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벽독토

새벽독토 12기-(1)<소리와 분노> 09/01

by 책이랑 2018. 7. 18.


[0] 소리와 분노

 01 소리와 분노 Full Text 

the_sound_and_the_fury_by_faulkner_william.pdf



[1] 포크너와 소리와 분노 

01.  2013년 사후 50년 저작권말소에 따라  헤르만 헤세·윌리엄 포크너 소설 출간이  활기를 띰

02. 윌리엄 포크너는 어떤 사람인가?

03. 소리와 분노 작품 소개

[2] 용어
01. ‘로스트 제너레이션’
02. 모더니즘


[3] 소리와 분노 해독하기

01. 문학동네판 번역자 공진호님 블로그
02. 소리와 분노 등장인물, 가족별 등장인물
03. 장별 시간이동 
04. 상징

- 작품제목

- 기독교적 상징
-Southern Values
- Muddy Drawers
- Clocks

05. shoomp 소리와 분노 
- 주제
Language and Communication
Family
Innocence
Sin
Home
Guilt and Blame
Principles
Race
Memory and the Past
Sexuality and Sexual Identity

06 06 EBS 영미문학관 - <소리와 분노> 원문 낭독 및 해설

07 소리와 분노의 줄거리와 분석을 알려주는 짧은 유튜브동영상
THUG NOTES: CLASSIC LITERATURE, ORIGINAL GANGSTER  S3 • E1
The Sound and the Fury (W. Faulkner) - Thug Notes Summary and Analysis

언어는 한계가 있다. 때로는 침묵이 언어를 대신한다.



[4] 포크너 그리고 <소리와 분노> 깊이 읽기- 평론, 해설, 논문,

00 William Faulkner on the Web
http://cypress.mcsr.olemiss.edu/~egjbp/faulkner/faulkner.html

01. 포크너 파리스 리뷰 인터뷰 (full text)

02. 근친상간의 욕망에 대한 분석

03. 가부장제

04. 중심과 주변부

05. 남성의 성 도착적 욕망

06. 흑인 유모 신화


[5] 포크너의 작품 더 읽기, 참고자료



[1] 포크너와 소리와 분노 

01. 사후 50년으로 저작권 말소… 헤르만 헤세·윌리엄 포크너 소설 출간 활기 2013.01.29 경향신문
원문보기:  https://goo.gl/kjXViH

- 허무와 무질서의 광대한 파노라마를 그리기 위해  의식의 흐름, 분열된 서술, 복수의 관점, 시간에 따라 상충하는 관념을 사용하는 등  형식과 주제에서 현대소설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4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인간의 생각과 의식의 폭, 말할 수 있는 것의 폭, 눈에 보이는 것의 폭을 넓힘)

02. 윌리엄 포크너 

포크너는 19세기가 끝나갈 무렵 쇠락의 길을 걷던 미시시피의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그는 남북전쟁 당시 남군의 영웅이자 기업인, 정치가, 작가로 활동하다 정적에게 살해된 증조부의 이야기를 들으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가문과 남부의 역사에 큰 관심을 가졌고, 그를 키운 흑인 유모를 통해서는 인종과 성의 정치학에 눈떴다. 

키 165㎝, 몸무게 56㎏의 왜소한 체구를 가졌던 포크너는 쇠퇴한 남부 명문가 출신으로, 고등학교도 졸업하지 못한 채 읍내를 빈둥거리는 건달이었다. 첫사랑 에스텔(나중에 부인이 됨)이 다른 남자와 결혼하자 실망한 그는 영국 공군에 입대했다가 부상당한 뒤 특별학생으로 미시시피대에 들어가 시를 쓰기 시작한다. 29세 때 처음 발표한 소설 <병사의 봉급>은 헤밍웨이와 마찬가지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방향감각을 상실한 ‘길 잃은 세대’에 속한 작품이지만, 포크너는 자신의 고향을 모델로 한 ‘요크너퍼토퍼’라는 가상의 공간을 창조하면서 명실상부한 남부의 작가가 된다. 그의 장편 대부분은 ‘요크너퍼토퍼’ 소설로 분류되는데 이 공간은 남북전쟁 이후 쇠퇴하고 소멸해가는 남부문화의 비극성과 인간 존재의 비극성이 공존하는, 특수하면서도 보편적인 곳이다.

 “포크너는 흔히 추악하고 어두운 삶의 경험을 즐겨 다루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삶을 긍정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뢰를 보여준다. 인간은 그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비극에 직면해 있지만, 그는 그것을 가지고 여전히 무엇인가 만들어내려고 노력한다는 데 그의 불멸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03. 소리와 분노(문학동네)

▶ 미국 남부의 명문가 콤슨 가의 20여 년에 걸친 정신적.계급적 몰락을 통해,
 남북전쟁 이후 서서히 와해되어간 남부의 사회상을 그려낸 이 소설은, 실험적인 서술기법, 강렬한 시각적 언어로 20세기 현대문학의 지형을 뒤바꾼 윌리엄 포크너 최고의 걸작이다. 

서구문명의 도덕적 기반과 영속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던 20세기 초, 전통과의 단절을 선언하고
 “의식의 흐름, 분열된 서술, 복수의 서술 관점, 시간과 과거를 다룸에 있어 상충하는 관념들”을 사용해 
“허무와 무질서의 광대한 파노라마”에 질서를 부여하려고 시도했던 모더니즘 소설의 최고봉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 콤슨 가 4남매 가운데 3형제와 이들을 키운 흑인 하녀 딜지 네 사람이 각각 화자가 되어 
1910년부터 1928년 사이에 벌어진 주요 사건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고 있다.



소리와 분노 (반양장) - 10점
윌리엄 포크너 지음, 공진호 옮김/문학동네


1928년 4월 7일 _007
1910년 6월 2일 _099
1928년 4월 6일 _239
1928년 4월 8일 _349

해설| "아찔한 모더니즘"의 걸작 _421
윌리엄 포크너 연보 _447






[2] 용어

01. '로스트 제너레이션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이 끝난 뒤 느낀 절망과 허무감을 문학에 반영한 젊은 세대.
인생의 의미나 목표를 잃고 방황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


02.  모더니즘 

■ 모더니즘은 19세기에 유럽 소시민적 지식인들 사이에서 리얼리즘과 낭만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20세기에 들어와 크게 유행한 문예사조 극단적인 개인주의도시문명이 가져다 준 인간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 등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예사조를 일컫는다.

