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vadhyaya The person practising svadhyaya reads his own book of life, at the same time that he writes and revises it. There is a change in his outlook on life. He starts to realize that all creation is meant for bhakti (adoration) rather than for bhoga (enjoyment), that all creation is divine, that there is divinity within himself and that the energy which moves him is the same that moves the entire unive.. 2019. 11. 29.
새벽독토 19기(4)〈다시, 책으로〉 (‘19.11.30) 새벽독토 19기 (4) (‘19.11.30) 〈다시, 책으로〉 (매리언 울프/어크로스) Reader, Come Home (2018) 읽기와 뇌의 상관관계에 대한 빛나는 통찰을 보여주는 디지털 시대를 현명하게 건너갈 독자들을 위한 희망적인 안내서 전작 《책 읽는 뇌》에서 “인류는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고 단언하며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매리언 울프가 다시 한번 우리의 ‘읽는 뇌(reading brain)’에 대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오늘날 기술이 읽기에 미치는 영향과 인류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깊이 살펴본다. 저자는 우리가 인류의 가장 기적적인 발명품인 읽기(독서), 그중에서도 특히 ‘깊이 읽기’ 능력을 영영 잃어버릴지도 모른다고 하면서 이런 비판적 사고와 반성, 공감과 이해, 개.. 2019. 11. 26.
새벽독토 20기(3)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다시는 그전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 권김현영 지음/휴머니스트 페미니즘의 목표는 권력을 남성으로부터 ‘탈환’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권력에서 폭력을 제거하고 권력의 의미를 바꾸는 데 있다. 그리고 내 생각에 페미니스트는 답이 없는 두 선택지에서 억지로 답을 고르는 게 아니라 선택지를 늘리거나 질문 자체를 바꾸는 사람이다. (5쪽) - 알마!나는 대항발화로서 한남이라는 단어는 효과와 당위 모든 면에서 실패라고 생각한다. 행위를 중심으로 혐오표현을 만들면 그 행위를 규제하는 효과가 생기지만, 해당 집단의 정체성 자체를 멸시하여 지칭하면 반동만 강해진다. (6쪽) - 알마!자기 자신으로 사는 걸 포기한 적이 없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단호함이 있었다. (21쪽) - 모든 운동과 이념이 특권을 성찰하지 .. 2019. 11. 19.
새벽독토 20기(2) 다크호스-성공의 표준 공식을 깨는 비범한 승자들의 원칙 다크호스 - 토드 로즈.오기 오가스 지음, 정미나 옮김/21세기북스 다크호스형 사고방식 4 - 미시적 동기 깨닫기, - 선택 분간하기, - 전략 알기, 목적지를 무시하기 ‘개인성을 활용해 충족감을 추구하면서 우수성을 획득’하려는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의미 있고 보람찬 삶을 지금, 살고 있다. ○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상황을 선택했고, 충족감을 주는 활동에 몰입해 학습력, 발전력, 수행력이 최대화된 덕분에 자신의 일에서 우수성을 키우기에 가장 효과적인 환경을 확보 현대 개인화 시대에 잘 들어맞을 만한 성공- ‘개개인성’이 정말로 중요하다 평균의 허상:평균이란 개념이 만들어진 역사를 개괄사람의 개성과 재능이 과거의 표준화된 평균보다 높은 능력을 추구하는 우월성 교육으로는 참값을 평가하기 어렵다 교육과 .. 2019. 11. 19.
새벽독토 20기(1)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20.1.4) 새해가 되었고 새토 20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새로 오신 분도 있으니 다들 자기 소개를 하면 좋겠다. ▶ 사실 나는 저녁형 인간인데 새토 덕분에 아침에 토론을 나오고 있다. 올 한 해 빠지지 않고 참석하고 싶다 ▶ 내가 고르지 않을 책을 읽게 되어 좋다. 꾸준히 참여하려 한다. ▶ 여러 번의 시도 끝에 드디어 등록에 성공했다. 참여하게 되어 매우, 퍽, 참 기쁘다. 새벽독토 20기(1)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하인리히 뵐 지음, 김연수 옮김/민음사 1972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하인리히 뵐의 소설. 개인을 파멸로 이끄는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들, 정치적인 목적으로 이뤄지는 정보의 왜곡과 날조, 이를 통한 여론의 조작과 선동'을 일삼는 '황색 언론'에 의해 처참하게 유린당한 한 개인의 명예에 관한.. 2019. 11. 19.
책임에 대하여에 언급된 사건들 ◆ 현재 한국과 일본의 샌프란시스코 체제 수혜자, 기득권 세력은 한일 관계의 복원을 외치며한국정부는 무능하고, 아베정부 유능하다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 이 책은 일본 우경화 지표적 사건과 좌파의 한계와 전도된 논리를 다루고 있다. ◆ 전쟁피해보상 청구에 관한 일본 정부의 태도변화◆ p. 265 서경식 교수가 판단하는 현재 일본의 현황 - 배타적내셔널리즘, 근린국가에 대한 적개심, 소수자에 대한 차별의식, 무책임한 자기중심주의- 정당, 노동조합, 시민운동, 학생운동, 지식인, 매스미디어,- 모든 저항거점이 붕괴하거나 썩어버렸다. 언급된 사건들( 시간별) ◆ 1890 교육칙어 1890년 메이지 일왕이 국민에게 내리는 가르침 형식으로 배포된 칙어로, 아이들을 자유로운 개인이 아닌 일왕의 충성스러운 .. 2019. 11. 15.
