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권 특권 - 셰이머스 라만 칸 지음, 강예은 옮김/후마니타스 "특권이라뇨? 능력이죠!"는 어딘가 낯이 익다. 위장하는 특권, 숨는 가난 앞에서 우리는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할까. 노력으로 얻은 능력은 자신이 누리는 모든 것들에 대한 설득력 있는 근거가 된다. 이들의 의식 속에서 특권은 뒤로 숨는다. 전면에 나와 있는 것은 능력이다. 가난도 특권도 이제 눈에 보이지 않는다.“왜 누구는 이런 학교에 들어오는 게 당연한데, 누구는 죽도록 노력해 성취해야 하는 일이 되는가? 왜 어떤 애들은 학교생활이 너무 편하고 쉬운데, 어떤 애들에겐 악전고투해야 하는 일이 될까? 왜 이런 엘리트 학교의 대다수는 여전히 부잣집 애들인가? 이들은 어떻게 기존의 특권을 그대로 수호하면서도 타고난 재능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그 자리까지 오.. 2019. 12. 10. a refusal to be living material subject to another’s authorial control. Lila’s silence, which parallels Ferrante’s own desire to be unknown, constitutes a refusal to be living material subject to another’s authorial control. It is her way of taking over her own narration. The Blue Fairy. Its plot is not described, but the title alludes to the magical fairy of Pinocchio, a classic Pygmalion-themed story about art’s power to invent identity. Lila effectively dissolves.. 2019. 12. 8. 무형의 삶이야 보지도 못하고 말하지도 못하는 삶, 말하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하는 삶, 숨기는 것도 없고 어떠한 틀에 제한도 받지 않는 삶은 무형의 삶이야 2019. 12. 8. blue fairy - 피노키오의 푸른요정인 듯 파시즘은 피노키오를 어떻게 이용했나 등록 :2017-01-15 0 1880년대 초 어린이 잡지에 연재통일 뒤 자유주의 시대 상황 반영한 작품. 과도한 교훈·교육 강조하기보다 삶의 다양성 드러내는 데 방점을 둠 산업사회에서 나타난 부패·빈곤이 드러남 그러나 파시즘은 ‘비판’ 넘어 입맛에 맞게 윤색했고 게으름과 배고픔 맞세우는 노동규범, 가족애 등 중산층 윤리 강조하기도 인형극단(조직범죄)이나 여우와 고양이(강도·사기)는 지은이가 당대 사회의 그늘에도 결코 눈감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장치로 받아들여진다.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78730.html#csidx78526b4145d789b8a52b13a26613f17 피노키오의 모험 - 로베르토 인노첸티 그.. 2019. 12. 7. 엘사 모란테 역사La Storia 에 나타난 역사적 기억과 폭력 김 효 정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이탈리아어문학 제29집 pp. 123~160 * 세 번째 장편, 『역사(La Storia)』에서는 2차 세계대전과 그 후의 2년 동안의 시기에 로마의 하층 민 거리에 사는 한 가족의 현실에 대한 고통스러운 대응과 구원에 대한 유토피아적인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다 - 역사가 출간되던 1970년대 이탈리아는 문단에서나 정치에서나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 이미 60년대 말부터 대두되었던 경제의 위기는 더욱 고조된다. 원인은 다양하다. 유가의 상승으로 인해 국제 통화체계가 위기를 맞았고, 국내 자본이 외국으로 유출되었으며, 정치적인상확은 더욱 불확실해졌다.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소련의 침공에 대해 이탈리아 공산당이 자신의 .. 2019. 12. 7. 페란테:이제, 승리와 패배라는 개념을 지울 때입니다 이제, 승리와 패배라는 개념을 지울 때입니다. 오랜시간이 걸려서야, 승리와 패배를 구분하는것이 잔인하면서도 자의적이라는 것을 것을 알게 되었다 https://www.theguardian.com/lifeandstyle/2018/jun/16/elena-ferrante-eliminate-concepts-failing-winning-losing 나는 사람을 승자와 패자로 나누고 싶지 않다. 또는 그렇게 나눈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승자를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자. 제일 먼저 그건 '돈'일인데 - 돈은 다시 말한다면 '비싼 물건' 혹은 자신의 우월함을 드러내는 증표로서의 '취향'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할 것이다. 권력을 발휘하는 것, 위계의 꼭대기에 있다는 것을 드러낼 수 있는 수단.. 2019. 12. 7. In a rare interview, Elena Ferrante describes the writing process behind the Neapolitan novels A. 