18세기 계몽주의는 이성지식진보자율성자유과학과 철학 등의 개념이 특권적 지위를 누리고이 모든 것들이 자기 결정적이며 자족적인 '자아'(우리의 내적상태가 외적 실재에 접근할 수 있는 안정되고 믿을 수 있는 종합적 속성)의 개념에 의존하고 있다.
-  
요컨대 진리의 절대성에 대한 믿음이 통용되었었다.


 그러다가 이런 생각은 19세기 후반의 위대한 선각자들에 의해 의심받고 부정되었는데

- 다윈은 신과 우주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서구의 전통적종교적 가치체계를 부정하였고
- 계보학을 내세운 최초의 해체주의자였던 니체는 신의 죽음을 선언하였으며
,
마르크스는 상부구조라는 문명의 건축물 밑에 깔린물질에 토대를 둔 하부구조를 들춰내고역사의 발전이 변증법적 유물론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은 자아와 주체에 대한 기존의 안이한 신념을 와해시키고 우리의 또 다른 타자인 무의식의 개념을 체계화하였으며
- 자연주의자들의 과학적
실증주의적 방법론은 인간을 자유의지나 고상한 상상력을 지닌 이성적 존재가 아닌 본능과 환경의 지배를 받는 동물적 존재로 인식함


 모더니즘에서 모든 가치와 진리는 오직 <>로부터 출발한한다고 믿으며 개인의 주관성과 내적 경험을 중시한다.

▶ 모더니즘 작품은  내용이 복잡해지는데 이것은  외적 행동이나 현상세계보다는 인간의 내적 성찰이나 심리 분석 혹은 의식세계를 다루는데서 생겨나는 피치 못할 결과이다.

-낭만주의는 신과 우주 속에서 초월적인 가치와 의미를 찾고  리얼리즘 소설에서는 개인과 사회의  갈등과 긴장이 사회 쪽의 승리로 끝내기 마련이지만 모더니즘에서는 개인이 사회의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자유의지를 행사하며 소외나 고립이라는 값비싼 댓가를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20세기 현대인이 처해 있는 비극적 상황에 남다른 관심을 보여주며삶을 무의미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그들은 허무주의와 공허감이 표현되어 있다.

  역사는 연속적인 “시간의 법칙” 을 부정하며 하나하나 분된 순간들의 집합이라는 생각

 삶에 대한 허무와 멜랑콜리(melancholy)적인 세계관

 문학에서 모더니즘은 리얼리즘의  폐쇄적 내러티브 관습에 반대한다.

 모더니즘 시기에  서사적인 구조를 핵심으로 하는 시간의 범주에 놓여있던 문학이 
회화나 조형예술로 대표되는 “공간의 범주로 편입어 가고 있는  현상이 나타난다.
(조셉 프랑크(Joseph Frank),  철학, 회화, 음악, 조각, 영화 분야 공통)

 엘리엇이나,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 그리
고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와 같은 작가들의 작품


■ 나무위키의 모더니즘 정의

4.1. 플롯, 구성, 성격형성[편집]

리얼리즘 문학의 연대기적이고 객관적인 서술 방법을 피하고 
비연대기적인 플롯 진행 방법에 의존
: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통적인 시간적 구성을 중지시키거나 아예 없애버리고 
그 대신 공간을 작품을 지배하는 구성 원리로 삼는다. 
또한 작중인물이나 성격 형성도 전통적인 리얼리즘 작품에서 작중인물들은 평면적 인물로 그려지는데 
모더니즘 작품 속 작품인물은 일관성 있는 행동이 없고 특성에 따라 실체를 쉽게 찾을 수 없는 인물로 그려진다.


4.2. 관점과 시점[편집]

전지적 관점이나 시점은 도전을 받기 시작했으며 복수적 관점
상대성 이론, 불확실성 이론, 양자론 같은 새로운 자연 과학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특히 모더니즘은 큐비즘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4.3. 의식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태도

무의식과 잠재의식의 세계
 삶의 모든 문제를 공간적인 분석으로 해결할 수없는 현상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인간이 바로 자신의 기억 자체라는 점, 
그리고 인간의 의식의 한 단면을 보면 그에 대한 모든 사실을 알 수 있다는 점

4.4. 신화와 모더니즘

사실주의적 태도와 이상주의적 태도,
신화를 역사적으로 후자는 상상력의 언어로 된 상징적 산물로 보려는 태도이다. 

1) 신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편타탕한 삶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편협하고 국수적인 문학관에서 벗어나 좀더 국제적인 문학관을 갖도록 하는데 이바지 한다.

 2) 창조 행위를 예술가에게 부여함으로써 예술가의 역할을 높여주었다

.3) 신화는 인간을 18,19세기의 과학적 합리주의로부터 해방시켜 비이성적인 존재와 상대적인 사고 유형을 통하여 삶을 좀 더 균형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주었다. 

4) 신화는 인간의 상상력이 갖는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문학 창작을 촉진함.

 



■ “4악장의 심포니 구조”
콤슨가 4남매 가운데
첫째인 퀜틴, 셋째 제이슨, 막내 벤지가 각각 화자가 되어 일인칭시점으로 서술하는 장과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쓰인 마지막 장 등 총 4장으로 나뉘어,
콤슨가의 몰락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건들이 서로 다른 화자에 의해 반복, 서술되며 재구성된다.

.
■  14개의 시간대
이 소설에서 독자들은 타임머신을 탄 듯 이해할 수 없는 시간과 공간으로 느닷없이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포크너는 별다른 단서를 제공하지 않은 채 
서체 색상의 변화와 문장 중간의 여백 삽입, 문장 부호 등의 생략을 통해 독자들을 더 큰 혼란에 빠뜨린다

● 1장 벤지 섹션

벤지 섹션 시간대 구분 완료.- 공진호 번역가님의 소리와 분노 블로그 의 글 입니다.

