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론느리게 읽기

담론 1부 6장 군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

by 책이랑 2016. 10. 6.

담론의 1부 6장. 군자는 원래 궁한법이라네 입니다.

이 부분은 '강의'의  4장인 『논어』, 인간관계의 보고의 해설이라 할수 있습니다.

강의 4장 에서는 논어의 글귀 17개 가 소개되면서

이를 인간관계론, 지식 , 상품미학, 사회활동가의 운동론, 부귀, 실천과 주관주의와 관련지어 설명합니다.

이중에 『담론』 6장의 제목으로 뽑힌 것은 군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입니다. 이때의 군자란 신영북 선생님 말씀에 따르면 지식인을 뜻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날 각국의 정치구조는 (민주정치를 한다고 해도) 예외없이 중간계급을 승인하는 대의제로 운영됩니다. (p.96) 공자는 는 위계질서가 무너지 사군자라는 제 3계급이 출현한 시기에  그 사군자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를 말할 때 바로 군자는 원래 궁한법이라고 말합니다. 지배계층에 타협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책에는 일본 고이노우에 야스시의 소설 『공자』에 나오는 공자의 일화가 소개됩니다,

* * *

 공자 일행이 진, 채 사이에서 며칠을 굶주려 일어날 기력도 없을 때였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조용히 금(琴)을 켜고 있는 공자에게 자로가 다가가 화난 듯 이야기합니다. “군자도 궁할 때가 있습니까?” 자로의 노여운 질문에 대한 공자의 답변은 의외로 조용하고 간단합니다. “군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君子固窮) “소인은 궁하면 흐트러지는 법이지.”(小人窮斯濫矣)(102p)

선생님께서 생각하시기에 사회변혁으로 정치혁명, 경제혁명, 제도혁명 들이 일어납니다.

그러나 불가역적인 구조변혁의 과제를 진정으로 고민하고 장기적이고 본질적으로 재편하려면(강의 p.145)

인간관계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점을 정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사회'에 대한 모든 개념은 제도와 인간으로 요약되기 때문입니다.(강의 p.145)

(예를 들면 자본제도의 핵심은 위계적인 노동분업, 생산자에 의한 지배 체제로 요약됩니다.)


사회의 본질을 '인간관계'에 두고 파악한 것이 『논어』의 특이점입니다.사회변혁을 원하는 면서 우리가 고민이 집약되어야 하는 부분이 인간관계이기에 논어는 이런 생각을 풍부하게 하는귀중한 보물창고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자는 70노인과 16세 무당 사이에서 야합에 의한 사생아로서
공동체 문화가 온존해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비읍 출신입니다. 
이런 출신에도 불구하고 일가를 이룬 입지전적인 인물이었지만
노나라를 떠나 14년간 망명생활을 한 고단한 삶을 산 인물

 『논어』는 위계질서가 무너지고 사군자라는 제3의 계급이 등장하는  
혁명적 과도기에 필요한 안간관계에 대한 개방적 담론이 있는  인간관계의 보물창고
(강의)

춘추전국시대의 특징(강의 pp.138)

첫째, 철기의 발명으로 특징지어지는 기원전 5세기 제2의 '농업혁명기'
둘째, 구 사회질서 즉 천자-제후-대부-사-서인의 사회질서가 붕괴되는 사변혁기
세째, 제자백가의 이론이 터져나오는 백화제방
百花齊放의 시기 -정신노동의 상품화가 이루어지는 시기

■   배움과 벗-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
  人不知而不 不亦君子乎 ―「學而」
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어찌 기쁘지 않으랴,
먼곳에서 벗이 찾아오니 어찌 즐겁지 않으랴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하지 않으니  어찌 군자가 아니겠는가

학이시습지- 의 습이란 실천을 뜻함 (강의 p.144)
유붕자원방래-  붕이란 수평적인 인간관계의 출현을 뜻하며 신분제를 뛰어 넘은 교우를 상징함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엽지 않다 - 피고용자 신분에 대한 달관 (담론)
사회에 대한 모든 개념은 제도와 인간으로요약할 수 있슴(강의 p.145)
사회변화/제도의 핵심은 인간관계(강의 p.145)
자본제도의 핵심은 위계적인 노동분업, 생산자에 의한 지배 제제

