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불교책들

by 책이랑 2020. 11. 22.

 

목차

    [1] 불교와 생명과학(2011)

    『불교가 좋다』, 동아시아
    『반야심경』
    제레드 다이아몬드, 『제 3의 침팬지』
    샤론 모알렘, 『아파야 산다』
    스티븐 제이 굴드, 『다윈 이후』, 사이언스 북스

    [2] 불교와 현대물리학(2011) 

    데이비드 보더니스, E=mc^2(생각의 나무)
    브라이언 그린, 엘리건트 유니버스(숭산)

    [3] 불교를 탐구한다

    시즌1-  초기경전과 불교철학사, 그리고 붓다의 생애

     <숫타니파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디가니까야 1,2,3> 초기불전연구원 
     <아함경/알기 쉬운 불교>, 현암사 
     <아함경 1, 2> 민족사   
     <잡아함경 1~5> 동국역경원
    <낭송아함경> 북드라망 
    사티스찬드라 외, 김형준 옮김, <학파로 보는 인도사상>, 예문서원
    이효걸, <논쟁으로 보는 불교철학>, 예문서원 
     다카하시 신지, <논픽션 붓다>, 해누리 

    시즌2 -  초기불교 경전 천천히 읽기

    『우다나-감흥어린 시구』,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테라가타-장로게경』,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시즌3 -  초기불교 경전 찬찬히 읽기

    『이띠붓따까-여시어경』,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테리가타-장로니게경』,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시즌 4 - 초기불교 경전 찬찬히 읽기 

    교재 : 디가니까야,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시즌 5,6 - 초기불교 경전 찬찬히 읽기 

    초기불교 경전-<맛지마니까야> 찬찬히 읽기

    시즌 7,8,9,10  <쌍윳따니까야> 

     쌍윳따니까야, 전재성 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시즌 11 <앙굿따라니까야> 찬찬히 읽기

     

    정화스님의 <섭대승론> 강좌 -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 
    " 「섭대승론」은 4~5세기 무렵에 활약한 무착 스님께서
    ‘인식의 토대’와 ‘인식현상’ 그리고 집착을 내려놓는 방법 등을 자세히 밝힌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부처님께서 설파하신 연기법,
    곧 생명계가 하나의 생명 공동체라는 가르침을 기반으로 바라밀 수행을 한다면,
    인식의 토대가 전환되면서 깨달음을 성취하게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제가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라는 제목으로 이 책의 가르침을 풀어쓴 것은

    무착 스님께서 생명계 그 자체가 앎의 네트워크라는 것을 전제로 「섭대승론」을 썼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무착 스님의 말씀은 앎이 작용하는 인지시스템을 잘 이해하는 것이
    수행의 토대이면서 인식의 토대를 전환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는 것이지요....... "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 정화스님/ 북드라망/근간)

    대승 불교의 요의를 정리했다는 무착(아상가) 스님의 <섭대승론>을 정화 스님 강의로 청해 듣습니다.
    유식 불교니, 아뢰야식이니 혹은 6식이니 7식이니 하는 등등의 말이 무슨 말인지 몰라도 상관 없습니다.
    의타기성, 변계소집성, 원성실성이란 말이 각각 성(性)을 가리키는 말이었는지 몰라도,
    그 세 개의 성이 무엇이고 서로 어떤 관계인지,
    아뢰야식의 유식설과 어떻게 다른 것인지 등등은 끝내 알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저 작은 하나의 생명 공동체일망정, 그리고 생명 공동체로서,
    어떻게 이 한 생애 삶의 길을 이어갈 것인지 함께 고민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이번 정화스님의 <섭대승론> 강의를 함께 듣길 권합니다.
    우리는 과연 우리 자신을 얼마나 어떻게 알고 있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