원문주소: http://soriwabunno.blogspot.com/2013/01/blog-post.html

-벤지의 세계에서는 인과관계도 목적도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감각과 관찰만 있을 뿐이다.

- 현재와 과거의 경계는 모호하고, 

- 과거는 주인공들의 현재에 의해 굴절·왜곡되며 현재는 과거의 기억과 경험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다. 

  • 화자인 벤지는 언어 능력이 형성되기 전에 정신연령의 발달이 멈춘 백치다
  • 벤지의 머리에 드나드는 감각을 포착해 그것을 벤지의 언어로 서술한다. 
  • 벤지는 합리적인 문장, 텍스트를 구성하지 못한다
  • 우리는 교육과 관습에 길들여져 세상을 바라보는 데 사용하는 어떤 범주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통해 눈이나 귀에 들어오는 '정보'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저긍로 분류하고 이해하지만, 벤지에게는 그런 '범주'가 없다. 새로운 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 어떤 동작의 인과관계를 인식하지 못한다
  • 마치 벤지의 감각기관에 형성되는 인상들이 그의 머릿속에 어떤 초보적인 정보들로 배치되는 순간 그것을 '엿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되기도 함일종의 '원시적'인 관점
  • 서술의 시간이동이 빈번
  • 성년기, 그리고 유년기와 청소년기로 나뉘는데 각각 그를 돌보는 흑인인 러스터, 버시, 티피를 지표로 구별할 수 있다.
     시간이동은 대개 다른 색상의 서체로 표시되지만 그렇지 않은 데도 있다. 
  • 물음표나 느낌표도 없다. 벤지의 언어는 이상하여 우리는 평소의 독서 습관을 유보하고 언어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벤지가 말하지 못하는 것을 보충하며 그와의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 서술에 참여해 이야기를 재구성할 것을 요청받는다. 

  • 벤지 섹션이 시작되는 날은 부활절 토요일.

(1) 9쪽/1줄 - 11쪽/2줄: 현재, 1928년 4월 7일. 벤지 33세, 러스터 17세.
(2) 11/3 - 11/11: 1908년 12월 23일.
(3) 11/12 - 13/16: (2)와 같은 날이지만 조금 앞선 시간. *글씨 색이 검은색으로 바뀌었어도 시간대의 이동은 없습니다. (2)의 갈색글씨는 시간이 이동함을 나타내고 검은색 글씨로 돌아와도 그 시간대가 계속됩니다.
(4) 13/17 - 13/19: (1)과 연결.
(5) 13/20 - 16/17: (3)과 연결. *이 중간에 "자 가만 있어"와 "자 발을 쿵쿵 디뎌봐"는 과거 속의 과거입니다. 배경에서는 버시와 엄마가 말을 하고 있는데, 그와 동시에 벤지의 머릿속에 또 다른 시간대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입니다.
(6) 16/18 - 16/20: (4)와 연결.
(7) 16/21 - 20/21: 1912-13년. 묘지 가는 길. 퀜틴은 1910년에, 콤슨 씨는 1912년에 사망했습니다. 두 부자는 나란히 묻혔습니다.
(8) 20/22 - 21/3: (6)과 연결.
(9) 21/4 - 22/8: (5)와 연결.
(10) 22/9-18: 1908년 봄 혹은 여름.
(11) 22/19 - 26/21: (8)과 연결. "들어갔다"까지 (마침표는 없는 것임) "그리고"는 갈색.
(12) 26/21 - 29/2: 1900년, 다머니의 장례, 개울가, 캐디의 진흙 묻은 속옷 엉덩이.
(13) 29/3-10: (11)과 연결.
(14) 29/11 - 30/11: (12)와 연결.
(15) 30/12-13: (13)과 연결.
(16) 30/14-20: (14)와 연결.
(17) 30/21 - 33/11: 1910년 4월 25일, 캐디의 결혼식.
(18) 33/12 - 40/4: (16)과 연결.
(19) 40/4 - 41/8: 1910년 6월 2일, 퀜틴의 자살.
(20) 41/9-11: 1912년, 제이슨 리치몬드 콤슨 (아버지) 사망.
(21) 41/12 - 42/14: (19)와 연결.
(22) 42/14 - 45/10: (20)과 연결.
(23) 45/11: (21)과 연결.
(24) 45/12-16: (22)와 연결. 아버지 사망 관련 종결.
(25) 45/17-20: (15)와 연결, 1928년4월 7일.
(26) 45/21 - 46/12: (18)과 연결, 1900 다머디 장례.
(27) 46/13-16: 1905년, 로스커스 사망.
(28) 46/17-19: (26)과 연결.
(29) 46/20 - 47/2: (27)과 연결, 로스커스 사망 종결.
(30) 47/3-6: (28)과 연결.
(31) 47/7 - 49/11: (19)에서 연결, 1910년 6월 2일, 퀜틴 사망 종결.
(32) 49/12-14: (25)와 연결.
(33) 49/15 - 51/11: (30)과 연결, 1900 다머디 장례.
(34) 51/12-22: (17)과 연결, 1910년 4월 24일, 캐디의 결혼식.
(35) 51/23 - 52/3: (33)과 연결.
(36) 52/4-7: 캐디의 결혼식, (34)와 연결.
(37) 52/8-17: (35)와 연결.
(38) 52/18 - 53/4: 캐디의 결혼식, (36)과 연결.
(39) 53/5 - 54/3: (37)과 연결. *이 부분은 예외적으로 서체가 바뀌지 않는데도 시간이동이 일어납니다.
(40) 54/4 - 55/10: 캐디의 결혼식, (38)과 연결.
(41) 55/11 - 58/7: 1906년, 캐디의 향수, 캐디가 벤지와 함께 딜지에게 향수를 주는 에피소드.
(42) 58/8 - 60/18: (~방이 검어졌다.) 1908년 12월 23일, 패터슨 씨에게 맞아 멍든 모리 삼촌의 눈.
(43) 60/19 - 62/11: 1900년 다머디 장례식 날, *캐디의 흙 묻은 속옷 에피소드.
(44) 62/12-14: 1928년 4월 7일, 현재.
(45) 62/15-22: 1908-10, 캐디와 찰리.
(46) 62/23 - 63/1: 1928년 4월 7일, (44)와 연결.
(47) 63/2-3: (45)와 연결.
(48) 63/4-5: 1928년 4월 7일, (46)과 연결.
(49) 63/6 - 65/6: (47)과 연결, * 캐디와 찰리 에피소드 종결.
(50) 65/7 - 68/20: 1928년 4월 7일, (48)과 연결.
(51) 68/21 - 71/8: 1910년, 캐디 결혼, 벤지의 거세 종결.
(52) 71/9 - 74/19: 1928년 4월 7일, (50)과 연결.
(53) 74/20 - 75/4: 1900년 벤지의 개명改名
(54) 75/5 - 76/10: 1928년 4월 7일, (52)와 연결.
(55) 76/11 - 76/16: (53)과 연결.
(56) 76/17 -77/16: 1928년 4월 7일, (54)와 연결.
(57) 77/17 - 78/12: (55)와 연결.
(58) 78/13 - 81/7: 1928년 4월 7일, (56)과 연결.
(59) 81/8 - 81/20: (57)과 연결. *중간에 서체가 바뀌었지만 시간 이동은 없는 예외적인 부분 중 한 군데.
(60) 81/21 - 82/2: 1900년 다머디 장례식 계속.
(61) 82/3-19: 1900년 벤지의 개명. (57)과 연결.
(62) 82/20 - 83/6: (60)과 연결.
(63) 83/7 - 86/20: 1900년 벤지의 개명, (61)과 연결.
(64) 86/21 - 87/9: 1928년 4월 7일, (58)과 연결.
(65) 87/10-12: 1900년 벤지의 개명, (63)과 연결.
(66) 87/13-18: 1928년 4월 7일, (64)과 연결.
(67) 87/19 - 88/5: 1908-09, *캐디의 처녀성 상실.
(68) 88/6 - 89/6: 1928년 4월 7일, (66)과 연결.
(69) 89/7 - 90/6: 1908-09, 캐디의 처녀성 상실, (67)과 연결.
(70) 90/7-8: 1900년 벤지의 개명, (65)와 연결.
(71) 90/9-22: (69)와 연결.
(72) 90/23 - 91/9: 1900년 벤지의 개명, (70)과 연결.
(73) 91/10-17: 1908-09, *캐디의 처녀성 상실 종료.
(74) 91/18 - 92/3: 1928년 4월 7일 현재, (68)과 연결.
(75) 92/4-18: 1900년 벤지의 개명, (72)와 연결.
(76) 92/19-22: (74)와 연결.
(77) 92/23 - 93/3: 1900년 벤지의 개명, (75)와 연결.
(78) 93/4-5: (76)과 연결.
(79) 93/6-9: 1900년 벤지의 개명, (77)과 연결.
(80) 93/10-11: (78), 현재.
(81) 93/12: (79), 개명.
(82) 93/13-15: (80), 현재.
(83) 93/16-17: (81), 개명.
(84) 93/18-23: (82), 현재.
(85) 94/1-2: (83), 개명.
(86) 94/3-6: (84), 현재.
(87) 94/7-9: (85), 개명.
(88) 94/10-12: (84), 현재.
(89) 94/13 - 95/5: (85), 1900년 *벤지의 개명 종료.
(90) 95/6 - 18: (84), 현재.
(91) 95/19 - 96/11: 1900년 다머디 장례식, (43)과 연결.
(92) 96/12-20: (90), 현재.
(93) 96/21 - 97/1: (91)과 연결.
(94) 97/2-13: (92), 현재.
(95) 97/14 - 98/23: 1900년 다머디 장례식, 93)과 연결. *** 벤지 섹션 끝.