새벽독토 19기(3) 〈책임에 대하여〉 (‘19.11.16) 새벽독토 19기(3) (‘19.11.16)〈책임에 대하여〉 (서경식,다카하시 데쓰야/돌베개) 『책임에 대하여』는 한일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인 식민주의와 전체주의, 보편주의로 위장한 평화주의 등 일본의 본성을 섬세하고 논쟁적으로 짚는다. 과거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말소하려는 일본의 무단과 강변을 꿰뚫고, 한국과 일본의 바람직한 대화와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폭력과 착취의 역사를 인식하고 사과하는 노력을 지속하는 것만이 책임의 본디 뜻이라는 사실을 거부하는 일본을 넘어서기 위해 우리는 이 책을 읽어야 한다.“나는 이 책에서 일본 국민 다수에 내재한 ‘식민주의적 심성’과 싸우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향후 다가올 시대는 약육강식의 정글이며 다음의 전쟁일 것이다. 그 위기를 앞에 두고 우리에게는 각별한 각.. 2019. 11. 12.
Corinthians 13:1-3 13 If I speak in the tongues[a] of men or of angels, but do not have love, I am only a resounding gong or a clanging cymbal. 2 If I have the gift of prophecy and can fathom all mysteries and all knowledge, and if I have a faith that can move mountains, but do not have love, I am nothing. 3 If I give all I possess to the poor and give over my body to hardship that I may boast,[b] but do not have .. 2019. 11. 12.
텍스트와 컨텍스트 텍스트는 컨텍스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영어사전에서 'context를 찾아보면 '맥락, 문맥, (전후)상황'이라고 풀이해 놓았는데요. 이 풀이로는 충분하지 않아서인지 보통 외래어 그대로 '컨텍스트'라고 씁니다. 글을 중심으로 놓고 보면 문맥, 행간 등을 의미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쓰이는 '컨텍스트'라는 용어는 이보다는 훨씬 광범위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컨텍스트를 사전적 의미보다 더 넓게 보면 어떤 문제, 작품, 사물, 문장 등 어떤 것이 처한 환경이나 그 배경이 되는 요소들간의 관계까지 포함합니다. 만일 ‘A’라는 비즈니스의 컨텍스트’라고 하면 그 비즈니스가 놓인 환경이나 목적, 계획 등을 포괄합니다.그럼 이해를 돕기 위해 컨텍스트를 '맥락'이라고 번역해 놓고 ’맥락'이란 무얼 말하는지 살펴보.. 2019. 11. 9.
시적정의 시적 정의 - 마사 누스바움 지음, 박용준 옮김/궁리 나의 중심 주제는 나 자신이 될 수도 있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 중 한 사람이 될 수도 있는 (주어진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타인의 삶을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에 해당한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길, 문학과 예술은 역사보다 ˝더 철학적˝이다. 왜냐하면 역사는 단순히 ˝일어난 일들˝을 보여주는 반면, 문예 작품은 인간 삶에서 “일어날 법한 일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 대부분의 역사적 글과는 달리, 문학 작품은 일반적으로 독자로 하여금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의 입장에 서게 하고, 또 그들의 경험과 마주하게 한다. 문학 작품은 가상의 독자들에게 이야기를 건네는 고유한 방식 속에서 작품 속 인물들과 독자 자신이 최.. 2019. 11. 7.
무아사상의 현대적 의미 무아사상의 현대적 의미 -자기중심적 사고 근원 밝혀주는 중요한 통찰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947초기불교 특징은 ‘무아’ 표방 나는 관념일 뿐 실체는 없어 무아사상의 바탕은 오온설 바른 삶 영위하는 지혜 제공초기불교의 사상 가운데 가장 큰 특징은 무아(無我)를 표방하는 데 있다. 무아란 욕망이나 행위의 주체로서 ‘나’라고 내세울 만한 것이 실체적으로 없다는 말이다. ‘나’라고 하는 것은 관념일 뿐이고, 실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요컨대 무아사상은 붓다의 깊은 수행체험에 근거한 위대한 가르침이자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다. 무아사상은 현대사회의 부패구조나 인간소외 등의 사회적 문제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이처럼 ‘나’.. 2019. 11. 1.
탈코르셋 탈코르셋 : 도래한 상상 - 이민경 지음/한겨레출판 1. 여자에서 사람으로: “남자들은 아무도 꾸미고 다니지 않아요”- 기본값에 대해 의문을 품음, 사적인 영역에서의 문제는 정치적인 의제임 - 여성의 꾸밈에는 시간,비용, 정서적 비용이 소요됨 - 그러나 꾸밈에는 남녀의 수직적 격차가 있슴. 남성은 꾸미지 않아도 받아들여지지만 여성은 꾸미는 것이 기본, - 인간의 디폴트 값은 남자, - 여성은 꾸밈을 통해 규범적 여성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2. 할 자유에서 하지 않을 자유로- 자유란 ~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뜻, 하지 않을 조유가 없다면 자유로운게 아니다. - 만일 여성이 꾸밈을 하지 않으면 수치심, 죄책감을 느끼게 하는 압력이 들어온다. 3. 노력에서 망각으로-“나 때문에 남성성을 못 느끼면 내 탓일.. 2019.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