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의 양자역학과 불교 중도이론 놀랄만큼 닮았어요” 이론물리학 박사인 김 교수가 보는 불교의 매력은? “불교의 선법이 가장 마음에 들어요. 팔정도(석가모니가 말한 열반의 길)는 사람이 사는 법을 바르게 가르칩니다.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나? 이런 생각을 하면서 철학과 종교가 나왔어요. 4대 성인의 공통점은 바른 마음 갖고 바른 말을 하고 바르게 살아간 것이죠. 인의예지가 공통 가르침입니다. 불교는 여기에 생사의 문제와 우주운행의 원리까지 설명해요. 불교의 연기법은 정말 진리입니다. 상대성 이론이나 양자론, 진화론, 복잡계 이론, 정보 이론 등 현대 과학이론이 연기법에 바탕을 두고 있어요. 기독교는 이 모든 것의 원인이 신이라고 합니다. 그것도 좋아요. 훌륭한 신앙이죠. 하지만 저한테는 연기법이 진리입니다.” 김 교수의 최근 저술은 왜 불교가 아인슈타인이.. 2019. 10. 31. 반야심경 ■ 과학도 시스템이론과 같이 관계론적인 입장에서의 분석으로 돌아서기 시작함-. 잡아함335경 "業報는 있으나 作者는 없다" 에 대해 생각할수 있는 예: IMF 외환위기가 발생해서 나라가 거덜나게 됐는데도, 아무도 이에대해 직접적으로 책임을 지는 사람은 없다. 결국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내가 여기 이렇게 존재하기 위해서 우주가 이렇게 크고 오래될 필요가 있다'는 말이 섬뜩한 진리로 내게 다가온다. 한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가 그렇게 운 정도가 아니다. . 시스템이론(System Theory): 시스템이란 어떤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여러 구성인자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통합체 . 복잡계(complex system)과학: 비평형 상태에서 일어나는 비가역.. 2019. 10. 28. 무소유로는 행복해 질 수 없다 무소유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 - 바스나고다 라훌라 지음, 이나경 옮김/아이비북스 P. 289 그렇다면 행복을 가져오는 것은 무엇일까? 붓다는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때, 또 그 목표를 달성했을 때 행복이 생겨난다고 말했다. atthi sukha라는 개념은 바로 이 행복의 원천을 가리킨다. ≪앙굿타라 니카야(Anguttara Nikaya)≫에서 정의한대로라면 atthi sukha는 정당한 방법으로 물질적인 성공을 이루었을 때 생겨나는 기쁜 마음을 뜻한다. 좀 더 넓게 보면 정당한 방법으로 성취한 모든 성공이 행복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목표와 욕심은 어떻게 다를까?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면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욕심은 남의 행복을 무시하면서까지 자신의 감각.. 2019. 10. 2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