● 
 2장  퀜틴 섹션
- 장남
- 화자인 퀜틴이 내면으로 깊이 침잠하고 혼돈에 빠져들면서 “자아를 상실하고 서술 통제력을 완전히 상실”함으로써 
벤지 섹션과는 다른 차원에서의 문장과 의미의 해체 가 이루어져 포크너 소설의 난해함은 절정에 달한다. 

- 콤슨가를 일으켜세우리라는 기대를 한몸에 받고 동생 벤지의 땅을 팔아 하버드에 진학하지만 
“낭만적 이상주의자”인 퀜틴은 현실을 견뎌내지 못한다. 
그는 ‘누이동생 캐디’로 집약되는 과거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자기분열의 길을 걷는다. 
그는 시간에 집착하며 끊임없이 그것에서 도망치고 그것을 망각하려 든다.
퀜틴 섹션에는 크게 다섯 시간대가 섞여 있습니다.

(5) 1900년: 다머디의 죽음. 개울가에서 노는 아이들과 벤지의 이름 변경 
(4) 1901년에서 1906년 사이 불분명한 시점: 나탈리와의 에피소드
(3) 1909년 8월: 톨턴 에임스 에피소드, 캐디의 처녀성 상실, 캐디와 퀜틴의 개울가 에피소드, 퀜틴과 아버지의 대화.
(2) 1910년 4월: 캐디의 결혼식 당일과 하루나 이틀 전의 에피소드.
(1) 1910년 6월 2일: 퀜틴이 하버드 대학에 재학 중인 현재.


 3장의 화자인 제이슨
- 차남
- 퀜틴과는 반대로 “시간에 쫓기며 그것을 따라잡으려 애쓴다”.
집안이 몰락한 이후 가장이 되어 집안을 이끌어야 했던 제이슨은 상당히 현실적이고 냉소적인 인물이다.
- 자기중심적이며 교활하고 편협한 성격의 그는 모든 것을 계산한다.
그의 세계는 이상과 관념의 세계가 아니라 물질과 손익의 세계이다.

