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과 수학 http://www.hankookilbo.com/m/v/a8d2a9854a4549ce94eec760b1fae4a9 2016. 7. 11.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 디라이브러리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1102N015 2016. 7. 8.
어린이 토론학교 시리즈 http://www.aladin.co.kr/shop/common/wseriesitem.aspx?SRID=103148 어린이 토론학교 : 환경 김지은.소이언 지음, 김현영 그림, 초등토론교육연구회 검토.추천, 김주환 감수 어린이 토론학교 : 돈과 경제 김지은.권이은.주정현 지음, 김민준 그림, 초등토론교육연구회 검토.추천, 김주환 감수 / 우리학교 어린이 토론학교 : 과학과 기술 김지은.임일화 지음, 김현영 그림, 초등토론교육연구회 검토.추천, 김주환 감수 / 우리학교 어린이 토론학교 : 학교와 가족 권이은.주정현 지음, 김민준 그림, 초등토론교육연구회 검토.추천, 김주환 감수 / 우리학교 어린이 토론학교 : 도덕과 생활 김지은.권이은 지음, 이다 그림, 초등토론교육연구회 검토.추천, 김주환 감수 / 우리학교 2016. 7. 4.
신준환 교수님 인터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1/10/2015011001097.html 2016. 6. 28.
명문데 나오면 뭐해, 절반이 백수인데 http://media.daum.net/society/all/newsview?newsid=20160625154253843 2016. 6. 27.
휴식과 수동성의 중요성 학습과는 좀 동떨어진 이야기 같지만 맥이 통할 것 같은 얘기가 있어요,.글쓰기 책에서 본건데요 글쓰기를 할때,1. 일단 '자료모으기'들 하래요. 이때 새로 자료를 조사하는 '외부 모으기'도 하고 자신의 기억속에서 관련된 경험,감각,지식 등의 찾아보는 '내부 모으기'도하라고 합니다. 아, 쓸게 없어..라고 생각해보지만 찬찬히 모아보면 참 많은 것이 있다고 합니다.2.그리고는 쓰라고 했고요.3. 그다음 재미있는 제안을 하는데요, 쓴 글을 한쪽으로 밀어 놓고, 개를 데리고 산책을 하거나 조깅을 하거나 잠자리에 누워보래요. 그렇게 하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그 글과 관련한 쓸만한 생각과 통찰이 떠오르는 것을 알 수 있대요. 그때의 생각은 열심히 한다고 계속 붙잡고 있을 때는 나오지 않던 종류의 생각이라고 합니다... 2016. 6. 26.
Reading Champion 챔피언(Read ing Champ ion)file:///C:/Users/asus/Downloads/ED2011-177-6.pdf 2016. 6. 25.
책, 공동체를 꿈꾸다[한국일보 기획기사] http://www.hankookilbo.com/isl.aspx?c=222&cn=%EC%B1%85%2c+%EA%B3%B5%EB%8F%99%EC%B2%B4%EB%A5%BC+%EA%BF%88%EA%BE%B8%EB%8B%A4 2016. 6. 19.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7강] 창의적 의사소통으로서의 독서토론 7책, 토론으로 나누다2-성장소설과 서울형토론모형·성장소설의 이해와 독서 방법-김중미, ·서울형토론모형의 이해와 실습 10강을 통틀어 가장 좋은 강의였습니다. 학생에 대한 선생님의 사랑이 느껴졌고·아이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책읽기, 국어수업의 모델을 보아서 기뻤습니다.·짝끼리의 대화를 통해서 토론 논제를 만들어내는 서울형토론모형도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느꼈습니다.김영찬(광성중 교사)6.14.(화) 일리노이 대학의라펠교수가 주창한 QAR( 질문- 대답-관계 모형) 질문- 대답- 관계 글과 관련하여 질문하기 나의 관점에서 질문하기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 내용을 평가, 논평 하는 질문 내용을 분석하는 질문 삶에 적용하는 질문 2016. 6. 16.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6강] 유쾌한 책모임 토론방법 6책, 토론으로 나누다1-그림책과 자유토론·그림책의 이해와 독서 방법-개인 그림책·자유토론 실습 ·토론 실습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이경근(책읽는사회문화재단)6.09.(목) 1.하이파이브(반갑습니다.)2.진행자와 기록자를 정합니다.3. 가지고 온 기림책을 1분씩 소개 4.토론할 책을 정하고 그림책을 읽어줍니다. 5.전체적인 소감을 한마디씩 말합니다. 6.토론할 질문1을 골라서 토론합니다. 7.질문2를 만들고 토론합니다. 8.질문3을 만들고 끝냅니다. 9.,허그 2016. 6. 16.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5강] 성북동기행 5책, 마을을 품다·인문학 특강 – ‘성북동 문학의 길을 걷다’(백석, 한용운, 김광섭, 김용준, 이태준 등)·책과 마을이 만나는 마을 인문학 기행 ·유성호 교수님의 유머러스하면서도 심도 깊은 강의가 인상깊었습니다.·방안의 독서에서 벗어나 독서과 공간과 역사와 어떻게 결합하는 실제 모델을 체험했습니다.나중에 아이들과 활동할때도 쓸 수 있겠지요.유성호(한양대 교수)남궁원(구암고 수석교사)6.07.(화) 성북동이라는 공간의 의미-성문밖이므로 서민들의 거주지임 -마전, 피륙을 취급하던 서민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함 -한양을 벗어난 공간, 한양과 거리를 두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공간 -그러나 한양에 자주 드나들어야 하는 사람의 공간 -낮은 산과 계곡, 하천의 수려함 1.이종석 별장 높은 장대석과 누마루(주인의 위세가.. 2016. 6. 16.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5강] 성북동 유성호 한양대 교수백석은 누구인가?-1936년에 시집 '사슴'을 출간, 근대와 전근대의 치열한 길항 유년기의 풍경과 습속에 대한 충실한 재현 방언을 통한 반근대적 방법론 그러나 유랑생활을 하면서 겪은 경험들을 유장한 산문시혀에 실어 쓴 후기 시편들이 문학사의 정점에 기록됨 -3인칭 타자에 타자에 대한 연민, 성찰, 투명한 슬픔이 백석시세계의 특징 -후대에 끼친 영향 1.근대적인 것에 대한 반성적 전거 , 시각 보다는 후각 미각에 치우친 사물인식방법 2.가난의 시적 기표를 통해 소외된 이들에 대한 따뜻한 연민을 보인 현실이해 방식. 3. 운명 또는 생의 형식에 대한 중후한 성찰의 태도와 특유의 산문시형백석의 어법이나 세계관을 계승함을 잘 계승한 후배시인은 1. 정지용(백록파?)- 자연을 노래한 것 2. 윤.. 2016.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