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홀 에 대해 토론을 하고 나서 홀을 처음 읽었을 때는 동화책을 읽는 것처럼 주인공 오기가 말해주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내용을 이해앴어요. 1. 오기는 좀 나쁜거 같지만 그래도 불쌍하다 2.아내는 못난이이고. 3. 장모는 독한데가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어요.그런데 두번째 읽을 때는 오기를 "일찌감치 속물이 된 남자"로서 "성공을 위해 우연과 술수를 활용"하고 "도덕적 해이마저도 심각한 수준"인 사람(p.182)이라 생각하며 읽으니 모든 서울이 오기의 변명으로 읽히면서 1. 오기에게는 에라이, 나쁜 놈아, 2. 아내는 불쌍해., 3. 장모는 에휴, 그럴만 하다로 바뀌었죠.논제위원은 세번 이상 읽어야 한다고 해서 세번째 읽을 때는, 오기의 어린시절, 장모의 어린시절, 아내의 어린시절을 염두에 두고 읽었어요. 1. 오기는 어머니의 자살을.. 2017. 1. 12.
중학수학플랜B 플랜 A 더 이상 사교육 중심의 수학공부시대 플랜 B는 자기주도학습을 의미함 저자 특강을 들은 후의 나의 이해: 개념은 (원래) 문제 해결을 위해 생겨난 것이므로 수학문제를 보았을 때, 필요한 개념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1단계- 일단 용어를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그래야 글로 써 있는 문제를 이해 할 수 있다.)2단계- 알고 있는 개념중 어떤 것을 가지고 올 것인지를 결정 함.3단계- 1,2단계를 타탕으로 절차를 설정4단계- 3단계의 절차에 따라 숫자 계산 등을 실행 1,2,3 이 사고 과정으로서 수학공부의 핵심이고4번째 단계는 자동적인 과정임 우리는 2,3단계를 건너 띄는 경향이 있슴 EX) 5L 용기와 3L로 4L 만들기의 경우 1L 구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 핵심 2017. 1. 6.
청소년 독자 개발, 책 생태계가 함께 할 일 1. 한국의 청소년은 어떻게 읽는가? ▶ 습관적 독자, /간헐적 독자, / 비독자( 중학생의 54%, 고등학생의 78%가 비독자나 간헐적 독자) (독서운동가인 책과교육연구소 김은하 대표)3. 간헐적 독자와 비독자를 위한 책•난독증을 가진 아이들(전체의 5%, 33만명)을 위한 책•구어적 표현이 많은 단편집과 챕터북•이야기의 예측가능성이 높고 동일시할 수 있는 캐릭터를 가진 시리즈물•읽기 수준이 낮은 아이들을 위한 하이-로(High lnterest Low Readability) 책 연령대는 맞지만 난이도가 쉬운 책 연령이 같으면 관심사나 흥미, 사고 수준이 엇비슷할 확률이 높지만 읽기 수준은 일반적으로 천차만별 이런 개념을 한국 출판사들도 도입하거나 추천도서목록 작성해야 ■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책 •추리,.. 2016. 12. 27.
책읽어주는 남자 자유논제1.책 읽은 소감 독일 제3제국시의 이야기와 그 후의 죄과에 관한 이야기를 한여자와 한 소년의 사랑이야기로 풀어 냈다는 것이 놀라왔다.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중간에 읽다가 그때의 역사를 찾아 읽고, 여기에 등장하는 것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찾은 후 정독했다. 사랑 얘기로도, 또 국가의 과거의 죄에 대한 이야기로도 훌륳한 작품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만일 이것이 같은 주제이지만 에세이형식으로 쓰였다면 이렇게 몰입하지는 못했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어서 이성뿐 아니라 감정, 감성을 동원하고,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 시켜 추체험하게 하는 이 문학의 힘임이 강력함을 느꼈다.2.가장 인상 깊은 장면180p 전후세대가 부모세대가 저지른 죄에 대하여 반응하는 방식이 여러가지라는 것을 서술한 부분이 분석이 .. 2016. 12. 12.
금강경 법륜스님의 금강경 강의 - 법륜 지음/정토출판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12-04T10:59:510.310102002년부터 1000회가 넘는 방식의 대중강연을 통해 남녀노소와 종교·이념을 뛰어 넘은 국민의 멘토로 활동하고 있다. 이 즉문즉설 해답의 기준은 바로 이었다. 용성진종 조사의 한글본을 사용 의미가 용성진종 조사는 3?1운동 당시 만해 한용운 스님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으로 참가하는 등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 평생을 바친 분으로 한국 불교의 지성화, 대중화, 생활화를 원으로 삼아 구한말 삼장역회三藏譯會를 설립해 등 30여 편의 경전을 한글로 번역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15세기 세조 때 언해본이 있었다고는 하나 근대에 금강경을 한글로 번역한 사람은 용성진종.. 2016. 12. 4.