-
 " 물질지상주의남에 폭력남에 인종차별주의남 등등 걸어다니는 인간말종 백화점"

콤슨가의 이러한 비정상적인 삶 속에서 유일하게 사랑과 명예의 중요성을 알고,
콤슨가를 지탱해나가는 것은 콤슨가 4남매를 키운 유모이자 집안 살림을 맡고 있는 흑인 여성 딜지이다.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서술되는 4장에 가서야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딜지는 “독자의 예상을 뒤엎는다.
그녀는 체격이 좋고 순종적인 스테레오타입의 흑인 유모나 가정부가 아니다. 그녀는 인고하기도 하지만 저항하기도 한다.” 그리고 딜지의 이야기가 모두 끝난 후에야, 각각 한 편의 단편소설 같은 네 화자의 서술, 서로 다른 관점에서 동일한 주요 사건들을 구성해내는 네 화자의 진술이 모두 끝난 뒤에야 독자들은 20여 년에 걸쳐 서서히 몰락해간 콤슨가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 퍼즐을 완성

04. 상징
-  제목

02. 기독교 상징
- pasture 
- 남부의 농촌 사람들은 가축 치는 벌판을 meadow 라고 하지 않음
- 벤지의 유산인 '초장'은 퀜틴의 학비를 대기 위해 처분됩니다. 그리고 초장은 골프장으로 바뀜
- 방목장=초원=초장이 골프장이 됨으로써 전원적인 남부의 농촌이 급속히 변하고 있음을 극적으로 보여줌
이보다 더 중요한 상징적인 의미는 시편 23 의 양치기에 대한 상징
"He [The Lord] maketh me to like down in green pastures." 
벤지는 고대 히브리 전통 의식에서 어린양이 희생되는 것처럼 가족의 '희생양'이 됨
( 죄를 지은 건 가족인데 거세당하는 건 벤지)
- 딜지는 벤지를 주님의 어린아이, "어린 양"으로 봅니다. 
기독교 복음이 글에 얽혀 있어 작중 인물들의 삶과 의식의 일부분을 이룹니다. 

-Southern Values
- Muddy Drawers
- Clocks

05. shoomp 소리와 분노 
- 주제
Language and Communication
Family
Innocence
Sin
Home
Guilt and Blame
Principles
Race
Memory and the Past
Sexuality and Sexual Identity




작가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 내가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오직 작품만이 중요하다. 내가 아니어도 누군가가 그작품을 썼을 것이다. Shakespeare, Balzac, Home는 모두 똑같은 것에 대해 썼다.그들이 죽지않고 살았다면 새로운 작가가 필요하지 않을 것.

훌륭한 작가가 되기 위한 비법이 있는지?
- 99%의 재능 , 99%의 훈련 99%의 작업
- 동시대작가나 선배작가를 의식하지 말고 이전의 자기자신을 극복하기 위해 쓸 것
-  예술가는 악마에 의해 조종을 받는다. 자신이 왜 악마에게 선택받았는지를 따질 겨를도 없이 바쁘다 작품을 위해서라면 타인에게 강탈하고, 빌리고, 구걸하고, 몰래 훔치는 것이 바로 예술가이다. 

기독교 알레고리를 사용하는 까닭은?
- 그것이 인간이 자연상태일 때보다 인내, 희생, 희망 등 인간으로서 타고난 의무를 수행하고  더 나아질수 있는 행동양식을 제공하기 때문

작품에 꼭 폭력이 등장한다는 지적에 대해서 할 말은?
- 목수가 망치를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듯이 나도 폭력을 표현의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 뿐이다.

당신의 작품에는 꼭 혈연관계가 나온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나는 human heart를 그리려는 것이지 혈연으로 인한 코의 모양이나 혈연관계에 대해 말하려는 것은 아님.

당신 작품의 인물들이 선과 악의  선택을 할때 의식적으로 선택하지 못한다고 지적하는데?
- 삶은 선과 악으로 되어 있지 않으며 사람들은 선과악이 아니라 사는 것 자체에 열중함
삶은 열망, 힘, 쾌락이라는 요소에 따르는 움직임임
많은 예술가들이 그 움직임을 포착하고 싶어하는데 그가 작품에 가둬둔 움직임은 몇백년 후에 어떤 사람이 그 안에 포착된 움직임을 읽으면 다시 살아나게 됨. 사람은 필연적으로 죽는 존재이므로 사람이 죽지 않고 살려면 무엇인가를 남기고 가야하며, 그것은 언젠가는 생명력을 얻어 움직이게 된다.
 

02. 근친상간의 욕망 -닫힌 세계를 상징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 조각난 몸을 하나로 만들고자 하는 욕망, 즉 어머니의 세계와의 합일에 대한 욕망이며, 원초적 총체성에 대한 집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총체성의 세계는 오이디푸스 삼각형의 틀에 갇힌 닫힌 세계이다.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
리(Felix Guattari)에 따르면, 
 “흐름을 차단하는 통합과 영토
화”(Anti-Oedipus 367)에 의해 정의되는 세계이다. 
- 단일한 목소
리가 지배하는 편집증적 세계이며, 
- 기표와 기의가 1 : 1로 대응되는 단원적인 세계이
다. 

반면에, 반(反)오이디푸스 세계, 즉 근친상간을 거부하는 세계는 “약호의 벽이나
영토의 한계를 뛰어넘는 탈출의 대열”(Anti-Oedipus 367)에 의해 정의되는 세계다. 
그것은 전체성에 저항하는 파편성과 이질성으로 특징지워지는 해체적인 분열증적
세계이다. 

따라서 근친상간의 거부는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의 틀에 대한 거부이며,
 이
는 곧 중심을 해체하고 열린 구조로 향한 몸부림이라고 할 수 있다


▶ 근친상간에 대한 퀸틴의 욕망은 
- 하나의 세계(oneness)에 대한 갈망에서 나온다. 
- 그의 욕망은 외부 세계의 억압
에서 도피하여 순수하고 순결한 원초적 세계로 복귀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죤 T. 어윈(John T. Irwin)은 누이동생의 처녀성 상실에 대한 복수와 가족의 명예에 대한 퀸틴의 집착에 대해 “아직도 최초이며 기원에 대한 권위를 가질 수 있는 순결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유지하려는 노력”(111-12)이라고 말한다.

▶ 캐디의 순결은 남부의 순결한 공간, 원초적 시간과 동일한 것이며, 
순결에 대한 퀸틴의 집착
은 잃어버린 남부세계의 영광의 회복에 대한 강박관념을 의미

03.  가부장제
▶가족의 중심으로서의 백인-남성 주체는 일종의 신화화


- 남부 가부장제는 백인-남성을 통해 승계되기 때문에 여성은 처음부터 배제된다. 
남성-주
체는 여성들을 남성 후계자의 생산을 통해 가부장제적 체제를 재생하는 도구로 간주하며,
가부장제의 안정성을 위해 여성의 위치를 언어적 기호로 범주화하고 
그 범주에서 일탈하는 
여성들을 타자화한다. 

