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을 외쳐요(교사연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4. 11. 고립의 시대+감시자본주의 시대 - 고립의 시대는 외로움에 촛점을 맞추었고 감시 자본주의는 인간 행동의 데이터화 통제현상에 촛점을 맞춤 - 인간이 점점 더 고립되는 현상은 공통적 - 사생활을 지킬 권리의 중요성 고립의 시대 감시자본주의 고립의 시대 - 노리나 허츠 지음, 홍정인 옮김/웅진지식하우스 감시 자본주의 시대 - 쇼샤나 주보프 지음, 김보영 옮김, 노동욱 감수/문학사상사 산업자본주의 시대에 자연을 착취했다면 감시 자본주의는 인간의 행동을 착취대상으로 삼음. 사적행동을 데이터 화여 기업의 이익을 취하고 일터 등에서 인간행동을 측정하여 다시 통제를 시도함(아마존/쿠팡 물류 센터 노동자 감시 등) 1장 -외로움을 새롭게 정의함: 외로움: 정치로부터 단절, 일과 일터에서 소외, 소득에서의 배제, 무시당한다는 느낌을 포함 2장- 외로움과.. 2023. 4. 4. 고독사 워크숍(2023.3.20) 3월 20일 월요일 오후 8시, 줌으로 모임을 했습니다. 저는 이번에 두번째 토론하면서 비로소 완독했어요. 인물들의 연결관계를 알고 싶어서 공책에 인물과 사건을 적어가며 읽었습니다. 수사하는 형사 콜롬보 처럼요? 그렇게 책을 다 읽은 후다시 알라딘의 책소개를 다시 읽었어요. " 특유의 블랙 유머와 풍성한 문학적 레퍼런스, 장르를 넘나드는 긴장과 재미가 새로운 작가의 출현을 예고한다." 는 소개말이 참 잘 쓰여졌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또 "인간 심리를 예리하게 파고드는 서술에서 오는 섬뜩함과 끈기 있게 삶의 가능성을 들여다보는 태도에서 오는 명랑함의 공존" "박지영 소설의 표식이자 한국문학의 새로운 형식이 될 것이다."라는 말에도 고개가 끄덕여졌습니다. 소감을 말하면서 제목에 쓰인 "고독사"가 제일 먼저 .. 2023. 3. 21. 좌파의 길(식인자본주의 , 낸시 프레이저, 2023) 목차 좌파의 길 - 낸시 프레이저 지음, 장석준 옮김/서해문집 Cannibal Capitalism: How our System is Devouring Democracy, Care, and the Planet and What We Can Do About It"낸시 프레이저가 말하는 식인 자본주의"지금의 혼돈을 총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는 확장된 자본주의관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 책에서 그는 자본주의를 (경제 시스템에 한정 짓지 않고) 사회의 한 유형으로 인식하며 자본주의가 먹어치우는 것들을 살핀다. 자본주의는 자본주의가 기능하도록 하는 조건적 토대조차 집어삼키는데, 이런 특성을 바탕으로 낸시 프레이저는 현재의 자본주의를 '식인 자본주의'라 명명한다. 식인 자본주의의 비정상적 파괴 본능, 자본주의가 도살.. 2023. 3. 3. 오웰의 장미(2023.02.20) 2월 20일 월요일 오후 8시, 줌으로 모임을 했습니다. "박학다식"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작가 리베카 솔닛의 책이었는데요, 언급되는 소재의 다양성에 놀라고, 그것을 엮어가는 솜씨에 놀라고, 표현의 정확함에 놀라고, 생각의 깊이에 놀랐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자가 자기 글쓰기, 삶의 태도의 본보기로 삼았던 오웰에 관한 이야기라서 느낀 것, 읽은 것, 취재한 것이 참 많이 담긴 책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토론도 매우 풍부했던 것 같아요. 다 읽은 사람도 다 읽지 못한 사람도 멀리 치우지 못하고 한동안 손 가까이 두게 될 책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에는 '위기의 시대에 기쁨으로 저항하는 법'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데요 옳지 못한 것, 틀린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저항을 하지만 삶의 기쁨을 느끼면서 해나가야 .. 2023. 2. 21. YES24에서 북클러버 리뷰 체출하기 ① 모바일 ② PC 목차 [1] 모바일에서 북클러버 리뷰글 제출하기 ① 모바일에서 YES24에 로그인 ② http://m.blog.yes24.com/blogmain 에 가서 ③ 연필모양을 누른다. | YES24 블로그 - 내 삶의 쉼표 리뷰 나만 부자아니라 우울하신 분들이라면 꼭 봐야할 신간도서 재테크책 추천! rosekyung | rosekyung님의 블로그 풍백(임다혜)님을 알게 된 건 언제였을까. 아마도 재작년 재테크에 한창 관심 갖 m.blog.yes24.com 글을 쓸때 주의 할 사항이 하나 있는데 북클러버로 리뷰를 쓸때는 맨위의 박스에서 글의 종류를 [포스트] 기본카테고리가 아닌 [리뷰]기본카테고리로 지정하고 맨 밑에서 이벤트참여 박스를 선택하고 거기서 다시 북클러버 리뷰제출 선택 [2] pc에서 북클러버리뷰제출하기 2023. 2. 9. 내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17년 동안 깨달음을 얻고자 수행에 매진한 결과,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을 다 믿지는 않게 되었습니다. 그게 제가 얻은 초능력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제가 인생을 능숙하게 살아나가는 것처럼 보였을 겁니다. 