‘죽은 이의 차가운 손을 꼭 잡아줘라. 그 사람이 죽기 전, 마지막까지 기다린 사람이 우리일 수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210100&artid=201310182157575 미국의 연쇄살인범들이 나타났던 시기도 신자유주의의 영향이 있습니다. 정부가 축소되고 자유경쟁에 맡기자는 정책으로 경제발전을 했지만 그 이면에 엄청난 대가가 있었고, 그게 연쇄살인이에요. 제가 800명의 범죄자들을 만나본 결과 엄청난 분노가 있어요. 사회적으로 배제되었고, 노력해도 잉여인간이라는 생각을 하는 거죠. 사실 이건 인류 전체가 겪고 있는 현상이에요. 하지만 그들은 이 문제를 왜곡된 형태로 내면화한 사람들이에요. 그래서 사람을 시기합니다. 빼앗고 파괴하는 것으로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하려는 거죠. 범죄자들에게 ‘왜 죽였어’라고 물으면 이렇게 대답해요... 2016. 12. 4.
믜리도 괴리도 업시 믜리도 괴리도 업시 - 성석제 지음/문학동네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12-04T09:55:000.31010 2016. 12. 4.
페르세폴리스 페르세폴리스 1 - 마르잔 사트라피 지음, 김대중 옮김/새만화책 샤 정권과 이슬람 혁명, 모든 것을 황폐화시킨 이라크 전쟁까지, 격정적인 시기에 진보적 지식인 가정에서 자란 사트라피. 억압된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모순을 경험하고, 개인의 눈이 아닌 사회의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는 미국의 대표적인 만화 상 하비 상과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이 수여하는 알프-아르 상을 수상했다. 1979년 이란에서 친미 독재정권을 이슬람과 좌파세력이 무너트리고 혁명정부를 만들었다. http://sosohaninfo.tistory.com2016-12-04T07:59:070.31010 2016. 12. 4.
반지성주의를 말하다 이러한 현상의 기저에는 사회, 경제적 모순과 그로 인한 박탈감을 소수자와 약자에 대한 원한과 분노로 너무나 손쉽게 치환하는 반지성주의적인 사고와 선동이 있다. 마찬가지로 반지성주의적 정치권력은 이를 적극적으로 권력의 자원으로 동원하거나 활용한다. 이 책은 반지성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지성의 본래적 작용, 즉 회의하고 질문하고 우리 안의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러 있는 힘을 강조한다.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이들의 멈추지 않는 열정에 사회 전체가 휘둘리지 않기 위해, 또 누군가의 이해관계에 이용되지 않기 위해, 다시 지성이란 무엇인가를 물어야 할 때다. 반지성주의를 말하다 - 우치다 다쓰루 지음, 김경원 옮김/이마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12-04T07:52:30.. 2016. 12. 4.
마음읽기-부록 성격검사 마음 읽기 - 황상민 지음/넥서스BOOKS 마음을 탐지하는 다양한 성격 검사들 1. MBTI -심리적 특성 파악 - 외향/내향 - 감각/통찰 - 사고/감정 - 판단/ 직관2.DISC -월리엄 몰턴 마스턴 개인의 행동스타일/행동방식 파악 사람-과제 빠름-느림 주도형, 사교형, 안전형 신중형 3.외향성, 신경증, 친화력, 개방성, 성실성의 5가지 특성 자기평가 유형 타인평가 유형 (자기성향, 이미지) (개인이 타인과 사회적 맥락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특성) 자신의 가치, 라이프스타일 반영)현실형 관계 감성형 신뢰 사교형 매뉴얼 이상형 자아 과제형 컬쳐 2016. 11. 29.
아랍민중들의 이야기 http://hulog.co.kr/223- 1001이란 끝없이 이어진다는 뜻. - 1001일 밤 동안 이야기를 들려준 터라 천일야화 속 이야기는 무려 280여 편, - 원조는 6세기경 페르시아에서 만들어진 《헤저르 아프선(천의 이야기)》이다. 이 책이 8세기에 아랍어로 번역됐고 그 후 바그다드, 카이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추가되고 다듬어진 끝에 지금의 《천일야화》가 만들어 짐 - 이야기의 배경은 사산왕조로 이것도 바로 사산조 페르시아 제국을 아라비안나이트가 아니라 ‘페르시안 나이트’인 셈-스토리텔링 기술(나갈리)은 이란에서 예술의 한 장르로 여겨질 정도로 역사가 깊다. 천일야화 1 - 앙투안 갈랑 엮음, 임호경 옮김/열린책들 http://booksreview.tistory.com2016-11-26T14:.. 2016. 11. 26.
인생 따위, 엿이나 먹어라 - 당신의 말에 따르면 ‘태어나보니 지옥’인데 왜 계속 살아야 하나. “간단하다. 태어났으니 살아야 한다. 모처럼 생명을 갖고 세상에 왔으니 전부 보고 죽는 게 좋지 않은가. 단, 처음부터 기대는 하지 말아야 한다. ‘아무리 비참한 일이 일어나도 즐겨 주겠어’라는 정신이 필요하다. 책에도 썼지만 절체절명(絶體絶命)·고립무원(孤立無援)·사면초가(四面楚歌) 등의 궁지에 삶의 핵심이 숨어 있다. 그 안에서 몸부림치는 자신을 한 발 떨어져 바라볼 수 있는 것. 그것이 자립한 인간이다.” 끊임없이 이성적으로 치열하게 고뇌하고, 부조리한 현실과 투쟁하여 나만의 삶을 쟁취하자는 것 '어차피 죽을 몸인데, 왜 그렇게까지 겁을 내고 위축되고 주저해야 하는가'라고 반문 [출처: 중앙일보] [책 속으로] 세상은 지옥 … 그.. 2016.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