따라서 강제된 위치에서 일탈한 여성들은 공동체의 동질적 구성원으 
로 인정받지 못하고, 
언어를 금지당하거나 추방당한다. 

남부의 가부장제가 상상하는 순수함
에 대한 신화는 여성의 순결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한다. 

이러한 신화화로 인해 가부장제의 
백인 남성은 혼혈혼을 경계하여 흑인 남성을 무의식적으로 혹은 의도적으로 억압하고, 남부여성의 순결에 대한 강박관념적 집착을 보이면서 여성의 성적 욕구를 억압한다. 따라서 순결에 대한 지나친 강조와 여성의 억제된 성은 여성을 영원한 타자로 남기려는 가부장적 이념의 방책이라고 할 수 있다. 가부장제의 백인-남성 주체는 ‘검둥이’라는 언어로 흑인을 타자화한다. ‘검둥이’라는 기호는 동질성이 부여될 수 없는 지배 공동체의 종속물을 뜻한다.


 󰡔음향과 분노󰡕의 퀸틴과 캐디, 󰡔팔월의 빛󰡕의 조안나, 󰡔압살롬, 압살롬!󰡕의 헨리, 쥬디스 그리고 로자 등과 같은 양성적 인물을 통해서 남부가부장제가 범주화한 본질적인 여성성, 본질적인 남성성을 거부하고, 여성이든 남성이든 그역할 혹은 존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04. 중심과 주변부

■ “주변부를 제거하면 중심도 사라진다. 우리가 ‘중심’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중심의 외부에 있을 때이다”(Faulkner’s Subject 43).


 ▶ 이렇게 해서 포크너는 새로운 시대의 보편적 인간 가치를 부정하는 남부 신화의 독선, 폭력,오만과 편견을 지닌 군상을 그리며 남부를 비판한다. 

-  성과 인종 차별주의는 분리와 차이에 의해 질서를 확립하는 남부

사회의 특징적인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남부의 죽은 아버지에 대한 
후손들의 정체성 문제를 파헤친 작품으로 
현실에 정착하지 못하는 남부인의 상실감


05.  
남성의 도착적인 성 욕망

소설에서 포크너는 미국 남부가 산업화라는 새로운 재앙에 맞서 싸우고 싶지만 
힘이 없는 신남부의 상황을 남부후손들의 성 정체성을 통해 묘사했다. 즉 
백인남성인물의 성 도착성 연구는 결국 ”남성의 약함과 가부장적인 자치권의허약함”(Clarke 53)을 기본적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가부장제의 몰락 

▶  토지를 근간으로 한 사회경제적 여건 속에서 살아온 콤슨 가(The Compsons)
 겉으로 보기에 매우 이상하다고 여겨지는 등장인물들을 통하여 포크너는
대자연인 미시시피 강의 완만한 흐름과도 같은 남부인들의 내면 의식에 급격한 소용돌이가 용솟음치고 있음을 그의 혁신적인 서술기법으로 보여줌

 20세기 초 미국 남부인들의 현실을 뚜렷이 반영
- 남부
가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산업화의 진행 과정에서 부적응하여 시간 지체증상
- 자기중심적인 공간과 시간의 창조에만 몰입하며 
외부의 사회 변동에 대하여 복잡다단한 심리적 반응

 퀜틴(Quentin)의 절박함
:
자기애적인(narcissistic) 상상의 공간을 설정하여 물리적 시간의 흐름을 멈추려함
제이슨(Jason)의 시행착오
: 매번 한발 늦게 이동하여 자신이 만든 제한적 시간과 공간의 울타리 속에서 반복적으로 좌절함
 막내아들 벤지(Benjy)
: 동물적 감각 내지 직관에 의한
무시간적 공간 이동 또는 즉흥적 시간의 창조 등은 작가 포크너가 자유연상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소산이다
-  여전히 급격한 사회변동에따르는 불안 심리와 실존적 고통


 포크너는 “남부의 문제점들”(FIU 17)은 제이슨이나 퀜틴 같은 인물들이 남부에 너무 많이 존재한다고 말함
(
1957년 2월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학생들과의 대담)

대답: 예, 남부에는, 성공할 수 있는, 너무나 많은 제이슨 같은 인물들이 살고있어요. 마치 남부에는, 현실과 맞닥뜨리기에는 너무 민감한, 너무나 많은 퀜틴 같은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FIU 17)

여기서 포크너는 남부인들 중에서 제이슨 같은 냉혈한은 현재의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적응하려 시도하여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며, 이와 반대로 “현실과 맞닥뜨리기에는 너무 민감한” 퀜틴 같은 사변적인 인물은 과거의 시간과 공간에 빠져 있음을 지적한다. 여기서 필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대비되는 이 두 인물들 이외에도 산업화의 침탈로 인한 사회 공간의 변동에 시간의 지체를 드러내는 남부인들의 내면의식은 개개인의 심리적 차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통틀어서 남부인들의 집단 무의식으로 확장된다는 것이다


06 흑인유모신화, 미국사회의 인종개념과 인종본질주의
-모두 남북전쟁에서 패전한 미국남부에서 시작
되었다(3). " - ( 헤일(Grace Elizabeth Hale),
-  
패전한 미국남부의 백인사회는 무엇보다 노예제에서 해방된 흑인과의 인종질서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 
‘한 방울 법칙’(one-drop rule)이나 흑인법(Black Codes), 짐 크로우 법 (Jim Crow Law)2)
 흑인차별과 흑백분리정책
백인지배와 흑인종속을 지속하기 위해 
- , KKK단과 같은 극단적인 인종차별단체의 활동이 강화
-  남부의 백인사회는 남북전쟁 이전 시대를 인종과 종교, 계급이 조화를 이룬 황금시대로 간주하게 되면서 옛 남부에 대한 향수에 젖어들었다. 가족주의 대농장제나 행복한 흑인(happy darky) 담론은 말할 것도 없고 ‘옛 남부 신화’(Old South Myth)와 ‘흑인유모신화’가 확립된 것도 바로 이 즈음


