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기緣起(2) 초기 경전에는 ‘무상無常’이라는 말이 수없이 많이 나온다. 그런데 눈길을 끄는 것은 어떤 이론적인 설명도 없이 불쑥 나온다는 점이다. 초기 경전에서는 무상의 이유나 근거를 파고드는 일이 없다. 무상은 차분한 마음으로 자신과 주위를 둘러보면 누구나 공감할 수밖에 없는, 그래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는 우리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다음의 이야기를 들어 보라. 부처님 당시 인도 코살라국의 수도 사위성에 크리샤 가우타미라는 여인이 살고 있었다. 그녀는 결혼해서 좀처럼 아기를 갖지 못하다가 겨우 아들 하나를 얻었다. 아들에 대한 그녀의 사랑은 정상을 벗어나 지나칠 정도였다. 그런데 그 아들이 걸음마를 떼고 한창 재롱을 부리던 나이에 그만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화에 대한 어떤 생각도 없이, 이것이.. 2020. 8. 24.
연기緣起(1) 세상의 모든 것은 예외 없이 모두 바람 소리와 같이 연기한 것이다. 나 자신도 연기한 것이요, 기쁨과 슬픔도, 태어남과 죽음도 모두 연기한 것이다. 물질적・정신적인 무엇 가운데 연기하지 않은 것은 하나도 없다. 뭔가가 연기했다는 것은 조건(인연)이 갖추어졌기에 생겨났다는 것이며, 그 조건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만 존재할 뿐이라는 것을 동시에 의미한다. “모든 것은 조건이 갖추어졌기에 생겨난 것이며, 그 조건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만 존재할 뿐”이라는 구절은 골수에 새겨 되씹고 되씹어서 내 몸과 마음은 물론이고, 세상의 모든 것이 이 구절처럼 보이고 느껴지도록 사무쳐야 한다.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946 당신의 세상을 바꾸고 .. 2020. 8. 24.
불교의 해탈, 열반은 부작용 없는 행복입니다 - 부작용 없는 행복? 무슨 뜻이죠? “아편을 맞으면 편하지만, 부작용이 있습니다. 세속의 욕망을 추구하는 것도 부작용 있는 행복입니다. 잠을 깨기 위해 커피를 마시면, 잠은 깨겠지만 부작용이 남겠지요. 불교의 해탈, 열반은 부작용 없는 행복입니다. 보살과 아라한, 선사들은 부작용 없는 삶을 살았습니다. 중생들은 속으로 다 골병이 들었습니다. 부작용 없는 행복한 삶, 이것이 인류의 자산이 아니고 뭐겠어요.” 2020. 8. 24.
공空 (9) 고의 원인= 오류를 야기하는 말이나 개념 그 차체 먼저 번뇌와 고의 근본 원인인 희론에 대해 알아보자. 희론(戱論, prapañca)이란 ‘말(언어)에 의한 대상의 개념화와 그에 대한 집착’ 또는 ‘그러한 오류를 야기하는 말이나 개념 그 자체’를 가리킨다.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311 [불교를 만나다] 공空(9) 공과 화두 - 불광미디어 | 희론, 번뇌의 근본 원인 ‘나와 남’ 이외에도 우리는 무수한 이원대립의 틀을 가지고 있다. ‘유有와 무無’ ‘생과 멸’ ‘좋음과 싫음’ ‘선과 악’ ‘동지와 적’ ‘득과 실’ www.bulkwang.co.kr 2020. 8. 24.
공空 (8)- 언어는 거울이 아닌 요술쟁이 이처럼 언어는 본래부터 있던 것을 그대로 나타내는 거울이 아니다. 오히려 그 언어대로 보이게 하는 요술쟁이다. 따라서 언어가 보여 주는 그대로를 진실이라고 믿고 집착하면 큰 오류를 범한다. 원래부터 꽃인 꽃은 없다. 꽃으로 부를 때에만 그것은 꽃이 된다. “짜증난다”라고 할 때에만 그것은 짜증나는 일이 되고, “가난하다”라고 할 때에만 당신은 가난한 사람이 된다. ‘부자다’ ‘가난한 사람이다’, 이 두 말에서 동시에 해방되어 보라. ‘길다’ ‘짧다’, 이 두 말에서 한꺼번에 해방되어 보라. ‘나다’ ‘너다’, 이 두 말로부터도. 말에 주저앉으면 자유가 묶인다. 화두 들고 좌선하는 선禪 수행의 과정은 모든 언어로부터 해방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https://www.bulkwang.co.kr/news/.. 2020. 8. 24.
