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d의 엘피 해묵은 음반들. 너덜너덜 하거나 먼지를 뒤집어 쓰고 뻣뻣해진 마분지 껍데기들. 엘라 피츠제럴드. 조르주 무스따끼. 닐 영, 냇킹콜. 페티 페이지 시나위 뉴키즈 온더블록, 신해철, 보니엠, 엘리자베타 길렐스, 비발디, 마이클 잭슨. 고르지 않은 취향 그보다는 취향이 중단되기 전에 중단된 취향(p.84) 1) Ella fitzgerald all the things you are https://www.youtube.com/watch?v=OPapxr8GvGA 2) Nat King Cole https://www.youtube.com/watch?v=JFyuOEovTOE 3) Patti Page https://www.youtube.com/watch?v=tAL48apco8I 4) Michal Jackson - Huma.. 2020. 4. 9.
새벽독토 21기(1) 〈예순여섯 명의 한기씨〉 (‘20.4.11) 새벽독토 21기(1) 예순여섯 명의 한기씨 이만교 지음/문학동네 2009년 1월 20일, 부당한 재개발 보상 정책에 반발하던 용산4구역 철거민들을 무장한 경찰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화재로 6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있었다. 이 소설은 바로 그 ‘용산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사건의 한가운데로 ‘임한기’라는 가공의 인물을 들여보내면서 진행된다. 평범한 대학생이던 ‘한기씨’가 왜 재개발 철거 현장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존재를 잃어야 했는지, 그에 대해 회고하는 인터뷰이 66명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우리가 잊었거나 애써 잊고자 했던 ‘그날’의 진실을 파헤친다. ■2월 29 일 예정이었으나 2회 연기되어 오늘에서야 하게 되었다. 다 아는 사람이지만 간단하게 자기소개를 하고 시작하겠다. ㅎ ( 새삼스럽게 자기 소.. 2020. 4. 7.
흑석동의 역사2 Q1: 흑석동의 이름은 무슨 뜻일까? 검은돌 이라는 뜻일까? 그게 아니라 물이 감아든다는 뜻일까? "흑석동(黑石洞)의 동명은 흑석동제1동사무소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검은돌(黑石)」마을이라 하였다고 한데서 유래한다고 되어 있는데 근거는 무엇일까? Q2: 지금의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의 이름은 역사서에서 언제부터 발견할 수 있을까? 먼저 고전번역원이 운영하는 한국고전종합DB에서 "흑석리"라고 검색을 하면 두가지 결과가 눈에 띈다. 두가지 정도로 요약되는데 ①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면 흑석리 와 ② 흑석리계(黑石里契) 이다. DB에 있는 자료가 승정원일기, 조선왕조 실록 등이라 그런지 태조 이성계가 태어난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면 흑석리에 관한 기사가 제일 많다. ①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 2020. 4. 4.
서울역사박물관 온라인 전시 https://museum.seoul.go.kr/CHM_HOME/jsp/MM03/vr/117/index.html http://www.museum.seoul.kr/CHM_HOME/jsp/MM03/vr/104/index.html http://www.museum.seoul.kr/CHM_HOME/jsp/MM03/vr/83/index.html http://www.museum.seoul.kr/CHM_HOME/jsp/MM03/vr/62/index.html 2020. 4. 1.
<내 안의 역사> 전우용 지음/푸른역사 내 안의 역사 전우용 지음/푸른역사 3월 30일 (월) 12-79쪽 31일 (화) 80-157쪽 4월 1일(수) 158-225쪽 2일(목) 226-296쪽 3일(금) 297-358쪽 4일(토) 359-427쪽 ● 책머리에- 68혁명 이후 역사학에서는 보통사람의 일상에 관한 역사인 미시사, 일상사, 생활사가 출현.- 보통사람의 평범한 일상은 수백만 년에 걸친 인류 진화의 산물 - 역사를 보면 지금 내가 가진 욕망, 판단, 실천, 정체성의 기원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알게 된다.[1] 일차 ~72p.1부 개인- 몸 / 외모 / 한국 남성의 몸/ 기생충 / 이름 / 도장 2부 가족과 의식주- 사랑과 연애 / 현모양처론 / [1] 개인[1]- 1_몸에 대한 시선의 역사 ▶ 뚱뚱한 몸→ 유선형 몸 → 미국, .. 2020. 3. 30.