07. 짐 크로우 시대의 미국 남부와 백인 여성


짐 크로우 시대의 남부 백인 여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성스러운' 남부숙녀 신화와 '백인 여성을 능욕하는 흑인 짐승 신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남북전쟁에서 패한 미국 남부 사회는 기존의 인종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인종개념과 인종주의를 강구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미국 남부 사회는 노예제 폐지 후 흑인을 이전의 열등한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짐 크로우 법과 같은 인종분리정책을 시행했지만, 오히려 흑인 경제가 성장하고 흑인 중산층이 등장하면서 인종 계급간 모순에 대한 두려움이 증폭하고 있었다. 남부 백인 사회는 계급질서의 위기를 인종 문제로 환원하여 해결하려 하였고 이러한 상황에서 남부 숙녀 신화와 흑인 능욕자 신화가 탄생하게 되었다. 두 신화는 표면적으로 흑인 남성의 성적 위협으로부터 '백인 여성의 보호'를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흑인 남성과 백인 여성을 통제함으로써 백인 남성의 우월성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특히 린칭와 거세는 흑인 남성의 남성성을 제거한다는 점에서 흑인 남성의 열등한 '위치'를 일깨우고 백인 남성의 남성성을 강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린칭과 거세는 당시 자유로운 성을 추구하면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려는 백인 여성에게도 그에 걸맞은 '위치'를 깨닫게 하는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신성한 남부 숙녀 신화에 갇혀있던 당대의 백인 여성은 흑인 능욕자 신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전유하기도 하지만 억압적인 인종차별정책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기도 하는 등 다층적 면모를 보여준다. 윌리엄 포크너와 리처드 라이트, 릴리언 스미스의 작품은 모두 짐 크로우 시대에 갇혀있는 백인 여성의 다층적 면모를 드러내 줌으로써 남부 숙녀 신화와 흑인 능욕자 신화가 모두 허구적 개념임을 드러낸다.



[5] 포크너의 작품 더 읽기 , 참고 자료

(포크너 단편선)

윌리엄 포크너 - 10점
윌리엄 포크너 지음, 하창수 옮김/현대문학

에밀리에게 바치는 한 송이 장미 
헛간 타오르다 

메마른 9월 

신전의 지붕널 
그날의 저녁놀 
붉은 나뭇잎 
곰 
와시 
반전 
여왕이 있었네 
브로치 
마르티노 박사



분열하는 제국 - 10점
콜린 우다드 지음, 정유진 옮김/글항아리



그런데 여기, 마치 분열증을 앓는 듯 모순된 면모를 가진 나라가 있다. 바로 11개의 국민들로 나뉜 데다 그 분열 증상이 더 심해지고 있는 미국이다. 미국의 지도자들은 위기 국면마다 “근본적인 공동 가치를 회복하자”고 말하지만, 그런 ‘원형적 가치 따위’는 미국에 있었던 적이 없다. 미국의 가장 고질적인 분열은 레드 주(공화당 우세 주)와 블루 주(민주당 우세 주), 보수와 진보, 자본가와 노동자, 백인과 흑인, 신앙인과 세속주의자 사이에 있지 않다. 오히려 근본적인 원인은 미국이 결코 의견 일치를 보이는 법이 없는 11개 ‘지역 국민regional nations’들로 구성된 연방국가라는 데서 기인한다고 저자는 파악한다. 



■ 유머중재를 통한 제이슨 컴슨 다시읽기
금동지/ 현대영미어문학회, 현대영미어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7.5, 20-25 (6 pages)

 원문주소 http://jse.or.kr/AJMAHS/papers/v8n3/59.pdf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느라 힘들던 독자들의 귀에 정상인의 언어 그것도 시원하게 내뱉는 욕설이 들리게 되면서 독자들은 비로써 안도와 유머를 느끼게 된다. 마치 외국에서 돌아와 모국어로 들리는 소음에 오히려 반갑고 안도하는 것과 같다."

" 앞의 두 장들과는 달리 제이슨의 장은 의식이 아닌 독백(monologue)형태의 언어로 발화되고 있기 때문"

독자는 단편적으로 부각되던 조각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줄거리와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할 기회를 갖게 되고, 

제이슨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난 그 가족의 실체를 알게 되면서 타락이나 소외, 자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이 집안 자녀들의 결핍과 허무, 그리고 고뇌가 이해하고 해석이 된다.


캐이트린 무어는 돈만 밝히는 속물이며, 자신보다 약한 자들에게 잔인한 일을 저지르는 제이슨이란 인물의 성격이 심리적 만성질병인 모성 고착으로 인한 것이라고 함.

 " 제이슨이 하는 말의 대부분이 어머니에게로 향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스티븐 로스(Stephen Ross). 비록 어머니의 말이나 눈물 때문에 자신의 생각대로 일을 진행시키지도 못하고, 늘 지켜보는 그녀의 시선으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얼버무리고 속임수를 쓰기도 하지만, 제이슨 또한 ‘어머니의 사랑스런 아들’(Ross 77) 역할을 하느라 사춘기를 다 보냈고, 창녀에게서 자신의 욕망을 해소하긴 하지만 사랑의 감정을 모르고 이런 증상을 겪는 사람이 거의 그러하듯 마흔이 넘도록 독신으로 지내고 있다.

비록 제이슨 장의 대부분의 이야기가 방종한 조카딸 퀜튼을 쫓고 있는 제이슨의 하루를 묘사하 고 있지만, 그가 퀜튼을 뒤쫓는 사실 또한 어머니 가문의 명예와 청교도 정신을 지키기 위한 것임을 고백하는 것을 보면 결국은 그의 정신을 지배하는 것은 어머니임을 부정할 수 없다. "

* 최근 의학과 간호학의 분야에서도 유머와 웃음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치료를 위한 중재(intervention)로서 유머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중재란 수술이나 약물투여와 같은 직접적인 치료가 아니라 놀이치료, 음악치료, 명상치료처럼 환자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관심을 분산시켜 통증을 잊거나 피하게 하는 방법이며, 치료를 잘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략이나 보조치료



『소음과 분노』: 나르시스적 주체와 상상의 아버지 [KCI등재]

최현숙/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47, 2015.12, 109-134 (26 pages)

 원문주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OrteServHistIFrame.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70191&sereArticleSearchBean.orteFileId=KCI_FI002070191


■ 포크너 문학과 모더니즘 - 영미문학연구회

 sesk.net/khko/sympo/sympo09-01.hwp


사실 그리스 로마 신화나 성경의 이미지들은 서양문학에서 끊임없이 작가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작품속에서 인용되거나 비유되어 쓰여져 오지 않았던가? 그런데 모더니스트의 신화적 방법이란 기존의 신화사용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신화를 단순히 문학적 장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 요소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신화적 이미지와 은유들이 작품의 구조안에서 일관성있게 연상의 망을 형성한다. 