순야따(결여)가 공(~이 비어있다로 번역됨) ‘공空’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 원어는 순야śūnya 또는 순야따śūnyatā로, ‘무언가가 결여되어 있는 상태’를 뜻한다. 이에 대한 한자 번역어인 공空의 의미는 ‘비었다’이다. 이 방이 텅 비었다고 하면, 이 방에 사람이나 기물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무언가가 결여되어 있다는 인도 원어의 의미를 ‘공’이라는 한자로 의역한 것이다. 그럼, 무엇이 결여되어 있다는 말인가? 바로 자성(自性, svabhāva)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공’은 모든 사물에 자성이 없다는 것, 즉 무자성無自性을 표현하기 위한 말이다. 출처 : 불광미디어(http://www.bulkwang.co.kr) 2020. 8. 24.
[백진순] 유식학파에서 요가의 의미와 목적 우리는 상응의 도를 연마하는 요가행자에게서 불교의 교법, 즉 방편의 언어들을 다루는 노련한 장인의 솜씨를 발견할 수 있다. 이들에게 성인의 교법은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진실한 가르침이므로 그 자체로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방편이기 때문에 언젠가 버려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지관 요가는 바로 그 두 가지 진실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일종의 ‘말에 의지해서 말을 버리는’ 수행법이다. 요가행자들은 이름과 그 의미의 본성에 대한 통찰, 즉 ‘모든 말의 의미는 오직 관념적 산물(=영상)’이라는 언어철학적 통찰을 시종일관 밀고나감으로써, 교법에 대한 명상을 결국 모든 교법의 언어 자체와 그에 의해 알려지는 의미의 세계를 모두 해체하고 제거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만들었다. 봉사와 헌신이라는 보살의.. 2020. 8. 24.
2번째시간 2020. 8. 20.
북큐레이션 동아리 (1) 2020.08.06 문래정보문화도서관에서 하는 북큐레이션 동아리 첫번째시간이었습니다. 코로나19때문에 온라인 강의로 할 줄 알고 신청했었지만, 개강직전에 부분개관이 가능해져서 오프라인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0여명의 참가자들이 간단히 자기소개를 한 후에는, 짝을 대화를 나눈후 대화를 나눈 짝궁을 소개했습니다. 책을 중심으로 얘기해서 그런지 진지하고 차분한 했어요. 읽었던 책인데도, 다른 사람이 소개해주니까, 새롭게 느껴지는 점이 신기했습니다. 읽는 사람에 따라 다 다른 책이 되는 것 같습니다. [1] 자기소개(2분씩) 좋아하는 분야 요사이 책과 관련해서 하는 일들 여행에세이 작년에 동화읽고 요리하는프로그램 참가 철학, 과학 한나 아렌트의 책들 강신주의 책들을 읽고 있다. 심리, 인간관계 특색있는 작은 서점을 좋아해요~~ 심리.. 2020. 8. 11.
엘레나 페란테의 키워드 Introduction 세계적인 히트 - 사회, 문화, 정치적 변동의 시기에 국가, 발전, 혁명, 페미니즘에 대한 countermelody - 1) 새로운 방식으로 여성의 정체성을 만들어 냄 2) 남성에 의해 주조되어 온 여성간의 차이, 역사적, 외적, 생물학적 타자성을 여성의 입장에서 다시 서술 * 여성간의 우정, 어머니-딸의 관계, 모성(틀이자, 우리가 됨), - 50~70년대 사회 변동이 일어나면서 여성의 지위의 변동, 구조적인 불평등, - genio는 남자에게만 쓰는 말, '문제적' 성격인 두 여자 주인공, - 생존자로서의 목소리를 내며, 현실과, 자신의 머리속의 식민화 된 부분에 저항함 -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 자체가 생존자가 되는 것 1장 - 내러티브 전략 1. 엘사 모란테와 전략이 일치.. 2020. 8. 4.
temp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7. 31.
Five skandhas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