인간관계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점을 정리하는 것

이것은 사회변혁의 문제를 장기적이고 본질적인 재편과정으로 접근하는 것
정치혁명, 경제혁명, 제도혁명같은 선형적인 방법론을 반성하고 불가역적 구조변혁의 과제를 진정으로 고민하는 것(
강의 p.145)

■ 옛것과 새로운 것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과거는 흘러가버릿것이고 추억의 시작이라는 것은 잘못된 관념(강의 p.148)
과거 현재 미래라는 개념은 사유의 차원에서 재구성한 것, 과거 현재 미래는 하나의 통일체(강의 p.149)
온고 溫故보다는 지신知新 에 무게를 두어 고를 딛고 신新으로 나아가는 뜻으로 읽어야 한다.
이 때 온을 온존
溫存으로만 익히지 말고 버릴것을 버리는 생환生還과 척결剔抉 두가지 모두를 의미
스승은 단지 과거지사를 전하는 것만이 아닌 비판적 창조자이어야 한다.

■ 그릇이 되지 말아야.

君子不器
기란 전문성을 뜻하며 이는 노동생산과 관련한 재본의 원리임.
우리는 지본주의 경제체제를 뛰어넘는 대안적 모색을 하고 있슴으로
이구절은 인간을 도구화 하는 신자유주의적 자본논리의 비인간적인 성격을 드러내는
구절로 읽는 것이 (강의 p.152) 오늘날이 맣는 독법


■부끄러움을 아는 사회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춘추전국시대는 법가에 의해 통일 됨
덕치는 평화로은 시대의 치세의 학이면
행정명령과 형별에 의한 규제는 난세의 학
집단타락증후군 - 법률위반에 대하여 재수가 없다거나, 타인의 경우 고소해 하는 마음이 그 증거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사회는지속적인 인간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사회이며
사회성 자체가 붕괴된 상태

■ 바탕이 아름다움입니다.
子夏問曰, 巧笑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子曰, 繪事後素. 曰禮後乎. 子曰, 起予者商也. 始可與言詩已矣.
란 인간적인 품성을 말함 (강의 p.157)
현대의 상품미학에서는 미의 내용은 의미가 없어지고 형식만 남게 됨
디자인과 패션이 미의 ㅂㄴ령이 되고 그 상품이 가지고 있는 유용성은 주목이 되지 않음(강의 p.159)

■ 공존과 평화
君子 和而不同 小人 同而不和 

■ 낯선 거리의 임자 없는 시체가 되지 마라
子曰德不孤必有隣 
백범선생의 신호불여심호에서 심이 개인으로서의 인간성과 품성의 의미(p.168) 라면
덕은 사람과 사람이 맺는 관계에 무게를 두는 것.
사람과 사업에 관한 이야기로써 읽을 수 있다.
운동론에서 "민중과의 접촉 국면을 확대하는 것, 그 과정을 민주적으로 이끌어 가는 것, 그리고 주민과의 정치 목적에 대한 합의를 모든 실천의 바탕으로 삼는 것, 덕불고 필요린의 원리(강의 p,.169)

신뢰를 얻지 못하면 나라가 서지 못한다.

■ 참된 지는 사람을 아는 것
 樊遲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인간'입니다. 그러한  인간을 아는 것이 지라는  대단히 근본적인 담론을 공자는 제기하고 있는 것이지요.(강의 p.174)

인식의 혼란을 가져오는 엄청난 정보의 야적은 단지 인식의 혼란에 그치지 않고 인간에 대한 이해와 앵정을 거추장스러운 것으로 폄하하게 할 뿐입니다. 더구나 자본주의 사회는 모든 사람이 '팔기 위해서' 진력하고 있는 사회입니다. 모든 것을 파는 사회이며 팔리지 않는 것은 가차없이 폐기되고 오로지 팔리는 것에만 몰두하는 사회입니다. 상품 가치와 자본 논리가 지배하는 사회입니다. 이러한 체제에서 추구하는 지식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는 한 점의 인연도 없습니다. 지는 지인이라는 의미를 칼같이 읽는다면 인간에 대한 이해가 엋는 사회는 무지한 사회입니다 무지막지한 사회일 것입니다.(강의. p.175)

