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 교차하는 관점들 페미니즘 : 교차하는 관점들 - 로즈마리 퍼트넘 통.티나 페르난디스 보츠 지음, 김동진 옮김/학이시습 2020. 3. 17.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 친절하게 웃어주면 결혼까지 생각하는 남자들 - 박정훈 지음/내인생의책 2020. 3. 17. 농경의 배신 농경의 배신 - 제임스 C. 스콧 지음, 전경훈 옮김/책과함께 2020. 3. 17.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 - 홍승은 지음/동녘 2020. 3. 17. 부분적인 연결들 스트래선은 이제 머릿속에 있는 ‘전체’의 상을 버리고 각 부분들 간의 관계에 집중하자고 주장한다. 이로써 우리는 분단(分斷)에 의한 관계, 즉 명백히 연결되어 있는 자료를, 하나의 전체를 절단해서 얻는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절단은 새로운 전복적 사고로 우리를 이끈다. 부분적인 연결들 - 메릴린 스트래선 지음, 차은정 옮김/오월의봄 2020. 3. 17. 내 어머니의 모든 것 Todo Sobre Mi Madre , All About My Mother , 1999 간호사인 마뉴엘라(세실라 로스 분)는 문학을 좋아하는 아들 에스테반과 단둘이서 산다. 마뉴엘라의 생일을 맞이해서 에스테반은 엄마에게 연극 를 보여주는데, 연극이 마친 후 마뉴엘라는 에스테반에게 스탠리역을 했던 에스테반의 아빠와 이 연극을 공연했다는 이야기를 한다. 아빠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들은 에스테반은 아빠를 보고 싶어하는데. 마뉴엘라는 젊었을 때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라는 연극에서 스텔라 역을 연기했을 만큼 재능과 미모가 뛰어난 여자로 배우 생활을 하면서 만난 에스테반과 결혼을 한다. 생활이 어려워지자 남편인 에스테반이 프랑스로 돈을 벌러 떠난다. 2년이 지나 돌아온 에스테반을 본 마뉴엘라는 심한 갈등에 직면한다. 자신이 믿고 의지하던 남편의 몸에 여자의 가슴이 달려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 2020. 3. 17. 그녀에게 Hable Con Ella , Talk To Her , 2002 그녀에게 Hable Con Ella , Talk To Her , 2002http://www.sonyclassics.com/talktoher드라마 스페인 112분 2015 .12.31 재개봉, 2003 .04.18 개봉 [국내] 청소년 관람불가 [해외] R 도움말감독페드로 알모도바르출연하비에 카마라(베니뇨), 다리오 그란디네티(마르코)더보기 2020. 3. 17. 위대한 작은 농장 ◇위대한 작은 농장 The Biggest Little Farm (존 체스터 | 미국 | 2018 | 다큐멘터리 | 91분 | 전체관람가) 로스앤젤레스의 한 아파트에 살던 체스터 부부는 쉴 새 없이 짖는 반려견 ‘토드’ 때문에 이웃들로부터 쫓겨나게 되자 도시를 벗어나 자연과 조화롭게 농사를 지으며 살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그 땅에 살던 달팽이, 코요테는 열정 넘치는 인간들과 생각이 달랐다. 체스터 부부는 토양을 회복하는 것부터 야생동물의 공격이나 화재, 가뭄에 대처하며 고되고 험난하지만 유쾌한 8년의 시간을 보낸다. 영화는 작은 농장 안의 위대한 자연으로 안내하며 새로운 삶의 가능성과 고민을 공유한다. 출처 : 애니멀라이트(http://www.animalrights.kr) https://www.thebi.. 2020. 3. 17. 한 그루 나무를 심으면 천 개의 복이 온다 책 제목 '한 그루 나무를 심으면 천 개의 복이 온다'는 몽골의 오래된 속담을 차용했다. 이쯤 되면 나무를 심는 게 얼마나 큰 복을 짓는지 알겠다.저자는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분쟁과 테러, 빈곤, 인권 문제의 배후에도 기후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한다.아프리카 수단에서는 내전으로 2003년 한 해에 22만 명이 학살되고, 220만 명 난민이 발생했다. 수단 내전의 원인은 종교 분쟁이나 인종 문제가 아니었다. 80년대 이후 급속히 진행된 사막화와 물 부족, 초지와 경작지 감소가 원인이었다.책을 읽다 보면,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진짜 범인이 누구인지도 알게 된다. 한 그루 나무를 심으면 천 개의 복이 온다 - 오기출 지음/사우 2020. 3. 17. 현대사 몽타쥬 ▶ 현대사의 정설로 굳어진 역사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고, ▶ 새로 발굴된 사료와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세계현대사의 중요한 순간을 읽는다. ▶ 현대사의 사건을 +오늘의 세계 및 한국 사회의 문제와 연결지어, 역사 몽타주를 실험한다. 현대사 몽타주 - 이동기 지음/돌베개 컬럼이 연재되었던 한겨레21 의 주소http://h21.hani.co.kr/arti/COLUMN/213/ 2020. 3. 17. 시리아의 비가(悲歌) 들리지 않는 노래 다큐멘터리 〈시리아의 비가(悲歌) 들리지 않는 노래〉:시리아 혁명과 반혁명, 내전의 현실을 생생히 보여 주는 영화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9166 2020. 3. 17. 오늘날의 인류학 지형도: 레비-스트로스에서 '존재론의 인류학'까지 https://sarantoya12.tistory.com/m/74오늘날의 인류학 지형도레비-스트로스에서 ‘존재론의 인류학’까지 1. 계승되는 구조주의인류학은 ‘인간’이라는 종에 속하는 주체가 자신의 존재와 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재귀적인 지(知)의 실천법이다. 인류학자는 시간축을 통해 자신의 기원인 생명사와의 관계를 탐구하는 한편, 공간축을 통해 미지의 ‘타자’를 발견해낸다. 이 방법은 인간성의 이해를 목표로 하는 인문과학으로서 실로 모순과 긴장을 내재하는 질문을 포함한다. ............... 2020. 3. 4.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