확실한 상태였습니다.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3년 동안 여섯 개 나라를 돌면서 치열하게 일했습다. 발휘해서 겨우 버텨낸 거였죠. 저는 여전히 속내를 숨기고 재무관리에 관심이 있는 척했습니다. 열심히 흉내를 내면 생각보다 무척 오래 버틸 수 있거든요. 하지만 자제력만으로 더는 해 한 사람의 일상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은 우리 존재의 더 깊은 부분에 자양분과 활히 성공에서 얻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끈끈하게 이어져 있다는.어떤 식으로든 세상을 바뀌게 한다는 느낌에서 나오지요. 문득 .. 2023. 2. 5. 단순한 열정(2023.1.18) 수요일인 1월 18일, 8시에 모임을 했습니다. 모임을 정비한 후, 첫번째 토론이었는데요, 지난번에 을 읽었는데 작가가 그 사이에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되셨어요. 지극히 사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했던 내용을 놀라울만한 표현력으로 쓴 작가의 솜씨에 감탄을 했고, 이런 글쓰기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작가 본인이 노벨문학상 수상연설에서 밝힌 바 대로 말해지지 않아왔던 것을 글로 쓰는 것은 매우 정치적인 행동이라는 것 When the unspeakable is brought to light, it is political. 그리고 문학의 영역을 넓히는 것이라는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주변부' 인간인 여성, 하층계급 등의 사람들을 중요한 사람으로 만드는 행위 아니었을까 합니다. 시간을 내서 노벨문.. 2023. 1. 18. 경애의 마음(2023.1.16) 오늘 계묘년 새해, 첫모임을 가졌습니다. 토론을 시작하기에 앞서 책 교환을 했습니다. 개성이 각각 다른 책들이 나왔어요. 가위바위보로 순서를 정해서 차례대로 책을 골랐어요. 모두 책을 고르고 나서 그 책을 왜 가져왔는지를 설명했습니다. 브라질 교육학자 파올로 프레이리와 미국 민중교육가 마일스 호튼의 대담집, 이누이트 여성노인의 '성장기',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선집, 영화 각본, 작년 한해를 휩쓴 휴남동 서점이 새로운 집을 찾아갔습니다. 책교환이 끝난 후, 토론을 했는데요, 역시 이야기를 나누면서 읽으면서 의문이 들었던 점이 풀렸고, 책 더 깊이 이해해 볼 수 있었습니다. 토론후에는 잠깐 버스를 타고, 영천시장으로 가서 곤드레밥을 먹었어요. 집에서 놀고 있는 늦둥이 지원이를 불러 같이 먹었어요. 그 후에.. 2023. 1. 16. <야만의 꿈들>출간 기념 북토크(2023.1.12) 리베카 솔닛의 출간기념 복토크에 참여 했습니다. 원제는 Savage Dreams: A Journey into the Hidden Wars of the American West (1994년)입니다. 은 솔닛의 첫번째 책이라고 할수 있다고 하는데요, 30년이 지난 지금도 현재성을 띠고 있다고 합니다. 그동안 이 책이 미국서부라는 특정지역을 다루었기에 한국독자들의 관심사와 거리가 있어 번역이 되지 않고 있었다면 기후위기가 주요문제로 떠오르는 지금, 이 책이 그 부분에 대해 말하고 있는 바가 있어 의미가 있다는 판단에서 번역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자가 열렬한 활동가였던 남동생 때문에 활동가의 길에 들어서게 된 것, 특정 목적을 달성하려하기 보다 자신이 만난 사람의 고유한 이야기를 그대로 전달하려 글 을.. 2023. 1. 12. 다정한 서술자 ■ 테트락티스 (pp.216-217) '나'를 다소 추상적인 구성물로 파악하는 방식은 오랜전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영혼과 육체에 대한 고전적인 구분에서 시작해 프로이트의 이론, 즉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면서 심지어 적대적인 세 개의 힘 - 자아(ego), 이드(id), 초자아(superego)가 우리의 '나'를 다툼과 언쟁의 장으로 만든다는 개념에 이르기까지실로 다양합니다. 확신컨대 '오컴의 면도날'은 상상의 세계에서는 통하지 않는 도구입니다. 어쩌면 그것은 작가들에게 숙명처럼 주어진 필수불가결한 고통일 것입니다. 작가들이란 존재를 걷잡을 수 없이 증폭시키는 사람들이니까요. '전체'를 상호 협력하는(혹은 그렇지 못한) 아주 작은 단위의 구성 요소로 잘게 쪼개려는 모든 종류의 시스템은 내게 늘 짜릿한 희열.. 2022. 12. 5. Teaching Children Philosophy https://www.prindleinstitute.org/teaching-children-philosophy/page/9/ Teaching Children Philosophy - Prindle Institute Ready to try your hand at having a philosophical discussion with children using classic picture books? Check out our collection of over 200 modules, each designed to spark an exciting dialogue. www.prindleinstitute.org 2022. 12. 1. 이전 1 ··· 4 5 6 7 8 9 10 ··· 121 다음