■ 정직한 방법으로 얻은 부귀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자본주의는 근대사회의 침략과 수탈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를 합리화, 미화, 선망화 하는 역사의식과 사회식을 청산해야 함

■이론과 실천의 통일

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이때의 사
思는 사색의 의미가 아니고 실천의 의미로 읽어야 함
경험과 실천을 해야하며 경험과 실천은 현장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경험과 실천에서 가지기 쉬운 주관주의를 버려야 한다.
이는 학불위고라는 말을 새겨볼 때 알 수 있다.

■ 어리석음이 앎의 최고 형태입니다.

子曰, 甯武子, 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알고 있습니다.
子曰, 孟之反不伐, 奔而殿, 將入門, 策其馬曰, ‘非敢後也, 馬不進也.’

■ 마을의 좋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사람
子貢問曰 鄕人皆好之何如 子曰 未可也 鄕人皆惡之何如 子曰 未可也 不如鄕人之善者好之其不善者惡之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인용
중립이란 때로는 중립이 아니라 기회주의보다 더욱 교묘한 편당(P.191)

■ 광고카피의 약속 
​質勝文卽野 文勝質卽史 文質 彬彬然後君子
어쨌든 패션은 결국 '변화 그 자체'가 됩니다. 상품 문화와 상품미학의 본질이 거기에 있는 것이지요. 새로운 것에 대한 가치, 그리고 변화의 신선함이라는 메시지는 사실상 환영이고 착각이라고 해야 합니다. 우리가 상품 사회에서 도달 할 수 있는 미학과 예술성의 본질이 이러한 것이지요. 상품을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세포라고 합니다. 세포의 본질이 사회체제에 그다로 전이되고 구조화 되는 것이지요. 형식을 먼저 대면하고 내용은 결국 만나지 못하는 구조 속에 놓여 있는 것이지요. 
우리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도 이러합니다. 속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그저 거죽만을 스치면서 살아가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표면만을 상대하면서 살아가지요. 나는 자본주의의 인간관계를 '당구공과 당구공의 만남'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짧은 만남 그리고 한 점에서의 만남입니다. 만남이라고 하기 어려운 만남입니다. 부딪침 입니다.(강의 p.198)

■  학습과 놀이와 노동의 통일
子曰 : "知之者, 不如好之者 ; 好之者, 不如樂之者."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도 언급되어 있는 구절입니다. 지란 진리의 존재를 파악한 상태이고, 호가 그 진리를 아직 자기 것어로 삼지 못한 상태임에 비하여 낙은 그것을 완전히 터득하고 자기 것으로 삼아서 생활화하고 있는 경지로 풀이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상적인 교육은 놀이와 학습과 노동이 하나로 통일된 생활의 어떤 멋진 덩어리(일감)를 안겨주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 호, 낙의 차이를 규정하는 일이 아닙니다. 그 각각을 하나의 통합적 체계속에서 깨닫는 일이 중요합니다. 지를 대상에 대한 인식이라고 한다면 호는 대상과 주체간의 관계에 관한 이해입니다. 그에 비하여 낙은 대상과 주체가 혼연히 일체화 된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가 분석적인 것이라면 호는 주관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낙은 주체와 대상이 원융된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낙은 어떤 판단 형식이라기보다는 질서 그 차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체와 대상, 전체와 부분이 혼연한 일체를 이른 어떤 질서와 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는 역지사지하지 않고도 이해할 수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며, 호는 대상을 타자라는 비 대칭적 구조속에 가두는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지와 호를 지양한 곳에 낙이 있다고 생각하지요. 우리가 진행하고 있는 고전 강독의 관점에서 이를 규정한다면 '낙은 관계의 최고 형태"인 셈입니다. 그 낙의 경지에 이르러 비로소 어떤 터득이 가능하지요.(강의 p,199-200)

■ 산과 강은 오래된 친구입니다.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 知者動, 仁者靜. 知者樂, 仁者壽.
..인자는 한마디로 세상의 무궁한 관계망을 깨달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하여 지자는 개별적인 사물들 간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자는 최대한의 관계성을 지각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p.202)

■ 공자의 모습



공자와 논어의 세계가 어떤 것이라고 한마디로 단정하기 어렵습니다만 군자는 원래 궁하다는 신녕과 천둥 번개 속에서 묵묵히 앉아서 묵상하는 괭경은 우리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한마디로 공자의 인간학입니다. 인간에 대한 성찰이면서 인간의 존엄에 대한  고결한 자부심입니다. 


