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책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싶은 사람은 그림책 카페 '노란우산'으로 작성자 한기호 http://blog.naver.com/khhan21/220722605649 2016. 6. 2.
남자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책 초등 3/4학년 한 시간에 백 마일을 달리는 개 l 작은 책마을 37제레미 스트롱 (지은이) | 닉 샤렛 (그림) | 고정아 (옮긴이) | 웅진주니어 | 2003-12-30 | 원제 The Hundred-Mile-an-Hour-Dog (1996년) 초등 고학년/중학생에라곤 - 상 - 크리스토퍼 파올리니 지음, 정영목 옮김/청미래 에라곤 - 하 - 크리스토퍼 파올리니 지음, 정영목 옮김/청미래 2016. 6. 1.
영국의 독서교육- 독전경험, 개별화, 자율적 선택 영국의 독서 교육 - 김은하 지음/대교출판 http://www.morningreading.org/article/2009/09/30/200909301256101412.html .... 아이들은 책의 문자보다 오감으로 접하는 생활세계의 경험들에 더 큰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책을 읽고 나서 독후활동에 힘을 기울이지만 영국은 독후활동 못지않게 독전활동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아이들을 책의 세계로 인도하는 다양한 방식을 고안해내는 거지요. 그래서 경험이 먼저 오고 책은 나중에 옵니다. 작가가 살았던 장소로 수학여행을 가는 문학 투어도, 작가를 만나 소설을 쓴 단초를 묻는 저자와의 만남도 모두 아이들의 오감을 통해 책으로 안내하는 방법입니다. ...후자는 아이의 개별성이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전.. 2016. 6. 1.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2016 [3강] 매혹적인 북 스토리 3책, 스토리텔링을 만나다·책을 나의 이야기로 풀어가는 스토리텔링 기법 만나기·스토리텔링의 구조·스토리텔링으로 공감 이끌어내기 ·인간은 context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아이들에게 (책이라는) 좋은 text가 왜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황신웅(유텔링연구소장)5.31.(화) 학부모 보늬샘 양성연수 3강j으로 유텔링 연구소 황신웅 소장님의 강의를 들었다.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교육분야에서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가가 내용이었다. 강사는 경제학을 전공하다가 기업에서 일을 했고 연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에서 석사와 박사를 하던 중에 덴마크에서 스토리텔링에 관한 사서, 교사들의 워크샵을 들으면서 스토리텔링이 본인의 중심 주제로 삼게 되었다. ▶ 처음에는 왜 스토리텔링인가? 라는 질문을 던.. 2016. 5. 30.
이호철의 갈래별 글쓰기 교육 이호철의 갈래별 글쓰기 교육 - 이호철 지음/보리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05-29T21:09:480.31010 2016. 5. 30.
침묵으로 가르치기 침묵으로 가르치기 - 도널드 L. 핀켈 지음, 문희경 옮김/다산초당(다산북스) 우리가 무엇인가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교사의 수업 속에서 깨달음을 얻은 경우보단 자신이 스스로 고민하고 찾아서 무언가를 하는 과정 속에서 깨달음을 얻은 경우가 더 많다는 확신에서 이 책은 시작하고 있다. 교사가 침묵할수록 학생들의 배움은 커진다. 단지 그 침묵은 교사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 스스로 무언가를 하게 할 계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 책에서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교사, 교수들뿐만이 아니라, 어떻게 배울까를 고민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http://booksreview.tisto.. 2016. 5. 29.
중2병의 비밀 - 초등4~중3 학부모와 교사를 위한 `요즘 사춘기` 설명서 일본의 한 라디오 방송에서 개그스럽게 말해져 시작된 중2병은 우리나라에서는 중학교 2학년 또래의 청소년들이 자아형성 과정에서 겪는 혼란과 불만, 일탈행위 등을 일컫는다. 일본에서 병은 우스개로 만들어져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정말로 아이들이 심각한 질병에 걸려 있고, 치료를 해야만 하는 것이라는 암시와 같이 쓰여지고 있는 것 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아이들이 이렇게 행동하는 원인은 외로움 때문이라고 한다. 부모세대는 너희는 어느 때보다도 풍족한 사회에 살고 있으니 그럴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하지만 이것은 사람이 언제 행복한가?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아이들이 이러는 이유는 가족이라는 울타리에서 친구로 관계를 넓혀가는 시기인데 초핵가족에다가 마음을 나눌 상대가 없기 때문이다. 타인이 판단하는 나에 대한 개념이.. 2016. 5. 28.
