올리시는 분이 많은데요 유아나, 초등저학년 엄마들도 많지요. 저는 책선정이 고민되면 서재의 달인이라고 명명되어진 분들의 서재에 가서 기웃기웃 했던 것 같아요. 물론 다 사지는 못했고 10권을 보면 한두권 정도.^^ 아영엄마님 - 독서지도를 하시는 듯^^;; http://blog.aladdin.co.kr/rang/category/13842?communitytype=MyReview 마노아님 http://blog.aladdi.. 2014. 3. 1. 평생독자가 되는 방법, 평생독자를 만드는 방법 Reading in the Wild: The Book Whisperer's Keys to Cultivating Lifelong Reading Habits (Paperback) - Donalyn Miller/John Wiley & Sons Inc 한우리 독서지도사 공부를 했었고, 많은 수의 학생은 아니지만 3년동안 열명 안팎의 아이들을 독서지도 했었고 무엇보다 지금 4학년인 아들아이의 독서지도를 위해서 독서지도에 대한 여러책을 읽어보았다. 그중 저자의 첫번째책의 내용이 정말 마음에 와닿았다. 그중 실천하고자 하는 것은 좋은 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것 아이의 독서 취향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에게 쓸 데 없는 독후활동을 시키지 말것 등이다. 저자의 이 두번째 책은 독서교사인 저자가 앞.. 2014. 3. 1. 열정만이 아이들을 책벌레로 만들 수 있다. '아이들에게 책읽히기'를 다룬책중에 가장 와 닿는 책! 그러면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은? 1.다른 활동 필요없어. 읽기훈련, 독후활동하다보면 책에 정붙일 시간이 어디있나. 그냥 책을 읽게 하라! 2.좋아하는 음식이 다 다른데.. 그 아이가 좋아하는 책을 읽게해! 3.교사의 열정이 아이를 움직이게 한다. 책읽기는 학교보다 크다. 책읽기는 아이 일생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습관. 열렬한 독서가로서 뜨거운 열정을 전달하라. 4.책읽는 커뮤니티를 구성하라. 5. 아이들들 수많은 책에 둘러싸이게 하라. 하지만 그러며련 책에 대한 넓고 깊은 식견을 가진 멘토가 필요하다. 그럼. 뭐 큰 노력없이 책벌레를 만들수 있겠나? 머리쓰지 않아도 재미있는 것들이 손끝 클릭으로 쫘르륵 펼쳐지는데! 수업중 15분, 행복한 책읽기 - .. 2014. 3. 1. 어린이 청소년, 지식정보책의 활용 2 강의 후기- 어린이 청소년, 지식정보책의 활용 2 어제 서대문도서관에가서 어린이 청소년, 지식정보책의 활용 두번째 강의를 들었습니다. 역시 부모인 우리 세대가 자랄 때와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정보량이 많은 시대에 지식정보책을 어떻게 읽게 할 것인가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1] T자형 독서를 하도록 하자. T에서 -부분은 기본적인 폭넓은 인문학적지식을 이야기하고 |부분은 한 분야에 집중한 독서를 이야기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책을 읽지만 내아이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에서는 깊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검색수단이 발달한 시대에는 암기는 스마트폰과 검색엔진에 위탁하고 있으며 이제는 구성자, 질문을 잘 던지는 사람이 되어야 함. ex ) 뇌의 용량은 정해진 상황에서 연도를 외.. 2011. 4. 29. 어린이 지식정보책의 이해와 활용 어제는 가까운 서대문도서관에서 "어린이 지식정보책의 이해와 활용"이라는 특강을 들으러 갔었습니다. 행사를 주최한 "어린이책 시민연대"라는 곳에서 지인이 활동을 하셔서 알게 되었어요. 2회에 걸친 강의 중 첫번째시간이었는데요 기대했던 것 보다 더 깊이 있는 강의였습니다. 다음번에는 여러책들을 살펴보면서 지식정보책의 최신 조류와 활용법에 대해 강의하실 예정이지만 이번에는 지식정보에 대한 관점을 만들기 위한 간략한 과학사를 강의하셨어요. 그래서 고대에서부터 현대사회로 오면서 강사님이 꺼낸 단어는 강의 주제인 지식과 반대말일것 만 같은 "상상력"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산업혁명, 혹은 한국의 산업화 시대에는 지식자체가 중요한 것이었지만,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관점이 다양화 된 지금은 ".. 2011. 4.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