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문수

토론 역량키우기 1강- 독서토론 일반론/ 선정도서 소개

by 책이랑 2017. 5. 17.

■ 독서토론은 독서내용을 내면화 시키고 주제에 대해 좀더 정확하고 분명하게 접근하는 비평활동

-피상적이고 독닥적인 이해의 위험을 극복함

■ 독서토론이 개인토론의 단순연장에 그치지 않으려면
-선정도서에서 첨예하게 대립되는관점을 찾아 쟁점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후 책안에서 쟁점의 지지근거, 논점마련, 상대방을 반박할 자료를 면밀하게 찾아야 한다.

■ 독서토론에 필요한  능력
- 내용을 토대로 논점을 찾는 능력
- 주제에 대한 입장을 세우는 능력
- 토론을 통해 정확한 해석을 찾아내고
나아가 사회문제와 관련하여 새로운 지식이나 관점을 구성하는 능력.

■ 최근 독서토론이 각광받는 이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독서후 토론하면
  책을 보고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 독서토론은 자기의 (완고한) 프레임을 깰 수 있는 기회

 하버드대학에서 행한 실험중에
 자신이 평소에 입지 않는 스타일의 옷을 입고 돌아다니게 한 후
 타인에게 체험하기를 권유겠냐고 하는 응답에 70%가 추천하지 않겠다고 응답함
: 내가 사물을 보는 프레임으로 다른 사람도 그럴거라고 생각하는 것

jtbc 대선개표방송에 출연한 윤여정씨
- 경험에서 편견이 온다고 말함
- 경험으로 인해 자신의 프레임에 갇히게 될 수 있다.


■ 참고도서생각의 좌표

생각의 좌표 - 10점
홍세화 지음/한겨레출판


- 우리 시대의 지식인 홍세화가 그동안 기고한 글과 새로 작성한 글을 모아 엮은 6년만의 신작.
- 자기 성찰과 사회 비판을 위해서 '내 생각은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나?'라는
물음을 끊임없이 되돌아 볼 것을 강조

- 폭 넓은 독서
- 열린 토크
- 직접 경험
- 자기 성찰


■ 신간을 구입한 경우 그대로 꽂으면 책을 안보게 됨.

목차만을  훑어보고 꽂더라도 책을 읽을 확률이 매우 높아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