공부가 뭐라고 - 현직 고3 교사가 전하는 공부 잘하는 비결 그렇다. 저자는 사교육 하나 없이 아들을 서울대의대에 보냈다. 아니 그렇다기 보다는 아들이 서울대 의대에 갔다고 하는 편이 맞겠다. 그리고 다수의 제자들도 빼곡히 진학성적이 매주 좋았다. 게다가 진학 후에는 오히려 더 공부하고 더 활동하며 더 발전했다. 그 이유는 아이들이 공부의 원리,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 자기주도 학습의 중요성이 담긴 핵심을 실천했기 때문이다. 저자도 38살까지 12년동안 재수생을 가르칠 때는 잘 몰랐었다고 말한다.자 그럼 아래내용이 저자가 깨닫고 학원을 그만두고 학교로 온 이유이며책에서 스토리텔링으로 세번쯤마지막에는 노골적으로 세번쯤 반복한 공부 잘하는데 필요한 핵심비법 이다. 공부는 학생이 한다.공부는 눈으로 한다.예습과 수업집중과 복습이 충분하여야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생.. 2016. 5. 28.
책선택의 자율권을 줘야 메타인지능력이 향상됨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나갈 때 우리가 흔히 간과하고 마는 게 있다. 책 읽기는 언제 시작되는가? 책을 손에 들고 책장을 여는 순간부터인가? 아니다. 책을 고르는 순간부터이다. 책을 읽는 것과 읽을 책을 고르는 것을 분리시킴으로써 책 읽기에서 선택의 기회를 경험하지 못할 때, 우리는 왜 ‘책을 읽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심대한 의미있는 답 하나를 놓치고 만다. 김은하가 전하는 대로, 정보탐색능력에 대한 전문가의 연구에 따르면, 책의 선택권을 많이 가졌던 학생들은 그렇지 못했던 학생들에 비해 정보를 훨씬 빨리 찾을 뿐 아니라, 훨씬 더 효율적인 찾기 전략을 쓰고 정확도가 더 놓은 정보를 찾아낸다. 그리고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도 끈기를 가지고 기꺼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 2016. 5. 28.
남자아이들을 위한 독서 지도 해법 독서교육 전문가 김은하씨는 남자아이들을 위한 독서 지도 해법으로 △남자아이가 선호할 만한 책 고르기 △독서 후 설명할 때 명확하고 구체적이고 시각적일 것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남성 역할모델 제시해주기 등을 조언합니다. 남아들은 자기가 원하는 이미지와 역할모델을 찾을 수 있는 남성이 주인공인 책, 동일한 등장인물과 비슷한 이야기 전개 방식으로 익숙하고 독해하기 편한 시리즈물, 유머나 엉뚱함, 말썽이 들어가 있는 이야기책, 감정보다는 행위 묘사에 초점을 둔 책, 시각적 요소가 곁들여진 책 등을 선호한다 2016. 5. 28.
자유학기제, 어떻게 보낼까- [1강] 독후활동, 좀 더 재미있게 할 수는 없을까? 생각 정리 공부법 - 김민영.정지연.권선영 지음/(주)학교도서관저널 어제 마포구 서교동에 있는 창비 서울사옥 지하2층 50주년 기념홀에서 열린 " 독후활동, 좀 더 재미있게 할 수는 없을까?" 강좌에 참석하여습니다. 이 강좌는 “[학교도서관저널x책씨앗 특별강좌] 자유학기제, 어떻게 보낼까?” 라는 주제로 마련된 세개의 강좌중, 첫번째 강좌로 생각정리 공부법의 저자이신 김민영, 정지연, 권선영 선생님께서 강의해 주셨습니다. 저는 현재, 책을 읽은 후 인터넷서점 게시판에 글을 쓰고 , 블로그를 만들어 책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습니다. 인터넷서점에서 하는 독후감쓰기 대회에 참가해서 상금을 타보겠다는 의도로 시작된 것이지요. 그렇게 시작된 서평쓰기였지만 서평을 쓰게되니, 책내용을 더 오래, 더 잘 기억하게 되.. 2016. 5. 28.
자유학기제, 어떻게 보낼까- [3강] 처음 시작하는 독서동아리 - 자유학기제부터 동네 책모임까지 독서교육 전문가 김은하가 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쉽게 독서동아리를 운영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책이다. 독서동아리를 꾸려보고 싶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 독서동아리의 이론부터 실전까지 상세하게 담아냈다. ▶ 독서동아리란 무엇인지, 어떻게 사람을 모으고 운영해야 하는지, 독서동아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설명한 다음 ▶ 실제로 독서동아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지와 양식을 수록해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처음 시작하는 독서동아리 - 김은하 지음/(주)학교도서관저널 문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더라도, 선택한 책의 작품성이 좀 떨어지더라도, 심도 깊은 질문과 논제가 충분히 도출되지 않았고, 토론이 매끄럽지 않다 해도 독서동아리를 즐겁게 할 수 있습.. 2016.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