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3강] 매혹적인 북 스토리 3책, 스토리텔링을 만나다·책을 나의 이야기로 풀어가는 스토리텔링 기법 만나기·스토리텔링의 구조·스토리텔링으로 공감 이끌어내기 ·인간은 context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아이들에게 (책이라는) 좋은 text가 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황신웅(유텔링연구소장)5.31.(화)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3강j으로 유텔링 연구소 황신웅 소장님의 강의를 들었다.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교육분야에서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가 내용이었다. 강사는 경제학을 전공하다가 기업에서 일을 했고 연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에서 석사와 박사를 하던 중에 덴마크에서 스토리텔링에 관한 사서, 교사들의 워크샵을 들으면서 스토리텔링이 본인의 중심 주제로 삼게 되었다. ▶ 처음에는 왜 스토리텔링인가? 라는 질문을 던.. 2016. 5. 30.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2강] 책, 공동체를 꿈꾸다 5.26 2책, 공동체를 꿈꾸다·독서과정에 대한 성찰과 이해·다양한 독서·토론 기법의 이해·학교와 지역사회에서 독서·토론 동아리 구성하기 학교도서관에 대한 경험이 담긴 김정숙 선생님의 강의내용이 좋았습니다. 다만 장학관님의 강의, 김정숙 선생님도 북유럽도서관+혁신학교 등 세가지 주제를 하루에 강의에 들으니 좀 버겁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이정희(독서팀 장학관)김정숙(마곡중 교사)5.26.(목) 책, 공동체를 꿈꾸다 ·독서과정에 대한 성찰과 이해·다양한 독서·토론 기법의 이해·학교와 지역사회에서 독서·토론동아리 구성하기 ■ 이정희 (독서팀 장학관)▶책을 읽는 자세- 자녀를 위해서가 아닌 나를 위해서, 자기 반성, 실천이 있어야 한다.- 서구의 스트레스 수치 조사에서 가장 수치가 높은 항목은 배우자의 죽음이지만 우리의.. 2016. 5. 27.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1강 ] 우리아이 어떻게 책으로 키울까 1책, 나를 돌아보다·자녀와의 소통과 나 돌아보기·책 읽는 가정 문화 만들기·북 멘토의 역할과 비전 ·지식을 위한 독서가 아니라 삶을 위한 독서가 되어 야 한다는 말씀이 인상깊었고, · 독서교육서도 지향하는 바, 가치관을 정립이 가장 중요 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백화현(독서활동가)5.24.(화) 백화현 선생님 강의 연수 첫날, 비오는 날씨에 과정소개 등으로 선생님의 강의는 더 짧아졌다. 아홉번째 강의시간에 한번의 강의가 남아 있기에 독서교육을 하는 철학을 강조한 시간이었다.열정적인 강의를 옮길 수도 있지만 먼저 강의를 들으셨던 다른분들의 글을 링크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1] 책을 땅으로 여기며 그 속을 캐고 가꾸는 사람 – 「책으로 크는 아이들」, 「도란도란 책모임」 저자 백화현 선생님땡스북스 h.. 2016. 5. 26.
2016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계획& 평가 회과목명교수요목강사 일시1책, 나를 돌아보다·자녀와의 소통과 나 돌아보기·책 읽는 가정 문화 만들기·북 멘토의 역할과 비전 ·지식을 위한 독서가 아니라 삶을 위한 독서가 되어 야 한다는 말씀이 인상깊었고, · 독서교육서도 지향하는 바, 가치관을 정립이 가장 중요 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백화현(독서활동가)5.24.(화)2책, 공동체를 꿈꾸다·독서과정에 대한 성찰과 이해·다양한 독서·토론 기법의 이해·학교와 지역사회에서 독서·토론 동아리 구성하기 학교도서관에 대한 경험이 담긴 김정숙 선생님의 강의내용이 좋았습니다. 다만 장학관님의 강의, 김정숙 선생님도 북유럽도서관+혁신학교 등 세가지 주제를 하루에 강의에 들으니 좀 버겁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이정희(독서팀 장학관)김정숙(마곡중 교사)5.26.(목)3책, .. 2016.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