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 표현을 통해 본 한국인의 질병관
은유 표현을 통해 본 한국인의 질병관 출처 :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119242 한국문화연구 2016, vol.30, pp.133 - 161 발행기관 : 한국문화연구원 전혜영1 1이화여자대학교- 일상의 표현 속에 나타난 은유를 통하여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질병 관련 표현에 나타난 은유를 통해 한국인의 질병관을 밝히고자 함- 21세기 세종계획 , , 를 사용함으로써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의 자료를 검토 대상 - [질병은 물건], [질병은 인간], [질병은 마귀], [질병은 전쟁], [질병은 그릇], [질병은 식물], [질병은 유체] 등의 은유
2020. 6. 19.
033. 여성문학 5기 (1) 그림자 노동(2020.5.28)
◎ 이반 일리치◎ 인간과 삶의 복원을 염원한 혁명가 - 인간을 추상화, 사물화, 도구화시키는 현대 문명- 우상화된 모든 이념과 제도에 대한 가장 근원적인 비판자- 구체적 인간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들의 삶을 지금, 이곳에서 온전히 불태우는 삶을 살기를 바랬다. ① 에피메테우스적 인간상: 인간의 본성과 인격이 선하다는 것을 믿는 희망의 존재로 재물보다 인간을 사랑한다. ② 프로메테우스적 인간상: 기대하는 존재. 인간보다 재물을 사랑하고 제도 과학, 기계, 전자계산기, 컴퓨터에 의존함 ( 『학교 없는 사회』 마지막 7장) ◎ 이반 일리치의 일리치의 사상▶ 청빈과 무권력과 비폭력의 사상으로 인간에게 더욱 큰 활기와 기쁨을 주는 것이 목표 ▶ 현대사회에서는 존엄, 독립, 창조, 안전, 정치, 의사 교환 등의..
2020.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