포크너는 신화를 단순히 문학적 장식이나 단편적 비유로 사용하는이전 방식과는 달리, 신화를 일관된 구조적 요소로 원용하고 있슴. . 그의 신화적 기법은 조이스보다 훨씬 은밀하며 그리스 로마 신화, 신구약 성서, 원시종교의 모티프등이 복합적으로 어루러져 포크너의 의도와 요구에 부응
ex 1) <소리와 분노> 에서는 부활절이 구성상의 중심이 되어 콤슨가의 몰락과 대비
: 벤지를 데리고 예수의 희생과 부활에 대한 설교를 듣는 딜지와 돈을 훔쳐 달아나는 조카를 미친듯이 추적하는 제이슨을 병치시켜 보여줌으로써 사랑의 결핍으로 붕괴되는 현대의 가족에게 부활은 불가능한 것인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ex 2)  딸 캐디를 자랑거리 이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콤슨부인을 납치된 딸 페르세폰을 찾아헤메는 디미터에 비유해 아이러니를 유발한다. 신화에서 디미터는 딸 페르세폰을 찾기 위해 검은 베일을 쓰고 온 세상을 찾아 헤맨다. 아이러니 하게도 콤슨 부인은 딸 캐디가 애인과 포옹하는 장면을 본 뒤 마치 딸이 죽은 것처럼 검은 옷과 베일을 쓴다. 자신의 위신이 깎이기보다는 차라리 딸의 죽음을 바라는 콤슨 부인은 지극한 모성의 디미터와 극단적인 대조를 이룬다. 

■ 『고함과 분노』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

정길화/ 국제언어문학회, 국제언어문학 29, 2014.4, 163-192 (30 pages)

요크나파토파 군과 제퍼슨 읍을 중심으로 한 허구적 실재의 창조가 포크너의 예술 세계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논문 
포크너의 “요크나파토파 지도”가 그의 주요 작품들을 각각의 위치에 배열하여 표시해 놓은 바는 바로 그가 남부의 지리적 공간과 과거의 시간을 현재와 미래의 시간에도 계속, 영원히 존속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그의 예술적 목표를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포크너는 실존적 불안 의식을 지닌 남부인들의 심층 심리를 자유 연상에 따른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내밀히 탐구한다.

필자는 콜린스에 의한 몰개성적인 프로이드식의 정신분석이나 “유령 같은 실재의 양상”을 관심사로 한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의 “실재의 희석과 개성의 분해” 라는 루카치의 견해에 대하여 각각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포크너의 등장인물들이 절박한 심리 상태를 벗어나고자 (무)의식적 투쟁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필자는 세 형제의 의식의 중심인 캐디와 햄릿 같은 인물인 퀜틴과 그의 형제들의 시간과 공간 개념을 새로이 설정하고, 미술과 건축 일에 밝았던 시골 토박이 작가 포크너가 “나만의 우주”를 설계하고, 이를 보편성을 띤 예술품으로 “창조”하였던 과정을 살핀다.


■ 윌리엄 포크너의 소음과 분노 속 캐디의 잃어버린 목소리와 생명의 시학
김대중, 경남대학교,  2014 인문학연구  47집

 원문 주소 www.chosun.ac.kr/common/downLoad.do?siteId=ih&fileSeq=174295


■ 윌리엄 포크너 작품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 : 희생양 메커니즘 [KCI등재]

정현숙 /신영어영문학회, 신영어영문학 54, 2013.2, 151-170 (20 pages)



■ 미국 남부 사회와 백인성 만들기 : 『압살롬, 압살롬!』을 중심으로 [KCI등재]

강지현/ 세계문학비교학회, 세계문학비교연구 26, 2009.3, 159-179 (21 pages)

 원문 주소  :http://210.101.116.28/W_files/kiss9/68800430_pv.pdf


■ 캐디와 리나: 포크너의 아름다운 여성들 [KCI등재]

한혜경/신영어영문학회, 신영어영문학 28, 2004.8, 173-192 (20 pages)



■ 현대 영미 소설의 이해

이상옥  김성곤 지음,  etc 아침이슬 2004 윌리엄 포크너 : 언어의 모험


현대 영미 소설의 이해 - 10점


- 현대 영미 소설을 대표할만한 작가 10명을 선정하여
해당 작가를 연구한 영문학자 10명의 논의를 소개함

차례 이 책을 내면서 서문을 대신하여 영미 소설과 나:한 센티멘털리스트의 회고/이상옥
... 윌리엄 포크너:언어의 모험/신문수 ...



■ 윌리엄 포크너의 『음향과 분노』와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에 나타난 근친상간의 욕망과 거부 [KCI등재]

오세찬 /신영어영문학회, 신영어영문학 18, 2001.2, 155-174 (20 pages)



■ 윌리엄 포크너와 포스트모더니즘 

오세찬 /신영어영문학회, 신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 2001.1, 81-85 (5 pages)


■ 윌리엄 포크너의 인종관에 대한 재고 : 그는 인종차별주의자인가? [KCI등재]

박엽/ 신영어영문학회, 신영어영문학 11, 1998.2, 1-34 (34 pages)


■ 윌리엄 포크너:삶의 실제와 작품세계 

이영옥 /열음사, 외국문학 38, 1994.2, 247-262 (16 pages)


■ 포크너의 주요 작품에 나타난 어머니의 부재현상과 그의 생애의 역동적 관계 분석 

신명아/ 열음사, 외국문학 38, 1994.2, 263-285 (23 page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