어렸을 때 글을 쓸 때 힘이 들었는데, 이 작품은 쓸 때 힘들지 않았다. 작품을 구상을 해서 일년정도 썼을 때, 출판사와 이야기를 했고 그때 여러권으로 내기로 결정했다. 1권을 내고 독자들이 읽고 있을 때 2권을 쓰는 식으로 냈다. 미리 구상을 하지는 않았고 세부적인 내용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 설정만 하고 썼다.A. 나폴리가 뉴욕, 파리와 같은 도시보다 더 폭력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나폴리가 그런 것이 마스크(가림)이 없이 더 적나라하게 드러날 뿐이다.A. 릴라와 레누가 겪는 일은 할리우드 미투를 하는 잘 배우고 잘 사는 여자들이 겪는 일과 다르지 않다.A. 릴라와 레누가 겪는 비극은 특별하지는 않다. 인생에서, 소설에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타인의 고통을 인지하게 된다. 우리는 누군가를 사.. 2019. 12. 5.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 여성혐오란 여성을 숭배하거나 멸시하는 행위 양쪽 다를 포함한다- 타자화 ▶ 남성혐오가 가능한 조건(p.7) ① 여성에 대한 성차별이 없어야 한다, ② 여성동성사회가 있어야 한다. ③ 남성을 성적대상으로 타자화 하는 문화가 지배적이어야 한다. → 이런 상황이 아니므로 '한남'이라는 말은 대항발화임▶ 페미니스트란 무엇이 옳은지를 질문하는 사람▶1990년대 여성에 대한 폭력문제가 이슈 1995년 베이징 4차 여성대회 2000년 여성면이 다루는 넓어짐 2010년 부터 여성면이 사라지면서- 데이트강간, 검사들의 성접대, 낙태죄 등장 2013년 페미니즘 부각되기 시작 2015년 페미니스트 선언 1장 나는 내가 누구인지 말하지 않기로 했다■ 눈을 마주치고 난 후 http://www.cine21.com/news/v.. 2019. 12. 2. 아이들의 계급투쟁 아이들의 계급투쟁 - 브래디 미카코 지음, 노수경 옮김/사계절 보육의 최전선에서 글로벌 규모로 진행되는 격차와 분리의 실태를 돋을새김한 논픽션이다. 무거운 현실을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유머 섞인 필치도 상쾌하다. P. 26~38 계급 분리, 접점이 없는 평행우주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유아 교육 현장에서는 계급 분리가 진행되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는 사라지지 않았다. ‘유나이티드’여야 할 ‘킹덤’에서 인종이 아니라 계급을 기준으로 이와 같은 분리가 일어나고 있다.…… 중산층 부모를 둔 아이는 하층 계급 아이보다 놀라울 정도로 풍부한 어휘를 구사했으며, 숫자도 셀 줄 알았다. 무엇보다 나를 놀라게 한 것은 그런 겉으로 보이는 학습 능력이 아니라 아이들의 손끝이 야무지다는 점이었다. 유아기의 뇌 발달은 손가락의.. 2019. 11. 29. 신경과학과 신자유주의 신경과학이 우리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 힐러리 로즈.스티븐 로즈 지음, 김동광 옮김/이상북스 P. 182 개인의 뇌에 초점을 맞추는 신경과학의 방법론은 집단보다는 개인에게 관심을 갖고, 자기 의존 및 성공에 대한 열망과 의지를 강조하는 공공정책의 기조와 함께 신자유주의에 부합한다.신자유주의 경제에서 정신 자본의 저장고로서의 뇌(뇌를 가진 아이가 아닌)가 자원으로 간주되며, 부모는 그들의 뉴런과 뇌 가소성이라는 마술로 자녀를 빈곤에서 구해 내도록 요구받는다. 종종 잘못 이해되거나 지나치게 외삽된 신경과학적 통찰이 조기개입 프로젝트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남용된다. 접기 2019. 11. 29. 정리하는 뇌 정리하는 뇌 -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와이즈베리 51 경제가 글로벌화 된다는 것은 우리가 우리 할아버지 세대는 모르고 살았던 막대한 양의 정보에 노출된다는 의미다...우리의 뇌는 굶주리기라도 한 듯 이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 애초부터 그렇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주의력이라는 자원이 들어가고 그 자원은 한정돼 있다. P. 156 스탠퍼드대학의 신경과학자 러스 폴드락은 멀티태스킹을 하는 동안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면 정보가 뇌의 엉뚱한 부분으로 간다는 것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TV를 보게 하면 학교공부에서 얻은 정보가 선조체로 간다. 이곳은 사실과 개념이 아니라 새로운 과정과 기술을 저장하도록 특화된 뇌 영역이다. TV 때문에 정신이 .. 2019. 11. 29. 사회적 공감 사회적 공감은 세상을 보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사회적 공감은 타인의 입장에 서야한다. 외모가 다르고, 주변에 살지 않고,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들의 입장에 서야 한다. 카메라에 비유하면 이렇다. 클로즈업렌즈를 통해 세상을 보는 것은 개인적 공감이고, 광각 렌즈로 세상을 보는것은 사회적 공감이다. 2019. 11. 29.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