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친밀한 폭력 [1]별점과 책읽은 소감 (1) 별점 - 5점~3.5점까지(2)소감1. 이 책은 한국사회에 만연한 '아내 폭력'을 공론화 시켰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2001년 또 하나의 문화에서 처음 출간되었을 때 읽었다. 미혼이었던 그때 책 내용을 추상적으로 느껴졌다면 결혼을 하고 딸을 둔 지금은 몸으로 와 닿았다라고 표현할 수 있겠다.. 2.그동안 여성주의라는 주제를 만나면 "인권"이 더 우선적으로 실현되어야 하는 가치라고 생각했다.그러나 이책을 읽고 생각을 좀 달리하게 되었다. (세상의 반을 이루는) 여성의 문제가 이렇게 숨겨져 있다는 것에 놀랐다. 논문으로 쓰여진 글이라 그런지 사용된 언어가 어렵다는 느낌은 아쉽다.3. 어렵게 쓰여졌다는데 동의 한다. 해당주제를 대중에 널리 알리고 싶다면 좀더 읽기 쉽게.. 2017. 3. 20. 동물농장 토론후기 저는 이 책 을 작년에서야 처음 읽었고, 이번에 두번째 읽었습니다. 미국에서 이 책이 반공서적으로 널리 읽혔으며, 그런 미국의 지원을 받아, 그때 당시 갓 정부를 수립한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을 영어가 아닌 언어로 번역했다는데도요. 교과서를 얼마나 잘 외우는지를 기준으로 대학에 입학하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에 대한 기초교양이 없어도 대학을 졸업 할수 있기 때문에 이책을 읽지 않고 지금까지 있을 수 있었던 거겠지요?삼십년전에 읽었어야 할 책을 이제야 읽으면서 아, 그럼 메이저는 마르크스, 나폴레옹은 스탈린 , 복서는 프롤레타리아 노동자, 스퀼러는 공산당기관지 프라우다..풍차는 경제개발5개년계획인거구나......국어참고서를 읽둣이 실제 사건과 소설속 내용을 대조를 해가며 읽었습니다.책을 읽으면서 든.. 2017. 3. 10. 아주 친밀한 폭력 정희진 특유의 날선 관찰, 집요한 질문, 부단한 성찰 서문▲1장 ‘아내 폭력’ 가부장제의 축도 ▲2장 당사자 : 연구자, 피해자, 운동가로서 나 ▲3장 여성의 눈으로 보는 ‘아내 폭력’ ▲4장 폭력 남편이 인식하는 아내 폭력 ▲5장 폭력을 수용하는 아내의 심리 ▲6장 아내 정체성과 가족 정치학 ▲7장 가족 중심 관점에서 여성 인권 관점으로. 서문- ‘성 역할의 비대칭성’과 폭력 가부장제에서는 성역할을 가정한다 문제의 원인은남성의 성역할과 인권은 일치하지만 여성의 경우 성역할과 인간으로서의 권리가 일치하지 않아 생긴다. 여성은 성역할인 '도리'와 본인의 '인권'사이에서 갈등한다.(서문) 개인적 고통을 역사적 산물로 인식하고 고통이 언어화 될때만이 위로를 받을 수 있기에 저자는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서문.. 2017. 3. 9. 음성녹음 https://drive.google.com/file/d/0Bw-0_HN93cX-Tmk3ZVVDclVBZVU/view?usp=sharing 2017. 3. 6. <펌>[朴承用]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Animal Farm) http://nkd.or.kr/community/free/view/1144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24627 2017. 2. 28. 해법논술 커리큘럼 http://www.baccal.co.kr/sherpamiddle/middleCurriculum01.aspx 2017. 2. 28. 청소년독서회 http://jdlib.sen.go.kr/club.do?boardId=JD_E31&boardType_cd=Y&menuLv1=000000000005036&menuLv2=000000000009255&menuLv3= 2017. 2. 28. 나무를 심은 사람 한글: http://kltsim.tistory.com/369불어 http://blog.naver.com/laurence94/130045853671영어는 구글 번역기Quand on se souvenait que tout était sorti des mains et de l'âme de cet homme - sans moyens techniques - on comprenait que les hommes pourraient être aussi efficaces que Dieu dans d'autres domaines que la destruction. When it was remembered that everything had gone out of the man's hands and soul - without.. 2017. 2. 23. 보늬샘독서동아리42016.2.20 -손바닥헌법책 📍독서 동아리활동모임 4📍 🔹날짜: 2017,2/20(월) 🔸시간: am10:00~12:00🔼장소: 서울독서교육지원본부 2층' 세미나2실' 📚도서: '손바닥 헌법책' ▶ 오늘 총 5명이 모여 손바닥 헌법책을 읽었습니다.▶ 10시에 모인 4명이 다른 분들을 기다리며 여러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어느덧 11시가 다 되었고▶손바닥 헌법책을 막 읽기 시작한 무렵 한분이 더 오셔서 뱅글뱅글 돌아가면서 읽으니 12시 30분쯤 책을 다 읽었습니다.▶ 일정분량을 읽고 나서 간간히 떠오르는 바 말씀을 나누기도 했고나중에는 끝나는 시간을 고려해서 낭독에 더 집중했습니다.(아쉬움이 있었습니다.) 다 읽고 나서 소감을 나눴습니다. 소감■ 이 책을 청소년과 읽으면 가정에서 부모에게, 선생님에게, 학교에서 자신의 권리를 침해당한 .. 2017. 2. 21. 빵과 장미 빵과 장미 - 캐서린 패터슨 지음, 우달임 옮김/문학동네 2017. 1. 16. 보늬샘독서동아리3 2016.1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독서 동아리활동모임 4📍 🔹날짜: 2017,1/20(월) 🔸시간: am10:00~12:00🔼장소: 서울독서교육지원본부 📚도서: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매월 세째주 월요일 10시 이번은 세번째 모임이지요. 10시쯤부터 시작해서 10시 45분쯤 오늘 책에 대해 토론이 시작되기까지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나누었고 저로서는 이 말씀 중에도 기억하고 싶은 이야기가 여러군데 있었습니다. [1] 첫번째 논제로 독서에 대한 각자의 경험을 나누었습니다. - 나에게 독서는 대학시절이후 인생의 map, 또는 안내자guide였다. 연애 등으로 혼란하던 대학시절 읽었던 여성학 책이 그런 guide의 처음이었다.그러나 최근 책을 많이 읽는다지만 자기성찰이나 자기 개선이 없다면 무의미하거나 오히려 독이 아닐까 하는 생각.. 2017. 1. 15. 비혼에 대한 사회적, 개인적 고찰과 해법 그것은 저출산 문제를 해소할뿐더러 비혼을 선택한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사회적 해법 이민으로 외국인들을 받아들이고, 사회보장의 단위를 가족이 아닌 개인으로 설정하며, 결혼 밖에서 일어나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차별을 없애면 된다. 개인적 해법 사회적 자본- ex신뢰할 수 있는 인간관계. 2017. 1. 15. 이전 1 ··· 76 77 78 79 80 81 82 ··· 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