-----------------------------------

공자는 주나라를 그리워한 복고주의자, 노예제 옹호론자로 비판되기도 하지만

경험한 것 중에 나은 것을 택한다는 점에서 그를 그런 관점에서 비판하는 건 옳지 않습니다.
공자는 삼환이라고 불리는 소수 귀족가문의 국가권력을 독점에 반대하다가 망명생활을 시자하였다.

논어는 당시의 패도와 준별되는 왕도론을 담은 공자 말년의 유가담론

자공이 청치를 묻자 식食 ,병兵 ,신信이라고 하며, 이중 무신불립이라고 하며 신을 제일로 꼽음

인仁이란 근자열 원자래
관중은 식을 근본으로 삼았을것, 당시의 귀족(인)과 백성(민)이 똑같은 욕망과 정서를 담았을 것을 인정할 것 

공자를 읽으려면 그당시의 시제와 처지를 고려한 비판이어야 함

공자의 예치란  귀족과 중간계급이 도덕적 모범을 보여 백성(民)을 계도하는 것
그러나 사마천은 중간계급의 도덕적 계도라는 구상자체가 허구라고 봄
그러나 오늘날 각국의 정치구조는 예외없이 중간계급을 승인하는 대의제로 운영되어 이를 고민한
공자의 논어』가 장수하고 있다.(p.96)

『논어』는 사회 전환기에 분출하는 개방적 사유를 풍부하게 담고 있슴
삼엄한 위계질서 하에서 힘에 의한 지배와 혈연에 의한 계승, 그리고 이에 복종한다는 원칙이면 충분할뿐 통치철학이 필요하지 않음.

그러나 그러나 『논어』는 위계질서가 무너지고 사군자라는 제3의 계급이 등장하는  
혁명적 과도기에 필요한 안간관계에 대한 개방적 담론이 있는  인간관계의 보물창고
(강의)
유붕자원방래-  붕이란 수평적인 인간관계의 출현을 뜻하며 신분제를 뛰어 넘은 교우를 상징함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노엽지 않다 - 피고용자 신분에 대한 달관
학이시습지- 의 습이란 실천을 뜻함

고이노우에 야스시의 소설 『공자』에 나오는 공자의 일화
공자 일행이 진, 채 사이에서 며칠을 굶주려 일어날 기력도 없을 때였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조용히 금(琴)을 켜고 있는 공자에게 자로가 다가가 화난 듯 이야기합니다. “군자도 궁할 때가 있습니까?” 자로의 노여운 질문에 대한 공자의 답변은 의외로 조용하고 간단합니다. “군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君子固窮) “소인은 궁하면 흐트러지는 법이지.”(小人窮斯濫矣)(102p)


공자와 논어의 세계가 어떤 것이라고 한마디로 단정하기 어렵습니다만 군자는 원래 궁하다는 신녕과 천둥 번개 속에서 묵묵히 앉아서 묵상하는 괭경은 우리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한마디로 공자의 인간학입니다. 인간에 대한 성찰이면서 인간의 존엄에 대한  고결한 자부심입니다. 

..내인생의 책을 추천해 달라는 기자에게 
궁리 끝에 세 권을 준비했습니다. 논어, 자본론, 노자 였습니다. 『논어』는 인간에 대한 담론이고, 
자본론
자본주의 사회구조에 대한 이론이고, 
노자는 자연에 대한 최대 담론이라고 했습니다.
(강의)
이 두 책이 너무 이질적인 책이라고 의아해 하는 기자에게 이 두 책은 다같이 사ㅗ히관계를 중심에 놓고 있는 동질적인 책이다.
자본 제도의 핵심은 위계적인 노동분업에 있다. 
생산자에 대한 지배체제가 자본주의의 핵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