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유학기제 연혁, 내용, 구성, 교육기부 필요성
■ 서울교육청 자유학기제 연혁
2012년 진로집중탐색 프로그램이 발전되어
2014년 시범, 2015년 50%참여 2016년 전면시행
■ 자유학기제의 내용
- 교과에서 교과 통합수업 등으로 170시간을 줄이고
- 오후에
-주제선택활동
-예술체육활동
-진로탐색활동
-동아리활동
-예술체육활동을 실시
■ 프로그램 구성
17주를 반으로 나누어 1기, 2기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1,2,3 기로 나누기도 함)
중간, 기말의 지필평가만 없을 뿐
형성평가, 쪽지시험등 각종 평가는 있어 아이들의 학력변화를 체크함
■ 교육기부의 필요성
-학교 교사 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가진 외부 강사, 체험등이 필요하나
-예산의 문제가 있으므로
-지역, 학부모들의 교육기부가 필요함
[2] 독서토론 리더과정 소개
■ 수료조건 출석 70%, 과제제출 70% 이상
■ 대학에서 해야 할 3대 교양교육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문제점
수용적 사고력만을 기르게 됨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 이혜정 지음/다산에듀 |
■ 사고력의 종류
-수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공부의 배신 - 윌리엄 데레저위츠 지음, 김선희 옮김/다른 |
69 | 명문대에 들어가기란 엄청나게 힘들다. 지난 50년 동안 늘 그래왔다. 본질적으로 이 문제는 하층민과 중산층이 신분상승을 원해서 벌어지는 일도, 중상류층이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려는 데서 비롯되는 일도 아니다. 사실 이는 중상류층 내에서 서열을 정하는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앞에서 팰로스는 명문대 입학을 위해 경쟁에 몰두하는 학생이 전체 중 10~15퍼센트라고 했는데, 이들의 가정은 소득 상위 10~15퍼센트에 속하는 가정과 상당히 일치한다. |
90 | 만약 “하버드대학에 들어가려면 물구나무를 서야 한다.”는 말을 듣는다면 아이들을 열심히 물구나무를 설 것이다. 부지런하고 능숙하게, 그리고 그 모든 다른 일들을 할 때처럼 아무 생각 없이 말이다. 이 과정에서 원래는 그 자체로 목적이었던 활동들이 수단으로 변질된다. 이때 아이들이 자신의 영혼을 잃어버리는 것은 뻔한 일이다. |
100 | 역설적이게도 오늘날 명문대가 가르치고 있는 모든 것은 ‘직업적’이라 할 수 있다. …… 대학생들은 고등학생 때와 마찬가지로 교육의 의미, 삶의 목적과 같은 중요한 질문에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다. 이 주제는 청년시절에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것이다. 솔직히 말해서 유명하지 않은, 이름조차 생소한 지방의 자그마한 신학대학에서 이러한 주제가 오히려 제대로 다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 얼마나 이상한 일인가? |
110 | 대학은 물질적 성공을 인간의 존엄성이나 행복과 동일시하는 사회의 가치에 절대로 반기를 들지 않는다. …… 학생을 최고가 입찰자에게 팔아치우는 것, 이보다 더 이기적인 행동은 없다. 하지만 그 과정이 다분히 노골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그렇게 작동된다. …… 당연히 대학은 학생들이 돈벌이가 되는 직업을 좇는 것을 말리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성취감을 느낄 수 없는 일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한다고 해도 말이다. 오히려 대학은 학생들을 그러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안해 운영하고 있다. |
121 | 교육의 목표는 당장 써먹을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뿐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당신을 직장에서는 쓸모 있는 인력으로, 시장에서는 잘 속아 넘어가는 소비자로, 국가에서는 순종적인 국민으로 전락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대학의 존재 이유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중요한 건 바로 온전한 인간으로 남을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다. |