내안의 역사 오늘부터 함께 읽기를 시작합니다. 본문의 분량은 413쪽이고 5장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하루에 한 장씩 읽을까 했는데 살펴 보니 1장은 좀 적고 2장의 분량이 너무 많네요. 그래서 하루에 약 60-70쪽을 읽는 걸로 나누었습니다. 3월 30일 (월) 12-79쪽 31일 (화) 80-157쪽 4월 1일(수) 158-225쪽 2일(목) 226-296쪽 3일(금) 297-358쪽 4일(토) 359-427쪽 함께 하실 분들, 밴드에 댓글로 신청해 주세요 2020. 3. 30.
<벌새> 토론 기록 영화 에 대한 토론을 시작한다. 지난번에는 카톡문자채팅을 이용했었는데 - 이번에는 카톡단체톡을 하면서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해서 해보려 한다. Q: 먼저 참자자 분들은 1994년 당시에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궁금하다.▶ 나는 이 영화와 비슷한 상황이었다. 고1이었는데 아침에 등교하니 학교에서 선생님이 성수대교가 무너졌다고 하시고 TV를 틀어보라고 했다. ▶ 나는 중3 이었다. 비슷하다. ▶ 나는 출근길의 만원버스 안이었다. 강옆인 동작구 주민으로서 출근길에 다리를 건너지 않았다. ▶ 나는 대학원생으로서 강남에 살았고 강북의 학교와 집을 오가느라 성수대교를 많이 이용했었다. 사고난 날과 다음날 가족, 지인들의 전화를 많이 받았다. ▶ 이 영화를 극장에서 봤었는데, 상영 후 있었던 GV에서 감독이 말.. 2020. 3. 29.
lego mini 2020. 3. 24.
2019년11월호, 월간불교문화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15|무아(無我) (3)__홍창성 쓸모 있는 개념적 허구(useful conceptual fiction)로서의 나https://www.kbpf.org/166380/%ed%98%84%eb%8c%80%ec%a0%81%ec%9c%bc%eb%a1%9c-%ec%9d%b4%ed%95%b4%ed%95%98%eb%8a%94-%eb%b6%93%eb%8b%a4%ec%9d%98-%ea%b0%80%eb%a5%b4%ec%b9%a8-15%ef%bd%9c%eb%ac%b4%ec%95%84%e7%84%a1%e6%88%91-3__/ 마음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 또는 본질을 가진 의식 상태로존재하지는 않지만 연기에 의해 끊임없이 생멸하는 현상으로 존재한다.마음의 존재 여부는 철학의 난제 가운데 하나인데, 현대 서양 심리철학이풀지 못한 이 문제를 불교의 연기와 공의 관.. 2020. 3. 24.
육식의 성정치(요약) 1부 고기의 가부장제 텍스트들1장 육식의 성정치2장 동물 성폭행, 여성 도살3장 은폐된 폭력, 침묵의 목소리4장 말이 살이 되어 2부 제우스의 복부에서 ★ 4일차 5장 해체된 텍스트들, 분해된 동물들6장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창조한 채식주의자 괴물★5일차 7장 페미니즘, 1차 대전, 현재의 채식주의 3부 쌀을 먹는 것이 여성을 믿는 것[6]★6일차 pp.274 - 3128장 채식주의 신체에 관한 왜곡 ★ [7] 7일차 313 - 3579장 페미니즘-채식주의 비판 이론을 위하여★ [8] 8일차 25일(수) 358쪽 - 391쪽에필로그 - 가부장제의 소비문화 뒤흔들기★ 26일(목) 13쪽 - 53쪽까지 (20주년 기념판 서문)20주년 기념판 서문10주년 기념판 서문초판 서문넬리 맥케이가 쓴 서문 ― 페미니스트.. 2020. 3. 18.
맨프롬어스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8690 2020. 3. 17.
1947 현재의 탄생 1947 현재의 탄생 - 엘리사베트 오스브링크 지음, 김수민 옮김/웅진지식하우스 2020.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