295 | 1985년 250개 명문대 학생 중 소득 부분에서 상위 25퍼센트에 속하는 가정 출신은 전체의 46퍼센트였다. 2000년에는 그 비율이 55퍼센트로 올랐다. …… 명문대일수록 이 같은 불균형은 더욱 두드러진다. …… 이와 같은 경향이 나타난 주된 이유는 명확하다. 대학 등록금 증가가 하나의 요인인 것은 틀림없지만 정답은 아니다. 대학 입학 게임에서 경쟁력을 갖춘 아이들을 만들어내는 비용이 증가한 탓이다. 뛰어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을수록, 아이들이 장애물을 넘게 만드는 데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간다. 가정교사, 시험준비, 그 외 시스템에 대비하기 위한 방식들은 이 과정에서 다가 아니다. 부유한 가정에서는 자녀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교육에 아낌없이 투자함으로써 아이가 명문대에 입학할 수 있는 방법을 구매하기 시작한다. |
|
생각의 시대 - 김용규 지음/살림 |
이제 우리의 관심은 어떻게 격변하는 환경을 꿰뚫을 수 있는 보편적이고 거시적이며 합리적인 전망과 판단을 획득할 수 있으며, 또 어떻게 그에 합당한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 사고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에 쏠려 있다. 한마디로, 지식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 생각의 시대다! |
우리가 시를 읽고, 낭송하고, 외운다는 것은 단순히 감성적 취향을 고양시키는 일이 아니다. 우리의 뇌 안에 은유를 창출하는 신경망을 새롭게 구축하는 작업이다. 누구든 우리 시(또는 동시)를 자주 낭송하고 모두 외우고 나면, 그의 뇌 안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천재의 표상’으로 지목한 은유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신경망이 형성된다. 그 결과 (경험을 통해 단언컨대) 말과 글의 표현력이 점차 달라지고 설득력이 높아진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창의력도 발달할 것이다. 하나의 은유가 이미지를 통해 하나의 사유 체계 전체를 보여준다! 마이더스의 ‘손’, 이카로스의 ‘날개’,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와 같은 수많은 신화적 은유에서 ‘손’, ‘날개’, ‘침대’와 같은 이미지들이 하는 일이 바로 그것이다. 어디 그뿐이겠는가! 자신의 사상을 이미지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능력은 탁월한 학자들이 지닌 공통점이다. 요컨대 천재들은 자신의 사상을 은유를 통해 선명하고 매혹적인 이미지로 표현한다. 이것이 그들의 성공 비결 가운데 하나다. |
■ 소설의 가치
밀란 쿤데라는 소설이란 윤리적 판단이 정지된 땅이라 정의
-정서적가치
-미학적 가치
-인식적 가치
■ 한나아렌트
침묵은 폭력이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12110931001
■ 스피치방법
- 논증이어야(사실에 근거하여 주장해야 함)
- 대응설
- 정합설 - 앞뒤가 맞아야 함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V48o&fldid=1HTJ&datanum=30&contentval=&docid=V48o1HTJ3020081015225108
■ 철학적 사고란
습관적인 생각인 질문하는 것
■ 김영란 전 대법관
김영란 “한국은 인맥중심 ‘엘리트 카르텔형 부패’ 국가”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850
■ 철학 하위 분류
1. 형이상학
1. 형이상학
1.1. 일반 형이상학
1.1.1. 실체론(본체론)
1.1.2. 우주론(생성론)
1.1.3. 존재론 (철학에서의 '존재'란 불변하는 실체를 뜻함)
1.2. 특수 형이상학
2. 인식론 (데카르트)
2.1. 일반 인식론
2.2. 특수 인식론
2.2.1. 가치론
2.2.2. 범주론
2.2.3. 철학 방법론
3. 논리학
3.1. 고전 논리학
3.2. 기호 논리학
4. 윤리학 -가치를 따지 늣 것
5. 미학
■ 파이이야기의 저자 얀마텔
“소설의 운명은 반은 작가의 몫이고 반은 독자의 몫이다. 독자가 소설을 읽음으로써 작품은 하나의 인격체로 완성된다”
1930년대 이미 소설에서 비평에서 독자의 역할이 부각됨
작가란 대로변에서 벌거벗고 스트리킹 하는 사람
■. 소설가 헤밍웨이는 “모든 초고는 걸레다.”라고 말했 다.
참고 ^^
초고는 가슴으로 재고는 머리로 - Daum 블로그
■ 독서 토론- 생각의 심화 확대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 독서토론의 3요소 -제일 중요한 것은 논제 (독서토론의 질을 결정함)
패널
논제
사회자
10개의 논제가 있다고 하면
1논제- 소감
2논제 - 발췌독 (1~2단락 낭독후, 이유 말하기)
...
10논제-독서토론의 소감 이 될 것임
■ 독서토론에서 스피치의 특성
-공적인 장소
-제한된 시간 (시간관리가 가장 중요함 )
-정확한 주제로 이루어짐
스피치를 하기 위해서는 생각을 정리해야 함
■ 나를 소개하는 1분 써오기
-모범적인 답을 피하라
-"나들이" -개인의 경험이 있는, 흥미진진
유머러스한 이야기
1분 감각 - 사이토 다카시 지음, 장은정 옮김/위즈덤하우스 |
■ 눈높이 논제여야 함 -대상에 맞춰야
정답없는 토론 -칭찬, 격려가 필요
책브리핑을 통해서 안읽은 아이도 참여할 수 있게 함
사이토 다카시 지음, 정은영 옮김 / 명진출판사
8,550원(10%할인)/470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